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發熱三朝][발열삼조]
痘瘡 亦時氣之一端. 大抵與傷寒相類(得效).
마마도 역시 유행하는 열병의 하나이므로 대개 상한과 비슷하다[득효].
痘疹欲出證
呵欠, 噴嚔, 耳尖冷, 眼澁, 睡中急驚, 卒暴壯熱, 肌膚繃急.
又曰 昏睡喜, 嚔悸者, 將發瘡疹也(錢乙).
구슬이 내돋으려고 할 때의 증상은
하품하고, 재채기를 하며, 귀방울이 차고, 눈이 텁텁하며, 자다가 갑자기 놀라고,
갑자기 심한 열이 나며, 살이 팽팽해진다.
또는 정신이 흐릿하여 자는 것 같고 재채기를 하며 가슴이 뛰는 것은
앞으로 창진이 생기려는 것이다[전을].
痘疹欲出之時 熱動五藏 則五藏之證 俱見
其呵欠 煩悶者 肝也
時發驚悸者 心也
乍凉乍熱 手足冷者 脾也
面與腮赤 咳嗽 噴嚔者 肺也
惟腎無候 以在腑下 不能食穢 故也(錢乙).
구슬이 내돋으려고 할 때에 열이 5장에 있으면 5장의 증상이 흔히 나타난다.
하품하고 속이 답답한 것은 간(肝)과 관련된 증상이고
때때로 놀라면서 가슴이 뛰는 것은 심(心)과 관련된 증상이며
잠깐 추웠다 잠깐 열이 났다 하고 손발이 싸늘한 것은 비(脾)와 관련된 증상이다.
그리고 얼굴과 뺨이 붉으며 기침하고 재채기를 하는 것은 폐(肺)와 관련된 증상이다.
그러나 오직 신(腎)과 관련된 증상만이 없는 것은
아래에 있어 더러운 것을 먹지 않았기 때문이다[전을].
或發驚搐 渾身熱甚 一向發熱者 是也.
혹 놀라고 경련이 일어나며 온몸에 심한 열이 계속 나는 것은 마마이다.
發熱 似傷寒未辨 疑似間且 與升麻葛根湯
蔘蘇飮二方並見寒門 加味敗毒散 解表(丹心).
열이 나는 것이 상한과 같아서 정확히 감별하기 힘들 때에는 승마갈근탕,
삼소음(2가지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가미패독산 등으로 발산시켜야 한다[단심].
熱盛發驚搐 爲吉候
用紅綿散 調加味六一散表之
痰涎壅盛者 化下抱龍丸方見上 急驚風
열이 성하여 놀라고 경련이 이는 것은 좋은 증상이므로
홍면산에 가미육일산을 타 먹어 병독을 밖으로 내몰아야 하며
담연(痰涎)이 몹시 성한 데는 박하탕에 포룡환(처방은 위에 있다)을 풀어 먹인다.
發熱欲出痘 作腰痛者
急服神解湯 出汗 以痛止爲度 免出腎經之痘.
열이 나고 구슬이 내돋으려고 하면서 허리가 아픈 데는
빨리 신해탕을 먹어 땀을 내되 아픔이 멎을 때까지 쓰면 신경과 관련되어 생기는 마마는 앓지 않게 된다.
發熱之初 急宜表汗 使藏府胎毒
及外感之邪 盡從寒散 則痘出稀少
然表藥 必在紅點未見之前也(醫鑒).
열이 나는 초기에 빨리 땀을 내어 5장 6부에 있던 태독과
밖에서 들어온 사기(邪氣)를 땀을 내어 다 흩어지게 하면 구슬이 드물게 내돋는다.
그런데 발산시키는 약은 반드시 붉은 점이 나타나기 전에 써야 한다[의감].
傷寒瘡疹 疫癘燥熱 五日已衰 疑似未辨者 宜用四物解肌湯
五日已裏發出 卽出五日已外無者 非癍也.
상한과 마마, 유행성 열병 때 조열(潮熱)이 5일 만에 내려서 확실히 감별하기 어려운 데는 사물해기탕을 쓰는 것이 좋다.
나와야 할 구슬은 5일 전에 나오고 5일이 지나도 나오지 않는 것은 반(癍)이 아니다.
發熱三一 未見形跡 宜以生酒塗身上 時時看之 狀如發痕者 是癍也(綱目).
열이 3일 동안 나도 반진이 돋지 않는 데는
술을 몸에 바르고 때때로 살펴본 다음 벼룩이 문 자리 같은 것이 있으면 그것은 반이다[강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出痘三朝][출두삼조] (2) | 2023.05.20 |
---|---|
[發熱時吉凶證][발열시길흉증] (2) | 2023.05.13 |
[痘瘡日限][두창일한] (0) | 2023.05.11 |
[痘瘡治法][두창치법] (0) | 2023.05.09 |
[痘瘡諸證][두창제증] (0) | 2023.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