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食傷消導之劑][식상소도지제]

 

食積在中 下脘者 宜下 以逐之 木香見睍丸 丁香脾積丸方見腹痛,

宿食吐下後 未淨者 紅元子 保和丸 大安丸三方並見積聚 平補枳朮丸卽竹瀝枳朮丸 方見痰飮

식적(食積)이 중완(中脘)이나 하완(下脘)에 있을 때에는 설사시켜 몰아내는 것이 좋다.

이때는 목향견현환, 정향비적환을 쓴다.

음식에 체했을 때 토했거나 설사한 뒤에도 아직 완전히 낫지 않은 데는

홍원자(처방은 적취문에 있다), 보화환, 대안환(2가지 처방은 적취문에 있다), 평보지출환(즉 죽력지출환이다.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등이 좋다.

 

傷肉 多腹脹 三補丸方見大便 加香附 半夏麴 蒸餠和丸服(入門).

고기를 많이 먹고 체해서 배가 불러 오른 데는 삼보환(처방은 화문에 있다)

향부자와 반하국을 더 넣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입문].

 

宿食消化 宜用枳朮丸 橘皮枳朮丸 木香枳朮丸 半夏枳朮丸 麴蘗枳朮丸

橘半枳朮丸 橘連枳朮丸 平胃散方見五藏 加味平胃散

棗肉平胃散 內消散 消滯丸 加減保和丸 七香元 枳實導滯丸 木香化滯湯 豆蔲橘紅散 香殼丸

二黃丸 三稜消積丸 穀神元(諸方).

음식에 체한 것을 소화시키는 데는 지출환, 귤피지출환, 목향지출환, 반하지출환, 국얼지출환,

귤반지출환, 귤련지출환, 삼황지출환, 평위산(처방은 5장문에 있다), 향사평위산, 가미평위산,

조육평위산, 내소산, 소체환, 가감보화환, 칠향원, 지실도체환, 목향화체탕, 두구귤홍산, 향각환,

이황환, 삼릉소적환, 곡신원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제방].

 

食麥 多令人腹脹 煖酒 和薑汁飮一兩盃 卽消(得效).

보리밥을 많이 먹어서 배가 불러 오른 데는 따뜻한 술에 생강즙을 타서 1-2잔을 마시면 낫는다[득효].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酒傷][주상]  (0) 2020.06.29
[食傷補益之劑][식상보익지제]  (0) 2020.06.29
[食傷治法][식상치법]  (0) 2020.06.29
[食傷證][식상증]  (0) 2020.06.29
[脈法][맥법]  (0) 2020.06.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