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粳米][갱미 / 멥쌀] 

性平味甘苦無毒平胃氣長肌肉溫中止痢益氣除煩[本草]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면서 쓰고[甘苦] 독이 없다.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고 살찌게 하며 속을 덥히고 이질을 멎게 하는데

기를 보하고 답답한 것[煩]을 없앤다[본초].
粳硬也堅硬於姎米也

入手太陰少陰經氣精皆從米變化而生故字皆從米[入門]
멥쌀이라는 ‘갱(粳)’자에는 굳다는 뜻(硬, 즉 堅)이 들어 있는데

그것은 찹쌀보다 굳기 때문이다.
이것의 기운은 수태음경과 수소음경으로 들어간다.
기(氣)와 정(精)은 다 쌀을 먹어서 그것이 변화되어 생긴 것이기 때문에

 ‘기(氣)’자와 ‘정(精)’자에는 다 쌀‘미(米)’자가 들어 있다[입문].
作飯及粥食之稍生則不益脾過熟則佳[本草] 
밥이나 죽을 만들어 먹는데 약간 설익어도 비장(脾臟)에 좋지 못하다.

잘 익혀 먹어야 좋다[본초].
白晩米爲第一早熟米不及也[本草]
멥쌀은 늦벼쌀(白晩米)이 제일 좋다. 올벼쌀(早熟米)은 이것만 못하다[본초].
卽晩米也霜後收者佳[日用]
이것은 바로 늦벼쌀을 말하는데 서리가 온 뒤에 가을한 것이 좋다[일용].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姎米][나미 / 찹쌀]  (0) 2019.02.14
[陳弟米][진름미]   (0) 2019.02.14
[蘖米][얼미]   (0) 2019.02.14
[粟米厹汁][속미감즙]   (0) 2019.02.14
[粟米粉][속미분]   (0) 2019.02.14

[蘖米][얼미 / 조길금] 


性溫味苦無毒主寒中下氣開胃消食除熱[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속이 찬 것[寒中]을 치료하고 기를 내리며 입맛이 나게 하고 음식이 소화되게 한다.
열도 없앤다[본초].
此卽粟樍也取半生者作之今穀神散中用之性又溫於大麥樍[本草]
이것이 바로 속얼(粟蘖)인데 절반 정도 자란 것을 쓴다.
요즘에는 곡신산(穀神散)에 넣어 쓴다.
성질은 보리길금(대맥얼)보다 더 따뜻하다[溫][본초].
樍者生不以理之名也皆當以可生之物爲之粟樍麥樍皆其類也[本草]
길금(蘖)이란 땅 속에 묻지 않고 싹을 낸 것인데 곡식은 다 싹을 낼 수 있다.
조길금이나 보리길금도 다 이렇게 만든 것이다[본초].
樍米卽穀芽也[入門]
길금이란 바로 곡식의 싹을 말한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陳弟米][진름미]   (0) 2019.02.14
[粳米][갱미]   (0) 2019.02.14
[粟米厹汁][속미감즙]   (0) 2019.02.14
[粟米粉][속미분]   (0) 2019.02.14
[陳粟米][진속미]   (0) 2019.02.14

[粟米厹汁][속미감즙 / 좁쌀 씻은 물]

主囍亂煩渴臭厹尤良[本草]
곽란과 번갈을 치료한다.
좁쌀 씻은 물이 냄새나게 신 것이 더 좋다[본초].
酸厹洗瘡疥及惡瘡殺盤[本草]
좁쌀 씻은 물 신 것으로 옴과 악창을 씻으면 충이 죽는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粳米][갱미]   (0) 2019.02.14
[蘖米][얼미]   (0) 2019.02.14
[粟米粉][속미분]   (0) 2019.02.14
[陳粟米][진속미]   (0) 2019.02.14
[粟米][속미]   (0) 2019.02.14

[粟米粉][속미분 / 좁쌀가루]

性寒味甘無毒解煩熱止渴止泄實大腸[本草]
성질이 차고[寒]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번열을 풀고 갈증과 설사를 멎게 하는데 대장을 든든하게 한다[본초].
蒸粟米或麥熬磨作之[本草]
좁쌀을 쪄서 가루낸 것인데 혹 밀이나 보리를 갈아서 만들기도 한다[본초].
粳粟米五穀中最硬得漿水卽易化[本草]
메좁쌀이 5곡 가운데서 제일 굳지만 신좁쌀웃물(漿水)에는 잘 풀린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蘖米][얼미]   (0) 2019.02.14
[粟米厹汁][속미감즙]   (0) 2019.02.14
[陳粟米][진속미]   (0) 2019.02.14
[粟米][속미]   (0) 2019.02.14
[故麻鞋底][고마혜저]   (0) 2019.02.13

[陳粟米][진속미 / 묵은 좁쌀]

味苦主胃熱消渴利小便止痢[本草]
맛이 쓰다[苦].
위열과 소갈을 치료하는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이질을 멎게 한다[본초].
陳者謂經三五年者[本草]
묵었다는 것은 3~5년 지난 것을 말하는 것이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粟米厹汁][속미감즙]   (0) 2019.02.14
[粟米粉][속미분]   (0) 2019.02.14
[粟米][속미]   (0) 2019.02.14
[故麻鞋底][고마혜저]   (0) 2019.02.13
[麻根][마근]   (0) 2019.02.13

[粟米][속미 / 좁쌀]

性微寒味酸無毒養腎氣去脾胃中熱益氣利小便益脾胃[本草]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짜며 독이 없다.
신기(腎氣)를 보양하고 비위 속의 열[脾胃中熱]을 없애며

기를 보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비위를 돕는다[본초].
粟米細於粱米顆粒小者是粟㵋大者是粱[本草]
좁쌀은 기장쌀(梁米)보다 잘다.
그러므로 알이 작은 것은 조이고 큰 것은 기장이다[본초].
粟從燿從米象形也卽今之小米也五穀中最硬故謂之硬粟[入門]
조 ‘속(粟)’자를 서녘 ‘서(西)’자와 쌀 ‘미(米)’자를 따서 만든 것은

서쪽 지방에서 나는 쌀이라는 뜻이다.
이것이 바로 요즘 소미(小米)라고 하는 것인데

5곡 가운데서 제일 굳기 때문에 경속(硬粟)이라고도 한다[입문].
黍稷稻粱禾麻菽麥乃八穀也

陶隱居以禾爲粟朱子詩註明言禾者穀連藁厗之總名盖八穀有粟則是盖言粱則包粟在中[入門]
기장(黍), 피(稷), 벼(稻), 수수(梁), 조(禾), 참깨(麻), 콩(菽), 보리(麥)

이것이 8가지 곡식에 속한다.
도은거(陶隱居)는 화(禾)를 조라고 하였고 주자(朱子)의 시경주(詩經註)에는

“화(禾)란 곡식이 짚에 달려 있는 채로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고 정확히 씌어 있다.
8가지 곡식 가운데 조를 넣은 것은 양(梁) 속에 조를 포함시킨 것이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粟米粉][속미분]   (0) 2019.02.14
[陳粟米][진속미]   (0) 2019.02.14
[故麻鞋底][고마혜저]   (0) 2019.02.13
[麻根][마근]   (0) 2019.02.13
[麻葉][마엽]   (0) 2019.02.13

[故麻鞋底][고마혜저 / 헌 삼신짝의 바닥]

主囍亂及解食牛馬肉中毒又解紫石英毒[本草]
곽란을 낫게 하고 소와 말고기의 중독을 풀어주고, 또 자석영독을 푼다[본초].
一名[千里馬]取故破者用[本草]
일명 천리마(千里麻)라고 하는데 오래 묵어서 모두 떨어진 것이 더 좋은 것이다.
路傍棄草鞋鼻繩亦名千里馬治難産用之[良方]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陳粟米][진속미]   (0) 2019.02.14
[粟米][속미]   (0) 2019.02.14
[麻根][마근]   (0) 2019.02.13
[麻葉][마엽]   (0) 2019.02.13
[麻提][마분]   (0) 2019.02.13

[麻根][마근 / 삼뿌리]

主産難衣不出破瘀血下石淋煮取汁服之[本草]
난산(難産)과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衣不出]을 치료한다.
어혈을 헤치고[破瘀血] 석림(石淋)이 나오게 한다.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粟米][속미]   (0) 2019.02.14
[故麻鞋底][고마혜저]   (0) 2019.02.13
[麻葉][마엽]   (0) 2019.02.13
[麻提][마분]   (0) 2019.02.13
[白油麻油][백유마유]   (0) 2019.02.13

[麻葉][마엽 / 삼잎]

主籵盤煮湯沐頭髮長潤[本草]
회충( 蟲)을 죽인다.
삼잎 삶은 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이 길게 자라고 윤택해진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故麻鞋底][고마혜저]   (0) 2019.02.13
[麻根][마근]   (0) 2019.02.13
[麻提][마분]   (0) 2019.02.13
[白油麻油][백유마유]   (0) 2019.02.13
[白油麻葉][백유마엽]   (0) 2019.02.13

[麻提][마분 / 삼꽃가루]

性平味辛有毒破積止痺散服多食令人見鬼狂走[本草]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적을 헤치고[破積] 비증(痺證)을 낫게 한다.
가루로 먹는데 많이 먹으면 미친다[본초].
一名[麻勃]此麻花上勃勃者七月七日採良[本草]
일명 마발(麻勃)이라고도 하는데 삼꽃에서 날리는 꽃가루를 말한다.
음력 7월초에 받은 것이 좋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根][마근]   (0) 2019.02.13
[麻葉][마엽]   (0) 2019.02.13
[白油麻油][백유마유]   (0) 2019.02.13
[白油麻葉][백유마엽]   (0) 2019.02.13
[白油麻][백유마]   (0) 2019.02.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