[勞倦傷治法][노권상치법]
內經(至眞要大論 第曰七十四)曰 “勞者溫之··· 中略···損者益之”.
夫勞則動之 太過而神不寧矣 故溫之 溫也者 養也
溫之者 所以調其飮食 適其起居 澄心息慮 從容以待 其眞氣之 復常也.
내경에는 “지나치게 과로한 것은 온(溫)하게 하고 허손(虛損)된 것은 보한다”고 씌어 있다.
과로한 것은 힘든 일을 지나치게 하여 편안치 못한 것인데 온하게 해야 한다.
온하게 한다는 것은 보양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온하게 한다는 것은 음식을 고르게 먹고 일상생활을 알맞게 하며
욕심을 버리고 생각을 덜하면서 안정하여 점차로 진기(眞氣)를 회복시키는 것이다.
禮記 所謂柔色 以溫之 正同此義
今 東垣 乃以溫爲溫凉之溫 宜溫藥以補元氣 而瀉火邪
又易損者 益之 爲損者 溫之
又以溫能 除大熱 爲 內經 所云而遍攷 內經 並無此語 不能無疑也.
又 經曰 形不足者 溫之以氣 其溫字 亦是滋養之義 非指溫藥也(沂洄).
예기(禮記)』에 씌어 있는 바와 같이 얼굴빛을 유순하게 하는 것이 바로 온(溫)하게 한다는 뜻과 같다.
그런데 동원(東垣)이 온하게 한다는 ‘온’자를 서늘한 것을 따뜻하게 한다는 ‘온’자라고 하면서
성질이 더운약으로써 원기(元氣)를 보하고 화사(火邪)를 내리게 해야 한다고 하였으며
또는 허손된 데는 보해 주라는 것을 허손에 따뜻하게 해주라고 고친 것이다.
또는 온이란 심한 열을 없앤다는 것으로서 내경의 말이라고 하였는데
내경을 전부 참고하였으나 이러한 말이 없으므로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내경에는 형체가 부족한 데는 기를 온하게 하라고 하였는데
그 ‘온(溫)’자도 역시 자양한다는 뜻이고 성질이 따뜻한 약을 말한 것은 아니다[기회].
飮食失時 勞役過度 脾胃虛弱 中氣不足 以補中益氣湯爲主.
如益胃升陽湯 升陽順氣湯 調中益氣湯 升陽益胃湯 淸神益氣湯
黃芪人參湯方見暑門 參朮調中湯方見咳嗽 人參飮 皆可選用.
음식을 제때에 먹지 않거나 힘든 일을 지나치게 하여 비위(脾胃)가 허약하고
중기(中氣)가 부족한 데는 보중익기탕을 위주로 쓰면서
익위승양탕, 승양순기탕, 조중익기탕, 승양익위탕, 청신익기탕,
황기인삼탕(처방은 서문에 있다), 삼출조중탕(처방은 기침문에 있다), 인삼음 등에서 골라 쓴다.
勞倦 亦有二焉
勞力純乎 傷氣而無汗者 補中益氣湯.
勞心兼傷乎血而有汗者 黃芪建中湯
心力俱勞 氣血皆傷者 雙和湯二方並見虛勞.
노권상(勞倦傷)에도 또한 2가지가 있다.
순 육체적으로 과로하여 기(氣)를 상해서 땀이 없는 데는 보중익기탕을 쓴다.
정신적 과로뿐 아니라 겸해 혈(血)도 상해서 땀이 나는 데는 황기건중탕을 쓴다.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과로하여 기혈이 모두 상한 데는 쌍화탕을 쓴다(2가지 처방은 다 허로문에 있다).
房勞傷腎 證與勞倦相似 均一內傷 發熱證也
勞倦因陽氣之下陷 宜補其氣 以升提之.
房勞 因陽火之上升 宜滋其陰 以降下之 一升一降 逈然不同.
지나친 성생활로 신(腎)을 상한 증과 노권상은 비슷하다.
이것들은 다 내상으로 열이 나는 증이지만 노권상은
양기(陽氣)가 아래로 처진 것이므로 기를 보하여 끌어올릴 것이고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여 신을 상한증은 양화(陽火)가 위로 올라간 것이므로
음을 불쿠어 아래로 내려가게 해야 한다.
즉 하나는 올라가게 하고 다른 하나는 내려가게 하는 것이므로 아주 다르다.
七情動氣 脈與飮食無二 盖飮食七情 俱能閉塞 三焦熏蒸
肺爲淸道 肺爲氣主 由是而失其傳化之常 所以氣口脈獨緊 且盛
其證 嘔泄 痞滿 腹痛 亦相似 但傷食 則惡食,
七情 則雖作飽 亦不惡食(入門).
7정(七情)으로 기혈을 상하는 것이 음으로 상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
대체로 음식과 7정은 다 3초(三焦)를 막아서 폐와 위, 청도(淸道)를 훈증(熏蒸)한다.
폐는 기를 주관하는데 훈증하면 그로 말미암아 전화(傳化)㈜작용을 하지 못하므로
기구맥(氣口脈)만이 긴성(緊盛)하며 토하고 설사한다.
비만과 복통 등도 역시 같으나 다만 음식에 체해 생긴 것은
음식을 싫어하고 7정(七情)으로 생긴 것은 배불리 먹으려고만 하고 또한 음식을 싫어하지 않는다[입문].
如氣浮心亂 以朱砂安神丸方見神門 鎭固 卽愈(東垣).
만일 기분이 들뜨고 마음이 산란할 때에는
주사안신환(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써서 진정시키면 낫는다[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