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養心神調治脾胃][안양심신조치비위]

夫心者 君主之官 神明出焉.

凡喜 怒 悲 忿 憂 思 恐 懼 皆損元氣

心者 神之使 心君不寧化而爲火 火者 七神之賊也

故曰 陰火太盛 經營之氣 不能頤養於神 乃脈病也.

人心之神 眞氣之別名也

得血則生 血生則脈旺 脈者 神之舍 若心生凝滯 則七神離形 而脈中惟有火矣.

善治 斯病者 惟在調和脾胃 使心無凝滯 或生歡欣 或逢喜事 或天氣暄暖

或居溫和 或食滋味 或見可欲事 則慧然 如無病矣. 盖胃中元氣 得舒伸 故也(東垣).

대체로 심()은 중심적인 기관이므로 신명(神明)이 여기서 나온다.

대개 기뻐하는 것, 성내는 것, 슬퍼하는 것, 근심하는 것, 사색하는 것, 무서워하는 것들은 다 원기(元氣)를 상한다.

심은 신명이 들어 있는 곳인데 심이 편안치 못하면 변하여 화()가 된다.

화는 7(七神)의 적이다.

때문에 음화가 너무 성하면 돌아가는 비위의 기가 심신(心神)을 순조롭게 영양하지 못하여 맥병(脈病)이 된다.

심신이란 진기(眞氣)의 별명이다.

()을 받으면 생기가 나고 혈이 생기면 맥이 왕성해진다.

맥이란 신명이 들어있는 곳이므로 만일 심에 엉키고 막힌 것이 있으면 7신이 형체를 떠나고

맥 가운데는 오직 화만 남아 있게 된다.

이 병을 잘 치료하려면 비위를 고르게 하고 심에 엉키고 막힌 것을 없애야 한다.

이렇게 하면 즐겁고 기쁜 일을 당하거나 일기가 따뜻하거나 따뜻한 집에 있거나 맛있는 음식을 먹거나

하려고 하는 어떤 일을 당하면 정신이 똘똘해져서 마치 앓지 않는 사람과 같다.

이것은 위 속의 원기가 잘 퍼져 나가기 때문이다[동원].

 

[嘔吐噎膈反胃宜通大便][구토열격반위의통대변]

 

病因欲吐者 切不可 下逆之故也(仲景).

환자가 토하려고 할 때에는 절대로 설사를 시키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토하는 것은 치미는 것이기 때문이다[중경].

 

陽明之氣 下行 則順 今逆而上行 謹不可泄 固也 然嘔吐者

每每大便秘結 上下壅遏 氣不流行 盖思所以區 晝而利導之(直旨).

양명경의 기는 내려가야 순조로운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이 치밀어오를 때에는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토할 때에는 대변이 굳어져 위아래가 막히기 때문에 기가 잘 돌지 못한다.

이것을 잘 갈라보고 설사시켜야 한다[직지].

 

陰虛 邪氣逆上 窒塞嘔噦 不足之病也

此地道不通 當用生地黃 當歸 桃仁 紅花 兼用甘草

微加大黃 芒硝 以通其閉 大便利 則嘔吐噦 自止矣(東垣).

음이 허할 때 사기가 치밀어올라 막혀서 토하거나 딸꾹질하는 것은 부족해서 생긴 병이다.

이것은 하초가 잘 통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데는 생지황, 당귀,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에 감초를 넣고

대황, 망초를 조금 넣어 써서 막힌 것을 통하게 해야 한다.

대변이 통하게 되면 토하던 것과 딸꾹질이 저절로 멎는다[동원].

 

嘔吐證 忌用利藥 此言其常 只嘔吐 而大小便不秘澁者 利藥所當忌之.

若大小腸 膀胱熱結不通上 爲嘔吐膈食 若不用利藥 開通發泄 則嘔吐何由而止乎.

古人 用三一承氣湯 正是也 此意(丹心).

토하는 데는 설사시키는 약을 쓰지 못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오직 토하기만 하고

대소변은 막히지 않았을 때 반드시 설사시키는 약을 금해야 한다는 일반적인 원칙을 말한 것이다.

만일 대소장과 방광에 열이 몰려서 통하지 못하게 되어 토하고 격식(隔食)이 된 때에

설사시키는 약을 써서 통하게 하지 않는다면 토하는 것이 어떻게 멎을 수 있겠는가.

옛사람들이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을 쓴 것은 바로 이러한 이치이다[단심].

 

通利大便 以開下焦之塞 宜用紫沈丸 厚朴丸 附子丸

人參利膈丸 三一承氣湯 四子調中湯 香白元 大黃湯 潤腸膏(諸方).

대변을 통하게 하여 하초가 막힌 것을 열리게 하는 데는 자침환, 후박환, 부자환,

인삼이격환, 삼일승기탕, 사자조중탕, 향백원, 대황탕, 윤장고 등이 좋다[제방].

 

嘔吐家 多大便祕結 虛冷者 用蘇感元方見大便

溫而利之 若大便熱結 用蜜導法方見大便 或猪膽汁 和醋灌入下部妙(直旨).

토할 때에는 대부분 대변이 굳어지는데 허랭하여 생긴 데는

소감원(처방은 대변문(大便門)에 있다)을 써서

따뜻하게 하여 통하게 해야 하고 열로 대변이 굳어졌을 때에는

밀도법(처방은 대변문(大便門)에 있다)을 써야 하는데 혹 돼지담즙에 식초를 타서 관장해도 좋다[직지].   

[噎膈反胃治法][열격반위치법]

 

噎病 生於血乾 夫血者 陰氣 也陰主靜 內外兩靜 則藏府之火不起 而金水二氣 有養陰血 自生

腸胃津液 傳化合宜 何噎之有

열증( )은 혈()이 마르면 생긴다. 혈은 음기(陰氣)인데 음기는 안정한 것을 주관하기 때문에

속과 겉이 다 안정하면 56부에서 화가 생기지 않고 폐금(肺金)과 신수(腎水),

이 두 기운이 자라므로 음혈(陰血)이 저절로 생긴다.

장위(腸胃)의 진액이 전화(傳化)되는 것을 알맞게 하면 열증이 생기지 않는다.

 

曰胃脘乾槁 果可治乎.

古方 用人參以補肺 御米以解毒 竹瀝以淸痰

乾薑以養血 粟米以實胃 蜜以潤燥 薑以去穢 正是此意.

위완(胃脘)이 말라도 과연 치료할 수 있는가고 물었다. 이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옛날에는 인삼으로 폐()를 보하고 아편꽃씨(앵자속)로 독을 풀며 참대기름(죽력)으로 담()을 삭히고

건강으로 혈을 보양하며 좁쌀(粟米)로 위()를 든든하게 하고

꿀로 마른 것을 눅여 주며 생강으로 더러운 것을 없앴는데

이것이 바로 치료법이라고 하였다.

 

噎膈 反胃 大率屬血虛 氣虛 有痰 有熱, 血虛 四物湯, 氣虛 四君子湯,

痰用 二陳湯, 熱用 解毒湯(卽黃連解毒湯).

氣血俱虛 八物湯主之 必和以童便 竹瀝 韭汁 薑汁 且多飮 牛羊乳爲上策

但不可 以人乳代之 皆有七情烹飪之火 故也 切不可用 香燥藥 宜薄滋味.

열격과 반위는 대체로 혈이 허하여 생기는 것, 기가 허하여 생기는 것, 담으로 생기는 것, 열로 생기는 것이 있다.

혈이 허하여 생긴 데는 사물탕(四物湯)을 쓰고 기가 허하여 생긴 데는 사군자탕(四君子湯)을 쓰며

담으로 생긴 데는 이진탕(二陳湯)을 쓰고 열로 생긴 데는 해독탕(즉 황련해독탕)을 쓴다.

기혈이 다 허한 데는 팔물탕(八物湯)을 쓰는데 반드시 여기에 참대기름(죽력), 부추즙, 생강즙을 타서 쓰고

소젖이나 양의 젖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대신 사람의 젖은 쓰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7정과 더운 음식에는 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냄새가 향기롭고 성질이 조()한 약은 절대로 쓰지 말며 담박(薄滋)한 음식을 먹어야 좋다.

 

飮酒者 加砂糖 驢尿入內服 以防生蟲(丹心).

술을 마시는 환자는 거기에 사탕을 넣어 먹어서 충이 생기지 않게 미리 막아야 한다[단심].

 

噎膈 宜用平鯽丸 神仙奪命丹 丁香透膈湯 五膈寬中散 棗肉平胃散方見內傷

瓜蔞實丸 神奇散 當歸養血湯 生津補血湯 聖灰散 八仙膏.

열격에는 평즉환, 신선탈명단, 정향두격탕, 오격관중산, 조육평위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과루실환, 산기산, 당귀양혈탕, 생진보혈탕, 성회산, 팔선고 등을 쓴다.

 

反胃 宜用硫汞丸 狗米平胃丸 杵糠丸 九仙奪命丹 順氣和中湯 安中調氣丸

回生養胃丹 定生丹 安胃湯 太倉丸 奪命丹 附子散(諸方).

반위에는 유홍환, 구미평위환, 저강환, 구선탈명단, 순기화중탕, 안중조기환,

회생양위단, 정생단, 안위탕, 태창환, 탈명단, 부자산 등을 쓴다[제방].

[噎膈反胃病因][열격반위병인]

 

內經(陰陽別論篇 第七) 曰三陽結 謂之膈.

註曰 三陽者 大小腸 俱熱結也

盖小腸熱結 則血脈燥 大腸熱結 則不能便 膀胱熱結 則津液涸.

三陽熱結 脈必洪數有力 前後閉塞 下旣不通 必反而上行

所以噎食 不下 縱下復出 乃陽火上行 而不下降也(入門).

내경에는 “3(三陽)이 몰린 것을 격( )이라 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3양과 대소장(大小腸)에 다 열이 몰린 것이다고 씌어 있다.

대체로 소장에 열이 몰리면 혈맥이 조()해지고 대장에 열이 몰리면

대변이 나오지 못하고 방광에 열이 몰리면 진액이 줄어든다.

3양에 열이 몰리면 맥이 홍삭(洪數)하면서 힘이 있으며

대소변이 막혀서 아래로 나가지 못하고 도로 올라온다.

그러므로 음식물이 목에 걸려 내려가지 못하고 내려갔다가도 도로 올라오는데

이것은 양화(陽火)가 위로 올라오기만 하고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기 때문이다[입문].

 

內經(六元正紀大論篇 第七十一)曰 少陽所至 爲嘔涌溢 食不下 此理明矣(入門).

又曰 食不下者 胃脘膈也(入門).

내경소양이 주관하는 해[少陽所至]에는 구역이 나고 음식이 도로 올라오면서 내리지 않는다

고 씌어 있는데 이에 대한 이치는 명백하다[입문].

또한 음식이 내리지 않는 것은 위완(胃脘)이 막힌 것이다[입문].

 

血液俱耗 胃脘乾槁

其槁在上 近咽之下 水飮可行 食物難入 間或可入 入亦不多 名之 曰噎.

其枯在下 與胃相近 食雖可入難盡入胃良久復出 名之 曰膈.

亦曰反胃 大便秘少 若羊屎然 名雖不同 病出一體.

혈과 진액이 다 줄어들면 위완이 마르는데

목구멍 가까이가 마르면 물을 마실 수 있으나 음식은 넘기기 어렵다.

간혹 넘긴다고 하여도 많이 넘기지 못하는데 이것을 열( )이라고 한다.

아래로 내려가면서 위()가까이가 마르면 음식을 넘긴다고 해도

다 위에 들어가지 못하고 한참 있다가 도로 올라오는데 이것을 격( )라고 한다.

또한 반위(反胃)라고도 한다.

이때에 대변은 굳어져 양의 똥같이 되어 나온다.

과 격은 이렇게 이름은 같지 않으나 사실은 한 가지 병이다.

 

其槁在賁門 食下則胃脘當心而痛 須臾 吐出食出痛乃止 此上焦之 噎膈也.

或食物可下 難盡入胃 良久復出 其槁在幽門 此中焦之 噎膈也.

其或 朝食暮吐 暮食朝吐 其槁在闌門 此下焦之 噎膈也(丹心).

분문(賁門)이 마르면 음식이 내려가자마자 명치 밑이 아픈데 조금 있다 토하면 아픈 것이 멎는다.

이것은 상초의 열격이다.

혹 음식을 먹는다고 해도 다 위에 들어가지 못하고 한참 있다가

도로 올라오는 것은 유문(幽門)이 말랐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것은 중초의 열격이다.

혹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거나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는 것은 난문( )이 말랐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것은 하초의 열격이다[단심].

 

飮食不下 而大便不通 名曰膈噎 膈者 有拒格之意 卽膈食反胃也(入門).

음식이 내려가지 않고 대변이 나가지 않는 것을

열격이라고 하는데 격이라는 것은 가로 막힌다는 뜻이다.

먹은 것이 가로 막혔다가 도로 올라온다는 것이다[입문].

 

噎膈有五 五膈者 憂 恚 寒 熱 氣也.

在心脾之間 上下不通 或結於咽喉 時覺有所妨碍 吐之不出 嚥之不下

由氣鬱痰結 而然 五噎者 憂 食 勞 氣 思也.

飮食卒然阻滯 而不下 反胃也 膈也 噎也 受病皆同(醫鑑).

열과 격에는 각각 5가지가 있다.

5가지 격이라는 것은 우격(), 에격( ), 한격(), 열격(), 기격()이다.

()과 비()의 사이에 병이 있어서 위아래가 통하지 않거나 목구멍에 무엇이 맺혀 있는 것같으며

토하려고 하여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고 해도 넘어가지 않는 것은 기가 몰리고 담()이 맺혔기 때문이다.

5가지 열이라는 것은 우열(), 식열(), 노열(), 기열(), 사열()을 말하는데

이것은 음식이 갑자기 걸려서 내려가지 않고 도로 올라오는 것이다.

격이나 열이 생기는 원인은 같다[의감].

 

張雞峯 曰 噎 當是神思間病 惟內觀自養 加以治之 其言深中病情(丹心).

장계봉열은 지나치게 정신을 쓰고 생각해서 생기는 병이기 때문에

자체로 정신을 수양해야 치료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 말이 병의 증상과 맞는다[단심].

 

膈噎之證 不屬虛 不屬實 不屬冷 不屬熱 乃神氣中一點 病耳(醫林).

열격증은 허증(虛證), 실증(實證), 냉증(冷證), 열증(熱證)에도 속하지 않는다.

이것은 정신을 지나치게 써서 생기는 한 가지의 병이다[의림].

 

噎病 皆生於血枯 血枯則燥矣 得病情合經旨者 丹溪一人而已(綱目).

열증은 다 혈이 말라서 생기는 것이다.

혈이 마르면 몸이 마른다.

이 병에 대하여 내경에 씌어 있는 것처럼 설명한 것은 단계(丹溪) 한사람뿐이다[강목].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嘔吐噎膈反胃宜通大便][구토열격반위의통대변]  (0) 2020.07.05
[噎膈反胃治法][열격반위치법]  (0) 2020.07.05
[噫氣][애기]  (0) 2020.07.05
[懊憹][오노]  (0) 2020.07.05
[嘈雜][조잡]  (0) 2020.07.03

[噫氣][애기 / 트림]

 

噫 飽氣 俗作噯氣. 噫 屬心脾(綱目).

트림은 심비(心脾)에 속한다[강목].

 

足太陰之脈病 是動則病 腹脹善噫.

帝曰 人之噫者 何氣使然?

岐伯曰 寒氣客于胃 厥逆從上下散 復出于胃 故爲噫 補足太陰陽明(靈樞 口問 第二十八).

족태음경맥(足太陰經脈)에 시동병(是動病)이 생기면 배가 불러 오르고 트림을 잘하게 된다.

황제가 묻기를 “트림은 어떻게 하여 나는가”

기백이 대답하기를 “트림은 찬 기운이 위에 침범하면 궐역(厥逆)이 되는데

이것이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와 흩어지면서 다시 위에서 나오기 때문에 생긴다.

그러므로 족태음경맥과 족양명경맥을 보해야 한다”고 하였다[영추].

 

太陰病 所謂上走心 爲噫者 陰盛而上走於陽明 陽明絡屬心

故上走而爲噫也 曰心爲噫(內經 脈解篇 第四十九).

태음병(太陰病)이 위[上]로 심(心)에 가서 트림이 난다는 것은 음이 성하면 위로 양명(陽明)에 가는데

양명경의 낙맥(絡脈)이 심(心)에 속하였기 때문에 위[上]로 올라가서 트림이 난다는 것이다.

또한 심병으로 트림이 난다고 하였다[내경].

 

寸脈緊 寒之實也

寒在上焦 胸中必滿而噫(脈經).

촌맥이 긴(緊)한 것은 한사가 실한 것이다.

한사가 상초에 있으면 가슴이 반드시 그득하면서 트림이 난다[맥경].

 

上焦竭 善噫 何也? 師曰 上焦受中焦氣 未知不能消 故能噫耳.

상초의 양기가 줄어들면 트림을 잘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의사가 대답하기를 “상초(上焦)가 중초(中焦)의 고르지 못한 기를 받아

그것을 잘 퍼지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트림을 한다”고 하였다.

 

上焦不歸者 噫而呑酸 不歸不至也 上焦之氣 不至其部 則物不能轉化 故噫而作呑.

寸口脈 弱而緩 弱者 陽氣不足 緩者 胃氣有餘 噫而呑酸 食卒不下 氣塡於膈上(仲景).

상초가 돌아가지 못하면 트림을 하면서 생목이 괸다[呑酸].

돌아가지 못한다는 것은 작용을 못하는 것이다.

상초의 기가 작용을 잘하지 못하면 소화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트림을 하며 생목이 괴는 것이다.

촌구맥(寸口脈)이 약(弱)하면서 완(緩)하다면 약한 맥은 양기(陽氣)가 부족한 것이고 완한 맥은 위기(胃氣)가 실한 것이다. 트림하면서 생목이 괴는 것은 음식이 갑자기 소화되지 않아 기가 가슴에 그득 차기 때문이다[중경].

 

傷寒噫氣 何氣 使然?

答曰 胸中氣不交 故也.

少陰經 至胸中 交於厥陰 水火相傳 而有聲 故噫氣也.

如聖湯卽桔梗湯 方見咽喉加枳實主之(活人).

“상한에 트림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대답하기를 “가슴에서 기(氣)가 서로 교류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소음경맥이 가슴에 와서 궐음경맥(厥陰經脈)과 서로 교류되어

수화(水火)가 서로 전하면서 소리가 나기 때문에 트림을 하는 것이다.

이때는 여성탕(즉 길경탕인데 처방은 목구멍문에 있다)에 지실을 더 넣어 쓴다”[활인].

 

噫氣者 轉出食氣也 胃中鬱火 膈上稠痰 飮食鬱成 宜祛痰火丸.

트림은 음식물의 기가 다시 나오는 것이다.

또한 위 속의 울화(鬱火)와 가슴에 있는 건 담음(痰飮)과 식울(食鬱)로도 되는데 이때는 거담화환이 좋다.

 

氣實 噫者 食罷噫轉 腐氣 甚則物亦噫

濕熱所致 宜二陳湯 方見痰飮 方見上 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加蒼朮 神麯 麥芽 薑炒黃連.

위기가 실(實)하여 나는 트림은 밥 먹은 뒤에 곧 썩은 내 나는 트림을 하는 것인데 심하면 먹은 것까지 나온다.

이것은 습열 때문에 나는 것이므로 이진탕에 삽주(창출),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황련(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을 더 넣어 쓴다.

 

氣虛噫者 濁氣塡胸也 不因飮食 常噫者 虛也.

盖胃有濁氣 膈有濕痰 俱能發噫 六君子湯方見痰飮 加沈香爲君 厚朴 蘇葉爲臣 吳茱萸使 煎服(入門).

위기가 허하여 트림하는 것은 탁기(濁氣)가 가슴에 찬 것이다.

음식을 먹지 않아도 늘 트림하는 것은 허증이다.

대체로 위에 탁기가 있고 가슴에 습담(濕痰)이 있으면 트림을 한다.

이런 데는 육군자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치향을 주약으로,

후박과 차조기잎(자소엽)을 신약으로, 오수유를 사약으로 하여 더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痰在中焦 作噫氣 呑酸 胃脘當心而痛 或嘔淸水 惡心 二陳湯方見痰飮

加蒼朮 白朮 神麯 麥芽 川芎 縮砂 草豆蔲 枳實 猪苓 澤瀉 黃連 吳茱萸 梔子 木香 檳榔之類

或煎服 或丸服(正傳).

담(痰)이 중초에 있어 트림하고 생목이 괴며 명치 밑이 아프고

혹은 멀건 물을 토하며 메스꺼움 등이 있을 때에는

이진탕에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궁궁이(천궁), 사인(축사), 초두구,

지실, 저령, 택사, 황련, 오수유, 산치자(치자), 목향, 빈랑 등을 더 넣고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정전].

 

噫氣 宜用星半湯 順氣和中湯方見嘔吐 枳殼散 破鬱丹 勻氣丸.

트림을 하는 데는 성반탕, 순기화중탕(처방은 토하기문에 있다), 지각산, 파울단, 균기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善飮酒 每朝長噫 不吐者 小調中湯方見痰飮最妙(入門).

술을 잘 마시는 사람이 매일 아침 길게 트림을 하나 토하지 않는 데는

소조중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제일 좋다[입문].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噎膈反胃治法][열격반위치법]  (0) 2020.07.05
[噎膈反胃病因][열격반위병인]  (0) 2020.07.05
[懊憹][오노]  (0) 2020.07.05
[嘈雜][조잡]  (0) 2020.07.03
[呑酸吐酸][탄산토산]  (0) 2020.07.03

[懊憹][오노]

 

乃虛煩之劇者

懊者 懊惱之懊

憹者 鬱悶之貌

卽心中懊懊惱惱 煩煩憹憹 鬱鬱然 不舒暢 憤 然無奈 比之煩悶 而甚者也.

許學士 所謂 懊憹 終夕不得臥 心中無曉會處者 是也(綱目).

오노는 허번(虛煩)이 매우 심한 것이다.

()’자는 번뇌하고 괴롭다는 뜻이고

(憹)’자는 한스럽고 답답하다는 뜻이다.

즉 가슴 속이 안타깝게 괴롭고 답답하며 뭉쳐 있는 것 같으면서

어쩔 바를 몰라하는 것인데 번민(煩悶)보다 심한 것이다.

허학사는 오노증은 온 밤을 자지 못하며 마음 속이 시원하지 못한 현상이라고 하였다[강목].

 

懊憹 心中不自如也. 比煩燥 更甚

傷寒表證 誤下 陽氣內陷 心下固硬者 則爲結胸.

若胃氣空虛 客熱在膈 短氣煩躁 微疼 則爲懊憹 懊憹者 煩不得眠 飢不能食也.

治同嘈雜兼見寒門(入門)

오노증이란 마음이 편안하지 못한 것인데 번조(煩燥)보다 더 심한 것이다.

상한표증(表證)에 잘못 설사시켜 양기(陽氣)가 속으로 들어가서 명치 밑이 몹시 뜬뜬하게 된 것은 결흉(結胸)이다.

이때 위기가 허약하여 사열이 가슴에 있으면 숨이 가쁘고 번조하며 약간 아프게 된다.

이것은 오노증이다.

오노증이란 답답하여 잠을 자지 못하고 배가 고프나 음식을 먹지 못하는 증이다.

치료법은 조잡증과 같다(상한문을 같이 참고할 것이다)[입문].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噎膈反胃病因][열격반위병인]  (0) 2020.07.05
[噫氣][애기]  (0) 2020.07.05
[嘈雜][조잡]  (0) 2020.07.03
[呑酸吐酸][탄산토산]  (0) 2020.07.03
[內傷變爲諸病][내상변위제병]  (0) 2020.07.02

[嘈雜][조잡]

 

嘈雜之證 似飢不飢 似痛不痛 而懊惱 有不自寧之况者 是也.

其證 或兼噯氣 或兼痞滿 或兼惡心 漸至胃脘作痛 皆痰火之爲患也.

조잡증은 배고픈 듯하지만 배가 고프지 않고 아픈 듯하나 아프지 않으며

가슴이 몹시 답답하고 괴로워 안정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 증상으로는 혹 트림이 나거나 명치 밑이 더부룩하고 그득한 감이 있거나

메스꺼움증 등이 겸해 있으면서 점차 위완부까지 아프게 되는데 이것은 다 담화(痰火) 때문이다.

 

治法 以南星 半夏 橘紅之類 消其痰, 芩連 梔子 石膏 知母之類 降其火,

蒼朮 白朮 芍藥之類 健脾行濕, 壯其本元則安 宜用化痰淸火湯

此乃食鬱有熱 炒梔子 薑炒黃連 乃必用之藥也.

치료법은 천남성, 끼무릇(반하), 귤홍 등으로 담을 삭히고 속썩은풀(황금), 산치자(치자), 석고,

지모 등으로 화를 내리며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등으로 비()를 든든하게 하고

()을 없애며 원기(元氣)를 든든하게 하면 낫는다. 이런 때에는 화담청화탕을 쓰는 것이 좋다.

조잡증은 식울(食鬱)로 열이 나는 것인데 이때에는 산치자(치자, 닦은 것),

황련(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등을 반드시 써야 한다[단심].

 

嘈雜 只是痰因火而動 令人心嘈 似飢非飢 有積有熱也(丹心).

조잡증은 화()로 인하여 담()이 발동되어 생기는 것인데

명치가 쓰리고 배고픈 듯하나 배고프지 않으며 적()이 있기도 하고 열()이 있기도 한다[단심].

 

香砂平胃散方見上 食傷 淸鬱二陳湯卽上增味二陳湯 平胃分消飮 朮連丸 淸痰丸方見上

呑酸 三聖丸 平肝順氣保中丸方見上 呑酸 交泰丸.

조잡증은 민간에서 심조()라고 하는데 향사평위산(처방은 위에 있다), 소식청울탕,

청울이진탕(위의 증미이진탕과 같다), 평위분소음, 출련환, 청담환(처방은 위에 있다),

삼성환, 평간순기보중환(처방은 위에 있다), 교태환 등이 좋다.

 

五更 心嘈者 思慮傷心 血虛也 宜養血四物湯 當歸補血湯(回春).

새벽에 속이 쓰린 것은 지나친 사색과 염려로 심()을 상()하여 혈()이 허해졌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양혈사물탕, 당귀보혈탕이 좋다[회춘].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噫氣][애기]  (0) 2020.07.05
[懊憹][오노]  (0) 2020.07.05
[呑酸吐酸][탄산토산]  (0) 2020.07.03
[內傷變爲諸病][내상변위제병]  (0) 2020.07.02
[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내상병시위열중종위한중]  (0) 2020.07.02

[呑酸吐酸][탄산토산]

 

呑酸者 水刺心也,

吐酸者 吐出酸水也(回春).

탄산(呑酸)이란 신물이 명치 아래를 자극하는 것이며

토산(吐酸)이란 신물을 토하는 것이다[회춘].

 

濕熱在胃口上 飮食入胃 被濕熱鬱遏 其食不得傳化故作酸也.

如穀肉在器 久則易酸也(丹心)

습열(濕熱)이 위()의 어귀에 있다가 음식을 먹으면

그 습열이 위에 머물러서 자극하여 소화를 장애하기 때문에 탄산이 된다.

쌀과 고기를 그릇 속에 오랫동안 담아 두면 쉽게 시어지는 것과 같다[단심].

 

內經 至眞要大論篇 第七十四 病機 曰 諸嘔吐酸 皆屬於熱.

傷寒論曰 嘔家 雖有陽明證 愼不可下 以雜病論之.

嘔吐 酸水者 甚則酸水浸其心 不任其苦 其次則吐出酸水

令上下牙酸澁 不能相對 以辛熱熱劑 療之 必差矣.

若以病機之法 作熱攻之者 誤矣(東垣).

내경의 병기(病機)에는 신물을 토하는 것은 모두 열()에 속한다고 하였고

상한론에는 토하는 데는 양명증(陽明證)이 있어도 설사를 시키지 못한다고 하였으며

잡병론에는 신물을 토할 때 심하면 신물이 명치를 자극하여 괴로움을 견디기 어려울 뿐 아니라

신물을 토하면서 위아래의 이가 시리고 텁텁하여 입을 다물지 못한다.

이때는 맵고 성질이 열한 약을 쓰면 반드시 낫는다고 씌어 있다.

만일 내경의 병기에 있는 법대로 열증으로 보고 치는 약을 쓰는 것은 잘못이다[동원].

 

呑酸與吐酸 不同

吐酸 是吐出酸水如醋.

盖平時津液 隨上升之氣 鬱積而成 鬱積之久 濕中生熱.

濕中生熱 故從木化遂作酸味 非熱而何其不能自涌而出 伏於肺胃之間 咯不出 嚥不下.

肌表得風寒 則內鬱愈鬱 而酸味刺心 肌表得溫煖 或得香熱湯丸亦可 漸解.

內經言 熱者言其本也

東垣言 寒者 言其末也(丹心).

탄산과 토산은 같지 않다.

토산은 식초와 같은 신물을 토하는 것이다.

대개 평소에는 진액이 기를 따라 올라가지만 그것이 몰리고 쌓이면 울적(鬱積)이 된다.

그것이 오래면 그 습에서 열이 생기기 때문에 간의 작용을 받아서 신맛이 된다.

이것이 열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신물이 저절로 나가지 못하여

폐와 위 사이에 잠복되면 토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넘어가지 않는다.

이런 때에 피부가 풍한(風寒)을 받으면 속에 몰렸던 것이 더 몰렸던 것이 더 몰려서 신맛이 명치 밑을 자극한다.

이때 피부를 따뜻하게 덥혀 주든가 향기롭고 성질이 열한 달임약이나 알약을 쓰면 역시 좀 풀릴 것이다.

내경에서 열()이라고 한 것은 그 기본을 말한 것이다.

동원이 한()이라고 한 것은 나중의 증상을 말한 것이다[단심].

 

木味爲酸 如飮食熱 則易爲酸也(河間).

간목의 맛은 시다. 음식물이 더워지면 쉽게 시어지는 것과 같다[하간].

 

內經(至眞要大論篇 第七十四) 以諸嘔吐酸 皆屬於熱.

惟 李東垣 獨以爲寒 誠一偏之見也.

河間原病式曰 酸者 肝木之味也

由火盛制金 不能平木 則肝木自甚 故爲酸 是以肝熱 則口酸也.

所以中酸 不宜食黏滑油膩者 謂能令氣鬱不通暢

故宜飡糲食 菜蔬者 能令氣之通利也(正傳).

내경에서 여러 가지로 신물을 토하는 것을 열에 속한 것으로 보았는데

오직 이동원만이 한이라고 주장한 것은 일면만 본 것이다.

하간의 원병식(原病式)에는 신 것은 간목(肝木)의 맛이다고 하였다.

()가 성하여 금()을 억제하면 금이 목()을 억제하지 못하여 간목이 성하여지므로 시게 된다.

그래서 열이 간에 있으면 입맛이 시다.

그러므로 신물이 올라오는 사람은 찰지고 미끄러우며 기름기 있는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기가 몰려서 잘 통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반드시 기름기가 적은 밥과 남새를 먹으면 기가 잘 돌아간다[정전].

 

宿食留飮 酸蜇心痛 牙齒亦酸 宜麴朮丸 專吐淸水者 朮苓湯.

음식에 체했거나 유음(留飮)이 있어 신물이 생겨 명치 밑이 쓰리고 아프며

이도 또한 신 데는 곡출환을 쓰는 것이 좋다. 멀건 물만 토하는 데는 출령탕을 쓴다.

 

痰火停食 一日半日 腐化酸水 吐出黃臭 或醋心不安 宜四味茱連丸 九味茱連丸 淸痰丸.

담화(痰火)로 먹은 음식물이 내려가지 않고 하루나 반나절이 지나서 상한 신물을 토했는데

누렇고 냄새가 나는 것과 생목이 괴어 불안한 데는 사미수련환, 구미수련환, 청담환 등이 좋다.

 

朝食甘美 至晡時 心腹刺酸吐出 此血虛火盛 宜四物湯 加陳皮 黃芩 黃連 桃仁 紅花 麻仁 甘草.

아침밥을 맛있게 먹었으나 그것이 저녁까지 소화되지 않고 명치 밑이 찌르는 듯이 아프며

신물을 토하는 것은 혈()이 허()하고 화()가 성()한 것이므로 사물탕에 귤껍질(陳皮),

속썩은풀(황금), 황련,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삼씨(마자인), 감초 등을 더 넣어 쓴다.

 

呑酸 大便閉者 透膈湯, 大便利者 參萸丸(入門).

탄산증에 대변이 막혔으면 투격탕을 쓰고 대변이 잘 나가면 삼유환을 쓴다[입문].

 

呑酸 宜節厚味 必蔬食 自養 則病易安(正傳).

탄산에는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남새를 먹으면 병이 쉽게 낫는다[정전].

 

 

呑酸 吐酸 宜茱連丸 蒼連丸 蒼連湯 黃連淸化丸 增味二陳湯 平肝順氣保中.

又 一方 一田夫 病因留飮 嘔酸水 十餘年 藥餌鍼艾 俱不效.

戴人 以苦劑 越之 吐涎 如膠二三升 談笑而愈(子和).

탄산과 토산에는 수련환, 창련환, 창련탕, 황련청화환, 증미이진탕, 평간순기보중환,

또 한 가지 처방을 쓴다.

한 농민이 10여 년 동안 유음(留飮)으로 신물을 토했는데 약과 침, 뜸 등으로 치료는 하였으나 낫지 않았다.

대인(戴人)이 맛이 쓴 약을 써서 토하게 하였다.

그랬더니 갖풀 같은 담연을 2-3되 토하고 나서 곧 나았다[자화].

 

 

[內傷變爲諸病][내상변위제병]

 

夫氣之初病也 其端甚微 或因些少飮食不謹 或外冒六氣 或內感七情

或食味過厚 偏助陽氣 積成膈熱 或資禀素實 表密無汗

或性急多怒 陰火炎上 以致津液不行 淸濁相干

氣爲之病 或痞或痛 或不思食 或噎噫腐氣 或呑酸或嘈雜 或膨滿.

不求其原 變認爲寒 據以辛香燥熱之劑 投之舊疾被怯 暫開濁液 易於扌贊 聚

或半月 或一月 前病復作 如此蔓延 自氣成積 自積成痰 此爲痰爲飮 爲呑酸之由也 良工未遇謬藥

又 行痰挾汚血 遂成窠囊 於是爲痞爲痛 爲嘔爲吐 爲噎膈反胃之次第也(丹心).

대체로 기가 처음 병들 때에는 아주 미미하다.

간혹 음식을 주의하지 않거나 겉으로 6(六氣)에 상하거나 속으로 7(七情)에 상하거나

음식이 지나쳐서 양기(陽氣)에만 치우치게 한 데로부터 그것이 쌓여서 가슴에 열이 생긴다.

혹은 체질이 본래 실하고 피부가 치밀하여 땀이 나지 않거나 성질이 급하여 성내기를 잘하여 음

(陰火)가 타올라서 진액이 제대로 돌지 못하면 맑은 기와 탁한 기가 섞이어 병이 된다.

이리하여 트릿하거나 아프거나 음식생각이 없거나 트림하는데 썩은 내가 올라오고

혹 탄산(呑酸)과 조잡증( 雜證)이 있거나 배가 창만한 것 등의 병으로 전변된다.

그런데 그 원인을 찾지 않고 곧 한으로 인정하고 맵고 향기로우며 성질이 조하고 열한 약을 쓰면

이전의 병이 얼마 동안 나을 수 있으나 탁한 진액이 모이기 쉬우므로 반달, 한달이 되면 다시 도질 수 있다.

이렇게 시일을 늦잡으면 기가 쌓여 적으로 되고 적이 담으로 될 수 있다.

이것이 담이 되고 음이 되며 탄산증의 원인으로 된다.

유능한 의사를 만나지 못하여 약을 잘못 쓰면 다시 담이 생기고 또 궂은 피[汚血]가 섞여서 병집[ ]이 되는데

가슴이 트릿한 것[ ], 아픈 것, 구역질이 나는 것[], ()하는 것, 열격( ), 반위증(反胃證) 등이

순차적으로 생긴다[단심].

[內傷病始爲熱中終爲寒中][내상병시위열중종위한중]

 

凡內傷脾胃之證 始則四肢困熱 無氣以動 表熱自汗 心煩不安 胃氣熱

熱氣熏胸中 爲內熱之證 宜以甘溫補中.

대개 내상(內傷)은 비위(脾胃)의 증상인데 처음에는 팔다리가 노곤하고 열이 나며

움직일 기운이 없고 표열(表熱)이 있으며 저절로 땀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불안하고 위기(胃氣)가 열하게 된다.

이 열기(熱氣)가 가슴을 훈증하면 속이 열한 증이 된다.

이런 때에는 달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써 비위를 보해야 한다.

 

內傷病 始爲熱中 宜補中益氣湯 益胃升陽湯二方見上 勞倦傷治法

參朮調中湯方見咳嗽 勞倦傷治法 凝神散 當歸補血湯 三補枳朮丸(入門).

내상병 초기에 속에 열이 있으면 보중익기탕, 익위승양탕(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삼출조중탕(처방은 기침문에 있다), 응신산, 당귀보혈탕, 삼보지출환 등이 좋다[입문].

 

凡脾胃之證 調治差誤 或亡下之 則末傳爲寒中 復遇時寒 則四肢厥逆 心胃絞痛 冷汗出.

夫六氣之勝 皆能爲病 惟寒毒最重 陰主殺故也 沈香溫胃丸主之(東垣).

대체로 비위증을 오진하여 허투루 설사시키는 약을 쓰면 나중에 속이 찬 증으로 전변된 데다

또 추운 때를 만나면 팔다리가 싸늘하고 명치 아래가 비트는 듯이 아프며 찬 땀이 난다.

대체로 6기가 왕성하면 다 병이 되지만 그 가운데서도 한독(寒毒)이 아주 심한 것은 음()을 주로 상하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침향온위환을 주로 쓴다[동원].

 

末傳爲寒中 神聖復氣湯 草豆蔲丸二方見胸部 白朮附子湯 守中金元(東垣).

나중에 속이 찬 증으로 전변되었을 때에는 신성복기탕, 백출부자탕,

초두구환(처방은 가슴문에 있다), 수중금원 등이 좋다[동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