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圔麥][광맥 / 겉보리]

性微寒味甘無毒主輕身補中除熱不動疾久服令人多力健行[本草]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몸을 가벼워지게 하고 비위를 보하며[補中] 열을 없애고 병이 생기지 않게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힘이 세지고 건강해진다[본초].
大麥圔麥本經兩出有如一稻二米盖稻是穀之通名則圔是麥之皮號

麥之圔猶米之與稻也然則大麥是麥米圔麥是麥穀明矣[本草]
신농본초경에는 보리쌀과(大麥) 겉보리( 麥) 2가지로 씌어 있는데

이것은 마치 한 가지의 벼에서 2가지 쌀이 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벼가 멥쌀과 찹쌀이 나는 곡식의 공통된 이름인 것과 같이

겉보리란 보리를 껍질채로 부르는 이름이다.

보리쌀과 겉보리에 대하여 말하는 것과 같다.

그러니 대맥이란 보리쌀을 말하고 광맥이란 겉보리를 말하는 것이 명백하다[본초].
大麥比小麥差大故謂之大麥其皮圓脆宜謂之圔麥[本草]
보리는 밀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대맥이라고 하였고 그 껍질은 둘러 싸 붙어 있고

부드럽기 때문에 둘러붙었다는 ‘광( )’자의 뜻을 따서 광맥이라고 하였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麥麵][대맥면]   (0) 2019.02.15
[靑顆麥][청과맥]   (0) 2019.02.15
[大麥][대맥]   (0) 2019.02.15
[小麥奴][소맥노]   (0) 2019.02.15
[小麥苗][소맥묘]   (0) 2019.02.15

[大麥][대맥 / 보리]

性溫(一云微寒)味稜無毒

益氣調中止泄補虛實五藏久食令人肥健滑澤[本草]
성질이 따뜻하다[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고 독이 없다.
기를 돕고[益氣] 중초를 조화시키며[調中] 설사를 멎게 하고 허한 것을 보한다.
또는 5장을 든든하게 하는데 오랫동안 먹으면 살이 찌고 건강해지며 몸이 윤택해진다[본초].
令人多熱爲五穀長[本草]
몸을 덥히는 데[多熱]는 5곡 가운데서 제일이다[본초].
久食頭髮不白不動風氣暴食稍似脚弱爲下氣故也

熟則益人帶生則冷損人[本草]
오랫동안 먹으면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고 풍(風)이 동(動)하지 않는다.
그러나 갑자기 많이 먹으면 다리가 약간 약해지는데 그것은 기를 내리기 때문이다.
잘 익혀 먹으면 사람에게 이롭지만

약간 설어도 성질이 차지므로[寒] 사람을 상하게 한다[본초].
大麥同小麥以秋種者爲良春種者氣不足故力劣[本草]
보리는 밀과 같이 가을에 심은 것이 좋다.
봄에 심은 것은 약 기운이 부족하기 때문에 효과가 적다[본초].
和鍼砂沒石子染鬚甚黑[入門]
침사(鍼砂), 몰석자(沒石子)와 함께 넣어서 달인 물로 수염에 물들이면 아주 거멓게 된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靑顆麥][청과맥]   (0) 2019.02.15
[圔麥][광맥]   (0) 2019.02.15
[小麥奴][소맥노]   (0) 2019.02.15
[小麥苗][소맥묘]   (0) 2019.02.15
[浮小麥][부소맥]   (0) 2019.02.15

[小麥奴][소맥노 / 밀깜부기]

主熱煩解天行熱毒[本草]
열이 나면서 답답한 것[熱煩]과 돌림열독[天行熱毒]을 푼다[본초].
卽小麥苗上黑徵也[本草]
즉 밀이삭(小麥苗) 위에 생긴 거먼 것[黑黴]을 말한다[본초].
小麥未熟時叢中不成麥捻之成黑勃者是也[綱目]
밀이 익지 않았을 때 포기 가운데 이삭이 여물지 못하고 새까맣게 된 것인데

쥐어 보면 푸실푸실하다[강목].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圔麥][광맥]   (0) 2019.02.15
[大麥][대맥]   (0) 2019.02.15
[小麥苗][소맥묘]   (0) 2019.02.15
[浮小麥][부소맥]   (0) 2019.02.15
[麩][부]   (0) 2019.02.15

[小麥苗][소맥묘 / 갓 돋은 밀싹]

性寒(一云凉)味辛無毒

消酒毒暴熱主黃疸目黃退膈熱利小腸絞取[本草]
성질이 차고[寒] (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이 메우며[辛] 독이 없다.
술독과 갑자기 나는 열[暴熱]을 풀며 황달로 눈이 노랗게 된 것을 낫게 하고

가슴의 열기[膈熱]를 없애며 소장을 좋아지게 한다.
즙을 짜서 먹는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麥][대맥]   (0) 2019.02.15
[小麥奴][소맥노]   (0) 2019.02.15
[浮小麥][부소맥]   (0) 2019.02.15
[麩][부]   (0) 2019.02.15
[神麴][신국]   (0) 2019.02.15

[浮小麥][부소맥 / 밀쭉정이]

養心同大棗煎止盜汗[醫鑑]
심을 보하는데[養心] 대추와 같이 달여서 먹으면 식은땀[盜汗]이 나는 것이 멎는다[의감].
止盜汗治大小人骨蒸肌熱婦人勞熱微炒用之[入門]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하고 어른이나 어린이의 골증열(骨蒸熱)과 기열(肌熱),

부인의 허로열(虛勞熱)을 치료할 때에는 약간 닦아서[微炒] 써야 한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麥奴][소맥노]   (0) 2019.02.15
[小麥苗][소맥묘]   (0) 2019.02.15
[麩][부]   (0) 2019.02.15
[神麴][신국]   (0) 2019.02.15
[麴][국]   (0) 2019.02.15

[][부 / 밀기울]


性寒(一云凉)味甘無毒

調中去熱治熱瘡湯火瘡爛撲損折傷瘀血[本草]
성질이 차고[寒] (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조화시키고 열을 없앤다.
열창(熱瘡)과 끓는 물이나 불에 덴 상처[湯火瘡]가 진무른 것,

얻어 맞거나 부러져서 어혈(瘀血)이 진 것을 치료한다[본초].
麥屬陽掦之性凉[丹心]
밀은 양(陽)에 속하지만 밀기울은 성질이 서늘하다[단심].
恪熱掦凉[丹心]
밀가루는 성질이 덥고[熱] 밀기울은 성질이 서늘하다[단심].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麥苗][소맥묘]   (0) 2019.02.15
[浮小麥][부소맥]   (0) 2019.02.15
[神麴][신국]   (0) 2019.02.15
[麴][국]   (0) 2019.02.15
[寒食麵][한식면]  (0) 2019.02.15

[神麴][신국 / 약누룩]

性煖(一云溫)味甘無毒
開胃健脾消化水穀止囍亂泄瀉痢下赤白

破琋結下痰逆胸滿腸胃中塞飮食不下落胎下鬼胎[本草]
성질은 덥고[煖]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입맛이 나게 하고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음식이 소화되게 하고

곽란, 설사, 적백이질을 멎게 한다.
징결( 結, 뱃속에 덩어리가 생긴 것)을 헤치고[破] 담이 치밀어 올라

가슴이 그득한 것[痰逆胸滿]을 내리며 장위 속에 음식이 막혀서

내리지 않는 것[腸胃中塞]을 내리게 하고 유산되게 하며 귀태(鬼胎)를 나오게 한다[본초].
入藥炒令香火炒以助天五之氣入足陽明經[湯液]
약에 넣을 때에는 고소한 냄새가 나게 닦아서[炒] 넣는다.
불에 닦은 것은 자연계의 5기를 돕고 양명경으로 들어간다[탕액].
紅麴活血消食止痢疑是神麴也[入門]
홍국(紅麴)은 피를 잘 돌게 하고 음식이 소화되게 하며 이질을 멎게 한다.

홍국이라는 것도 신국인 것 같다[입문].
造神麴法詳見雜方
신국을 만드는 방법은 잡방(雜方)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浮小麥][부소맥]   (0) 2019.02.15
[麩][부]   (0) 2019.02.15
[麴][국]   (0) 2019.02.15
[寒食麵][한식면]  (0) 2019.02.15
[麵][면]   (0) 2019.02.15

[][국 / 누룩]

性大煖(一云溫)味甘平胃消穀止痢[本草]
성질이 몹시 따뜻하고[大煖]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다[甘].
위를 조화시키고 음식이 소화되게 하며 이질을 멎게 한다[본초].
女麴完小麥爲之 一名箜子 黃蒸磨小麥爲之 一名 黃衣拄消食[本草]
여곡(女麴)은 통밀(完小麥)로 만든 것인데 일명 환자라고도 한다.
누렇게 쪄서 간 밀로 만든 것은 일명 황의(黃衣)라고 한다.
이것들은 다 음식이 소화되게 한다[본초].
麥塂止河魚之腹疾[左傳]
밀누룩(麥麵)은 민물고기를 먹고 생긴 배탈을 낫게 한다[좌전].
六月作者良陳久者入藥用之當炒令香[本草]
음력 6월에 만든 것이 좋은데 오랫동안 묵은 것을 약으로 쓴다.
향기가 나도록 고소하게 닦아서[炒] 써야 한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麩][부]   (0) 2019.02.15
[神麴][신국]   (0) 2019.02.15
[寒食麵][한식면]  (0) 2019.02.15
[麵][면]   (0) 2019.02.15
[小麥][소맥]   (0) 2019.02.15

[寒食麵][한식면]

謂寒食日煮喫恪取之以焙乾貯用能破積行氣[綱目]
한식날에 만든 밀국수인데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두고 쓴다.
이것은 적을 헤치고[破積] 기(氣)를 잘 돌게 한다[강목].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麴][신국]   (0) 2019.02.15
[麴][국]   (0) 2019.02.15
[麵][면]   (0) 2019.02.15
[小麥][소맥]   (0) 2019.02.15
[盐米][출미]   (0) 2019.02.15

[][면 / 밀가루]

性溫味甘

補中益氣厚腸胃强氣力助五藏久食實人[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다[甘].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우며 장위를 든든하게 하고 기력이 세지게 하며 5장을 돕는다.
또한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든든해진다[본초].
小麥性寒作恪則溫而有毒[本草]
밀은 성질이 차다[寒].
가루를 만들면 성질이 따뜻해지는데[溫] 독이 있다[본초].
恪有熱毒者多是陳泹之色又爲磨中石末在內故也杵食卽良[本草]
열독이 있는 밀가루는 흔히 묵은 것인데 빛은 검누렇다.
또한 가루를 만들 때 돌가루가 섞인 것이므로 절구에 빻아 먹는 것이 좋다[본초].
恪性壅熱少動風氣[本草]
밀가루는 열을 몰리게 하고 풍기[風]를 동(動)하게 하는 성질이 있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麴][국]   (0) 2019.02.15
[寒食麵][한식면]  (0) 2019.02.15
[小麥][소맥]   (0) 2019.02.15
[盐米][출미]   (0) 2019.02.15
[丹黍米][단서미]   (0) 2019.02.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