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浮小麥][부소맥 / 밀쭉정이]

養心同大棗煎止盜汗[醫鑑]
심을 보하는데[養心] 대추와 같이 달여서 먹으면 식은땀[盜汗]이 나는 것이 멎는다[의감].
止盜汗治大小人骨蒸肌熱婦人勞熱微炒用之[入門]  
식은땀이 나는 것을 멎게 하고 어른이나 어린이의 골증열(骨蒸熱)과 기열(肌熱),

부인의 허로열(虛勞熱)을 치료할 때에는 약간 닦아서[微炒] 써야 한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麥奴][소맥노]   (0) 2019.02.15
[小麥苗][소맥묘]   (0) 2019.02.15
[麩][부]   (0) 2019.02.15
[神麴][신국]   (0) 2019.02.15
[麴][국]   (0) 2019.02.15

[][부 / 밀기울]


性寒(一云凉)味甘無毒

調中去熱治熱瘡湯火瘡爛撲損折傷瘀血[本草]
성질이 차고[寒] (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중초를 조화시키고 열을 없앤다.
열창(熱瘡)과 끓는 물이나 불에 덴 상처[湯火瘡]가 진무른 것,

얻어 맞거나 부러져서 어혈(瘀血)이 진 것을 치료한다[본초].
麥屬陽掦之性凉[丹心]
밀은 양(陽)에 속하지만 밀기울은 성질이 서늘하다[단심].
恪熱掦凉[丹心]
밀가루는 성질이 덥고[熱] 밀기울은 성질이 서늘하다[단심].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麥苗][소맥묘]   (0) 2019.02.15
[浮小麥][부소맥]   (0) 2019.02.15
[神麴][신국]   (0) 2019.02.15
[麴][국]   (0) 2019.02.15
[寒食麵][한식면]  (0) 2019.02.15

[神麴][신국 / 약누룩]

性煖(一云溫)味甘無毒
開胃健脾消化水穀止囍亂泄瀉痢下赤白

破琋結下痰逆胸滿腸胃中塞飮食不下落胎下鬼胎[本草]
성질은 덥고[煖]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입맛이 나게 하고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음식이 소화되게 하고

곽란, 설사, 적백이질을 멎게 한다.
징결( 結, 뱃속에 덩어리가 생긴 것)을 헤치고[破] 담이 치밀어 올라

가슴이 그득한 것[痰逆胸滿]을 내리며 장위 속에 음식이 막혀서

내리지 않는 것[腸胃中塞]을 내리게 하고 유산되게 하며 귀태(鬼胎)를 나오게 한다[본초].
入藥炒令香火炒以助天五之氣入足陽明經[湯液]
약에 넣을 때에는 고소한 냄새가 나게 닦아서[炒] 넣는다.
불에 닦은 것은 자연계의 5기를 돕고 양명경으로 들어간다[탕액].
紅麴活血消食止痢疑是神麴也[入門]
홍국(紅麴)은 피를 잘 돌게 하고 음식이 소화되게 하며 이질을 멎게 한다.

홍국이라는 것도 신국인 것 같다[입문].
造神麴法詳見雜方
신국을 만드는 방법은 잡방(雜方)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浮小麥][부소맥]   (0) 2019.02.15
[麩][부]   (0) 2019.02.15
[麴][국]   (0) 2019.02.15
[寒食麵][한식면]  (0) 2019.02.15
[麵][면]   (0) 2019.02.15

[][국 / 누룩]

性大煖(一云溫)味甘平胃消穀止痢[本草]
성질이 몹시 따뜻하고[大煖]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다[甘].
위를 조화시키고 음식이 소화되게 하며 이질을 멎게 한다[본초].
女麴完小麥爲之 一名箜子 黃蒸磨小麥爲之 一名 黃衣拄消食[本草]
여곡(女麴)은 통밀(完小麥)로 만든 것인데 일명 환자라고도 한다.
누렇게 쪄서 간 밀로 만든 것은 일명 황의(黃衣)라고 한다.
이것들은 다 음식이 소화되게 한다[본초].
麥塂止河魚之腹疾[左傳]
밀누룩(麥麵)은 민물고기를 먹고 생긴 배탈을 낫게 한다[좌전].
六月作者良陳久者入藥用之當炒令香[本草]
음력 6월에 만든 것이 좋은데 오랫동안 묵은 것을 약으로 쓴다.
향기가 나도록 고소하게 닦아서[炒] 써야 한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麩][부]   (0) 2019.02.15
[神麴][신국]   (0) 2019.02.15
[寒食麵][한식면]  (0) 2019.02.15
[麵][면]   (0) 2019.02.15
[小麥][소맥]   (0) 2019.02.15

[寒食麵][한식면]

謂寒食日煮喫恪取之以焙乾貯用能破積行氣[綱目]
한식날에 만든 밀국수인데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두고 쓴다.
이것은 적을 헤치고[破積] 기(氣)를 잘 돌게 한다[강목].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麴][신국]   (0) 2019.02.15
[麴][국]   (0) 2019.02.15
[麵][면]   (0) 2019.02.15
[小麥][소맥]   (0) 2019.02.15
[盐米][출미]   (0) 2019.02.15

[][면 / 밀가루]

性溫味甘

補中益氣厚腸胃强氣力助五藏久食實人[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다[甘].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우며 장위를 든든하게 하고 기력이 세지게 하며 5장을 돕는다.
또한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든든해진다[본초].
小麥性寒作恪則溫而有毒[本草]
밀은 성질이 차다[寒].
가루를 만들면 성질이 따뜻해지는데[溫] 독이 있다[본초].
恪有熱毒者多是陳泹之色又爲磨中石末在內故也杵食卽良[本草]
열독이 있는 밀가루는 흔히 묵은 것인데 빛은 검누렇다.
또한 가루를 만들 때 돌가루가 섞인 것이므로 절구에 빻아 먹는 것이 좋다[본초].
恪性壅熱少動風氣[本草]
밀가루는 열을 몰리게 하고 풍기[風]를 동(動)하게 하는 성질이 있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麴][국]   (0) 2019.02.15
[寒食麵][한식면]  (0) 2019.02.15
[小麥][소맥]   (0) 2019.02.15
[盐米][출미]   (0) 2019.02.15
[丹黍米][단서미]   (0) 2019.02.14

[小麥][소맥 / 밀]

性微寒(一云平)味甘無毒

除煩熱少睡止燥渴利小便養肝氣[本草]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번열을 없애고 잠이 적어지게 하며 조갈(燥渴)을 멎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간기(肝氣)를 보양한다[본초].
小麥皮寒肉熱合湯皆完用之不許皮瞬瞬則溫明恪不能消熱止煩也[本草]
밀껍질(小麥皮)은 성질이 차고[寒] 쌀알은 성질이 열[熱]하다.
달임약[湯]에 넣을 때에는 껍질채로 넣어서 껍질이 터지지 않게 달여야 한다.
그것은 껍질이 터지면 성질이 따뜻해지기[溫] 때문이다.
이것으로 보아 껍질을 버린 밀가루는

열과 답답한 것[煩]을 없애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본초].
秋種夏熟受四時氣足自然兼有寒溫恪熱掦冷宜其然也[本草]
가을에 심으면 여름에 익기 때문에 4철의 기운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자연히 차고 따뜻한[寒溫] 성질을 겸하게 된다.
가루는 성질이 열[熱]하고 밀기울( )은 성질이 찬데[冷] 이것은 당연한 일이다[본초].
凡麥秋種冬長春秀夏實具四時中和之氣故爲五穀之貴

地煖處亦可春種至夏便收受氣不足故有毒而恪性亦冷也[本草]
밀은 가을에 심고 겨울에 자라서 봄에 이삭이 패고

여름에 익기 때문에 4철의 고른 기운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5곡에서 제일 귀한 것이다.

기후가 따뜻한 곳에서는 봄에 심었다가 여름에 걷어들이기도 하나
이것은 기를 부족하게 받기 때문에 독이 있다.
그리고 이것으로 낸 가루는 성질이 또한 차다[冷][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食麵][한식면]  (0) 2019.02.15
[麵][면]   (0) 2019.02.15
[盐米][출미]   (0) 2019.02.15
[丹黍米][단서미]   (0) 2019.02.14
[黍米][서미]   (0) 2019.02.14

[盐米][출미 / 찰기장쌀] 

性微寒(一云平)味甘無毒
利大腸療漆瘡殺瘡疥毒熱壅
五藏氣動風不可常食[本草]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대장을 순조롭게 하고 옻이 올라 헌 것[漆瘡]을 치료하며 옴독과 열을 없앤다.
그러나 5장의 기운을 막히게 하고 풍(風)을 동(動)하게 하기 때문에 늘 먹어서는 안 된다[본초].
仙家重此  作酒最勝餘米[本草]
도교를 믿는 사람들은 이것을 귀하게 여기면서

술을 만드는 데는 다른 쌀보다 좋다고 한다[본초].
此人以作酒及煮糖者[本草]
사람들은 이것으로 술과 엿을 만든다[본초].
似黍米而粒小
北人謂之  黃米  亦謂  黃姎 釀酒最佳[本草]
기장(黍米)과 비슷하나 알이 잘다.
북쪽 지방 사람들은 이것을 보고 황미(黃米)라고도 하고 황나라고도 하는데

술을 만드는 데는 제일 좋은 것이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麵][면]   (0) 2019.02.15
[小麥][소맥]   (0) 2019.02.15
[丹黍米][단서미]   (0) 2019.02.14
[黍米][서미]   (0) 2019.02.14
[白粱米][백량미]  (0) 2019.02.14

[丹黍米][단서미 / 붉은 기장쌀] 


性溫味苦無毒主咳槊囍亂止泄止渴[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기침하면서 기운이 치미는 것과 곽란을 치료하는데 설사와 갈증을 멎게 한다[본초].
此卽赤黍米也皮赤而米黃[本草]
이것이 바로 붉은 기장쌀인데 껍질은 붉고 쌀알은 누렇다[본초].
黍有二種米粘者爲盐可以釀酒不粘者爲黍可食之如稻之有粳姎耳[本草]
기장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쌀이 찰진 것을 찰기장이라고 하는데 술을 만들 수 있고 찰지지 않은 것을

기장(黍)이라고 하는데 밥을 지어서 먹는다.
이것은 벼(稻)에 멥쌀벼(粳)와 찹쌀벼(拏)가 있는 것과 같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麥][소맥]   (0) 2019.02.15
[盐米][출미]   (0) 2019.02.15
[黍米][서미]   (0) 2019.02.14
[白粱米][백량미]  (0) 2019.02.14
[黃粱米][황량미]   (0) 2019.02.14

[黍米][서미 / 기장쌀] 

性溫味甘無毒益氣補中不可久食令人多熱煩[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기를 돕고 중초를 보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열이 많이 나고 답답증[煩]이 생긴다[본초].
有小毒不堪久服昏五藏令人多睡[本草]
독이 약간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먹지 말아야 한다.
5장의 기능을 장애해서 잠이 많게 한다[본초].
似粟而非粟穀之類也

有丹赤黑三種肺之穀也肺病宜食之[入門]
조(粟)와 비슷하나 조의 종류는 아니다.
벌건 것[丹], 새빨간 것[赤], 검은 것[黑] 등 3가지 종류가 있다.
이것은 폐와 관련된 곡식이므로 폐병에 먹으면 좋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盐米][출미]   (0) 2019.02.15
[丹黍米][단서미]   (0) 2019.02.14
[白粱米][백량미]  (0) 2019.02.14
[黃粱米][황량미]   (0) 2019.02.14
[靑梁米][청량미]   (0) 2019.02.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