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陳粟米][진속미 / 묵은 좁쌀]

味苦主胃熱消渴利小便止痢[本草]
맛이 쓰다[苦].
위열과 소갈을 치료하는데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이질을 멎게 한다[본초].
陳者謂經三五年者[本草]
묵었다는 것은 3~5년 지난 것을 말하는 것이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粟米厹汁][속미감즙]   (0) 2019.02.14
[粟米粉][속미분]   (0) 2019.02.14
[粟米][속미]   (0) 2019.02.14
[故麻鞋底][고마혜저]   (0) 2019.02.13
[麻根][마근]   (0) 2019.02.13

[粟米][속미 / 좁쌀]

性微寒味酸無毒養腎氣去脾胃中熱益氣利小便益脾胃[本草]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맛이 짜며 독이 없다.
신기(腎氣)를 보양하고 비위 속의 열[脾胃中熱]을 없애며

기를 보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비위를 돕는다[본초].
粟米細於粱米顆粒小者是粟㵋大者是粱[本草]
좁쌀은 기장쌀(梁米)보다 잘다.
그러므로 알이 작은 것은 조이고 큰 것은 기장이다[본초].
粟從燿從米象形也卽今之小米也五穀中最硬故謂之硬粟[入門]
조 ‘속(粟)’자를 서녘 ‘서(西)’자와 쌀 ‘미(米)’자를 따서 만든 것은

서쪽 지방에서 나는 쌀이라는 뜻이다.
이것이 바로 요즘 소미(小米)라고 하는 것인데

5곡 가운데서 제일 굳기 때문에 경속(硬粟)이라고도 한다[입문].
黍稷稻粱禾麻菽麥乃八穀也

陶隱居以禾爲粟朱子詩註明言禾者穀連藁厗之總名盖八穀有粟則是盖言粱則包粟在中[入門]
기장(黍), 피(稷), 벼(稻), 수수(梁), 조(禾), 참깨(麻), 콩(菽), 보리(麥)

이것이 8가지 곡식에 속한다.
도은거(陶隱居)는 화(禾)를 조라고 하였고 주자(朱子)의 시경주(詩經註)에는

“화(禾)란 곡식이 짚에 달려 있는 채로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고 정확히 씌어 있다.
8가지 곡식 가운데 조를 넣은 것은 양(梁) 속에 조를 포함시킨 것이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粟米粉][속미분]   (0) 2019.02.14
[陳粟米][진속미]   (0) 2019.02.14
[故麻鞋底][고마혜저]   (0) 2019.02.13
[麻根][마근]   (0) 2019.02.13
[麻葉][마엽]   (0) 2019.02.13

[故麻鞋底][고마혜저 / 헌 삼신짝의 바닥]

主囍亂及解食牛馬肉中毒又解紫石英毒[本草]
곽란을 낫게 하고 소와 말고기의 중독을 풀어주고, 또 자석영독을 푼다[본초].
一名[千里馬]取故破者用[本草]
일명 천리마(千里麻)라고 하는데 오래 묵어서 모두 떨어진 것이 더 좋은 것이다.
路傍棄草鞋鼻繩亦名千里馬治難産用之[良方]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陳粟米][진속미]   (0) 2019.02.14
[粟米][속미]   (0) 2019.02.14
[麻根][마근]   (0) 2019.02.13
[麻葉][마엽]   (0) 2019.02.13
[麻提][마분]   (0) 2019.02.13

[麻根][마근 / 삼뿌리]

主産難衣不出破瘀血下石淋煮取汁服之[本草]
난산(難産)과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衣不出]을 치료한다.
어혈을 헤치고[破瘀血] 석림(石淋)이 나오게 한다.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粟米][속미]   (0) 2019.02.14
[故麻鞋底][고마혜저]   (0) 2019.02.13
[麻葉][마엽]   (0) 2019.02.13
[麻提][마분]   (0) 2019.02.13
[白油麻油][백유마유]   (0) 2019.02.13

[麻葉][마엽 / 삼잎]

主籵盤煮湯沐頭髮長潤[本草]
회충( 蟲)을 죽인다.
삼잎 삶은 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털이 길게 자라고 윤택해진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故麻鞋底][고마혜저]   (0) 2019.02.13
[麻根][마근]   (0) 2019.02.13
[麻提][마분]   (0) 2019.02.13
[白油麻油][백유마유]   (0) 2019.02.13
[白油麻葉][백유마엽]   (0) 2019.02.13

[麻提][마분 / 삼꽃가루]

性平味辛有毒破積止痺散服多食令人見鬼狂走[本草]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매우며[辛] 독이 있다.
적을 헤치고[破積] 비증(痺證)을 낫게 한다.
가루로 먹는데 많이 먹으면 미친다[본초].
一名[麻勃]此麻花上勃勃者七月七日採良[本草]
일명 마발(麻勃)이라고도 하는데 삼꽃에서 날리는 꽃가루를 말한다.
음력 7월초에 받은 것이 좋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根][마근]   (0) 2019.02.13
[麻葉][마엽]   (0) 2019.02.13
[白油麻油][백유마유]   (0) 2019.02.13
[白油麻葉][백유마엽]   (0) 2019.02.13
[白油麻][백유마]   (0) 2019.02.13

[白油麻油][백유마유 / 흰참깨기름]

性大寒(一云冷)無毒下三焦熱毒氣通大小腸滑骨髓困脾藏[本草]
성질은 몹시 차고[大寒](냉(冷)하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3초(三焦)에 있는 열독기운을 내리고 대소장을 통하게 하며

골수를 미끄럽게 하는데 비장에 부담을 준다[본초].
治籵心痛殺一切盤付諸瘡疥癬[本草]
회충으로 명치 밑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모든 충을 다 죽인다.

또한 모든 헌데[諸瘡]와 옴버짐[疥癬]에도 바른다[본초].
搗脂麻壓瑄爲油生瑄者入藥炒熟者可供食一名[香油][本草]
참깨를 짓찧어 눌러서 기름을 짜는데 생것으로 짠 기름은 약으로 쓰고

닦아 익혀서 짠 기름은 식용으로 쓴다.

이것을 일명 향유(香油)라고도 한다[본초].
牙齒病幷脾胃疾人切不可喫[本草]
잇병[牙齒病]이나 비위병(脾胃病)에는 절대로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陳油煎膏生肌長肉消癰腫補皮裂[本草]
묵은 기름으로 만든 고약(陳油煎膏)은 새살이 살아나게 하고

옹종(癰腫)을 삭히며 피부가 터진 것을 아물게 한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葉][마엽]   (0) 2019.02.13
[麻提][마분]   (0) 2019.02.13
[白油麻葉][백유마엽]   (0) 2019.02.13
[白油麻][백유마]   (0) 2019.02.13
[胡麻油][호마유]   (0) 2019.02.13

[白油麻葉][백유마엽 / 흰참깨잎]

搗和漿水取汁沐頭去風潤髮[本草]
짓찧어 신좁쌀웃물(漿水)과 섞어서 즙을 내어 머리를 감으면

풍사가 헤쳐지고 머리털이 윤택해진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提][마분]   (0) 2019.02.13
[白油麻油][백유마유]   (0) 2019.02.13
[白油麻][백유마]   (0) 2019.02.13
[胡麻油][호마유]   (0) 2019.02.13
[靑槃][청양]  (0) 2019.02.13

[白油麻][백유마 / 흰참깨]

性大寒無毒滑腸胃通血怴行風氣潤肌膚[本草]
성질이 몹시 차고[大寒] 독이 없다.
장위를 미끄럽게 하고 혈맥을 통하게 하며 풍사를 헤치고[行風]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본초].
油麻有二種白者潤肺黑者潤腎[本草]
참깨는 2가지가 있는데 흰 것은 폐(肺)를 눅여 주고 검은 것은 신(腎)을 눅여 준다[본초].
白油麻與胡麻一等但以色言之今人止謂之脂麻生則寒炒則熱[本草]
흰참깨도 검정참깨와 같은 것인데 오직 빛깔을 보고 갈라 놓았다.
그러므로 요즘은 다 참깨라고만 한다.
생것은 성질이 찬데[寒] 볶으면 성질이 열(熱)해진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油麻油][백유마유]   (0) 2019.02.13
[白油麻葉][백유마엽]   (0) 2019.02.13
[胡麻油][호마유]   (0) 2019.02.13
[靑槃][청양]  (0) 2019.02.13
[赤小豆花][적소두화]   (0) 2019.02.13

[胡麻油][호마유 / 검정참깨기름]


性微寒(一云大寒)主天行熱秘腸內結熱殺盤[本草]
성질이 약간 차다[微寒](몹시 차다[大寒]고도 한다).
돌림열병[天行]으로 변비가 되고 장 속에 열이 몰린 것을 풀며 충(蟲)을 죽인다[본초].
利大腸胞衣不落摩瘡腫惡瘡生禿髮[本草]
대변이 잘 나가게 하고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을 나오게 한다.
창종(瘡腫)과 악창(惡瘡)에도 바르는데 머리털이 빠진 것도 나오게 한다[본초].
是胡麻生瑄油也若蒸炒則可供作食及燃燈不入藥用也[本草]
이것은 생검정참깨를 짜서 낸 기름이다.
찌거나 볶아서 낸 것은 먹거나 등불기름으로 쓰고 약으로는 쓰지 못한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油麻葉][백유마엽]   (0) 2019.02.13
[白油麻][백유마]   (0) 2019.02.13
[靑槃][청양]  (0) 2019.02.13
[赤小豆花][적소두화]   (0) 2019.02.13
[赤小豆葉][적소두엽]   (0) 2019.02.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