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噎膈反胃治法][열격반위치법]

 

噎病 生於血乾 夫血者 陰氣 也陰主靜 內外兩靜 則藏府之火不起 而金水二氣 有養陰血 自生

腸胃津液 傳化合宜 何噎之有

열증( )은 혈()이 마르면 생긴다. 혈은 음기(陰氣)인데 음기는 안정한 것을 주관하기 때문에

속과 겉이 다 안정하면 56부에서 화가 생기지 않고 폐금(肺金)과 신수(腎水),

이 두 기운이 자라므로 음혈(陰血)이 저절로 생긴다.

장위(腸胃)의 진액이 전화(傳化)되는 것을 알맞게 하면 열증이 생기지 않는다.

 

曰胃脘乾槁 果可治乎.

古方 用人參以補肺 御米以解毒 竹瀝以淸痰

乾薑以養血 粟米以實胃 蜜以潤燥 薑以去穢 正是此意.

위완(胃脘)이 말라도 과연 치료할 수 있는가고 물었다. 이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옛날에는 인삼으로 폐()를 보하고 아편꽃씨(앵자속)로 독을 풀며 참대기름(죽력)으로 담()을 삭히고

건강으로 혈을 보양하며 좁쌀(粟米)로 위()를 든든하게 하고

꿀로 마른 것을 눅여 주며 생강으로 더러운 것을 없앴는데

이것이 바로 치료법이라고 하였다.

 

噎膈 反胃 大率屬血虛 氣虛 有痰 有熱, 血虛 四物湯, 氣虛 四君子湯,

痰用 二陳湯, 熱用 解毒湯(卽黃連解毒湯).

氣血俱虛 八物湯主之 必和以童便 竹瀝 韭汁 薑汁 且多飮 牛羊乳爲上策

但不可 以人乳代之 皆有七情烹飪之火 故也 切不可用 香燥藥 宜薄滋味.

열격과 반위는 대체로 혈이 허하여 생기는 것, 기가 허하여 생기는 것, 담으로 생기는 것, 열로 생기는 것이 있다.

혈이 허하여 생긴 데는 사물탕(四物湯)을 쓰고 기가 허하여 생긴 데는 사군자탕(四君子湯)을 쓰며

담으로 생긴 데는 이진탕(二陳湯)을 쓰고 열로 생긴 데는 해독탕(즉 황련해독탕)을 쓴다.

기혈이 다 허한 데는 팔물탕(八物湯)을 쓰는데 반드시 여기에 참대기름(죽력), 부추즙, 생강즙을 타서 쓰고

소젖이나 양의 젖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대신 사람의 젖은 쓰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7정과 더운 음식에는 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냄새가 향기롭고 성질이 조()한 약은 절대로 쓰지 말며 담박(薄滋)한 음식을 먹어야 좋다.

 

飮酒者 加砂糖 驢尿入內服 以防生蟲(丹心).

술을 마시는 환자는 거기에 사탕을 넣어 먹어서 충이 생기지 않게 미리 막아야 한다[단심].

 

噎膈 宜用平鯽丸 神仙奪命丹 丁香透膈湯 五膈寬中散 棗肉平胃散方見內傷

瓜蔞實丸 神奇散 當歸養血湯 生津補血湯 聖灰散 八仙膏.

열격에는 평즉환, 신선탈명단, 정향두격탕, 오격관중산, 조육평위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과루실환, 산기산, 당귀양혈탕, 생진보혈탕, 성회산, 팔선고 등을 쓴다.

 

反胃 宜用硫汞丸 狗米平胃丸 杵糠丸 九仙奪命丹 順氣和中湯 安中調氣丸

回生養胃丹 定生丹 安胃湯 太倉丸 奪命丹 附子散(諸方).

반위에는 유홍환, 구미평위환, 저강환, 구선탈명단, 순기화중탕, 안중조기환,

회생양위단, 정생단, 안위탕, 태창환, 탈명단, 부자산 등을 쓴다[제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