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癰疽雜證][옹저잡증]

 

有癰疽煩渴 有癰疽嘔逆

有癰疽痰盛 有癰疽寒熱

有癰疽作痛 有癰疽泄瀉.

옹저 때 번갈(煩渴)이 나는 것, 옹저 때 구역이 나는 것,

옹저 때 담(痰)이 성(盛)한 것, 옹저 때 춥다가 열이 나는 것,

옹저 때 몹시 아픈 것, 옹저 때 설사가 나는 것들이다.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癰疽嘔逆][옹저구역]  (0) 2020.12.03
[癰疽煩渴][옹저번갈]  (0) 2020.12.03
[禽獸肉生疔][금수육생정]  (0) 2020.12.03
[拔毒法][발독법]  (0) 2020.12.03
[疔疽死證][정저사증]  (0) 2020.12.03

[食疫死牛馬禽獸肉生疔][식역사우마금수육생정]

 

近見患疔者 皆是食 自死牛馬禽獸之肉而生此疾 十患十死,

宜急取 紫金錠半錠 淡酒化下,

重者 服一錠, 外用 凉水磨塗疔上 日夜各數次 或吐利神效.

요즘 정창을 앓는 사람들을 보면 모두 저절로 죽은 소, 말, 새, 짐승의 고기를 먹고 생긴 것들이다.

이 병에 걸린 사람이 열 사람이면 열 사람이 다 죽는다.

이런 때에는 빨리 자금정(紫金錠) 반 알을 도수가 약한 술에 풀어서 먹어야 하는데

병이 심하면 1알을 먹는다.

그리고 겉에는 이 약을 찬물에 풀어서 밤낮으로 몇 번 바르면 혹 토하거나 설사하고 잘 낫는다.

 

白頸蚯蚓 八九條 擂爛和酒 濾去滓 飮之.

其滓塗疔四圍 留頭出毒氣.

흰 줄이 있는 지렁이(구인) 8-9마리를 짓찧어 술에 탄 다음 걸러서 마시고

그 찌꺼기는 정창에 바르는데 끝은 내놓고 둘레에 바른다.

그러면 독기가 빠져 나온다.

 

大蜘蛛一箇 放疔上 自咂其毒 連易3~5箇 其毒自敗 以蜘蛛入水 不傷蛛命

又兼用蜞鍼法(種杏).

살아 있는 말거미(대지주) 1마리를 정창 위에 놓아두면

독기를 빨아먹는데 3-5마리를 갈아대면서 빨아 먹게 하면 독기가 저절로 없어진다.

이런 거미는 물을 먹어도 죽지 않는다.

또한 겸해서 기침법( 鍼法,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써야 한다[종행].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癰疽煩渴][옹저번갈]  (0) 2020.12.03
[癰疽雜證][옹저잡증]  (0) 2020.12.03
[拔毒法][발독법]  (0) 2020.12.03
[疔疽死證][정저사증]  (0) 2020.12.03
[脫疽疔][탈저정]  (0) 2020.12.03

[拔毒法][발독법]

 

疔瘡 有毒根在內 須拔去乃可救,

黑牯牛牽於石上 必撒糞 候糞上生菌

取焙乾與豨簽草葉 等分爲末 用竹筒兩頭去節 套在疔上 陷入肉內 以線緊縛

取藥末一匙 滴水和之 放於筒內 少時藥滾 起則疔自拔 起未效 則漸加度數,

其疔必拔 拔去後 以,

金銀白芷散調之(正傳). 

정창 속에는 독이 있는 근(根)이 있으므로 반드시 그것을 빼내야 살 수 있다.

검정암소를 바위 있는 데로 끌고 가면 반드시 똥을 누는데

그 위에 돋은 버섯을 따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이것을 진득찰잎(희렴초엽)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낸다.

그 다음 참대통을 양쪽마디를 잘라서 구멍이 통하게 하여

헌데 위에 씌우되 살이 푹 들어가도록 씌우고 실로 동여맨다.

그 다음 그 참대대롱 속으로 약가루 1숟가락을 물에 개어 넣는다.

그러면 좀 있다가 약이 끓어오르면서 정창의 근이 저절로 빠진다.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면 약을 좀 더 넣으면서 몇 번 더 해야 한다.

그러면 반드시 정창의 근이 빠진다.

근이 빠진 다음에는 금은백지산을 써서 조리해야 한다[정전].

 

宜用廻瘡錠子 或保生錠子 四聖旋疔散 拔去疔根 調治(精義).

회창정자나 보생정자, 사성선정산으로 정창의 근을 빼고 조리하는 치료를 해야 한다[정의].

 

蒼耳莖葉燒灰醋塗疔上, 乾則易, 不過十度卽根出 和雄黃尤妙(本草)

도꼬마리의 줄기와 잎[蒼耳莖葉]을 태워 가루내서 식초에 개어

정창에 바르는데 마르면 다시 바르기를 10번 하지 않아 곧 정창의 근이 빠진다.

석웅황을 섞어 쓰면 더 좋다[본초].

 

蟬脫 白殭蠶爲末 醋調 留瘡口 塗四圍竢疔根出拔去(綱目).

매미허물(선태)과 백강잠을 가루내어 식초에 개서

헌데 구멍둘레에 발라도 정창의 근이 빠진다[강목].

 

蜣蜋 安濃米泔 小盞中以火逼之 虫熱喫泔及困死

腦中白肉 新瓦上焙爲末 熱酒調7.5g服 仍以少許塗疔上 根自出(資生).

말똥구리(강랑)를 걸쭉한 쌀 씻은 물과 함께 작은 잔에 담아서

불 위에 놓으면 말똥구리가 뜨거워하면서 쌀 씻은 물을 먹다가 지쳐서 죽는다.

그 다음 그 말똥구리 대가리 속의 허연 살을 발라내서 새 기왓장 위에 놓고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이것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더운 술에 타 먹고

이어 조금씩 헌데에 바르면 근이 저절로 빠져 나온다[자생].

 

一云  蜣蜋於心腹下度取之 其肉稍白 貼疔上 根出卽愈(本草).

어떤 데는 말똥구리의 뱃속에 있는 약간 허연 살을 발라서 헌데에 붙이면

근이 빠지고 곧 낫는다고 씌어 있다[본초].

 

斑猫一枚 捻破 以鍼刺疔上封之 根卽出.

반묘 1마리를 비벼서 부스러뜨려 쓰는데

침으로 정창을 짼 다음 거기에 붙이면 근이 곧 빠진다.

 

取黑虱十枚 置疔上 以荻箔繩作炷灸虱上 卽根出.

씀바귀(고거)의 줄기 속에 있는 허연 즙을 내서 정창에 붙이면 근이 빠진다.

 

馬齒莧 和梳垢爛搗封疔上 根出(本草).

쇠비름(마치현)을 짓찧어 정창에 붙이면 근이 빠진다[본초].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癰疽雜證][옹저잡증]  (0) 2020.12.03
[禽獸肉生疔][금수육생정]  (0) 2020.12.03
[疔疽死證][정저사증]  (0) 2020.12.03
[脫疽疔][탈저정]  (0) 2020.12.03
[魚臍疔][어제정]  (0) 2020.12.03

[疔疽死證][정저사증]

 

疔瘡 含蓄毒氣 突出寸許 痛痒異常1~2日間 害人甚速 是尤在癰疽之上也(直指).

정창 때 독기가 몰려서 1치 정도 되게 도드라져 올라오고

몹시 아프며 가려운 것은 1-2일 사이에 죽을 수 있다.

이렇게 되는 것이 몹시 빠른데 옹저보다 더 심하다[직지].

 

疔毒 入心則口乾煩悶 恍惚似醉 嘔吐不定 危證也.

萬病解毒丹(卽紫金錠也) 以黃連當歸煎湯化下 或賽命丹 然眞人奪命丹, 皆可服(入門).

정저의 독기가 가슴으로 올라오면 입이 마르고 안타깝게 답답하며

정신이 취한 것 같이 얼떨떨하고 토하면서 진정하지 못하는데 이것은 위험한 증상이다.

이런 데는 만병해독단(자금정)을 황련과 당귀를 달인 물에 풀어서 먹는다.

혹은 새명단, 연연진인탈명단 등을 먹는 것도 좋다[입문].

 

疔毒 入心腹則煩悶嘔逆 恍惚癡眠 其斃 可立待也(直指).

정저의 독기가 가슴으로 들어가서 가슴이 안타깝게 답답하고 구역이 나며

정신이 조는 것 같이 얼떨떨하고 멍청해지면 곧 죽을 수 있다[직지].

 

疔瘡 走黃過心者 難治,

若太重則嘔逆, 嘔逆者難治, 姑用乳粉托裏散方見下止之(三因).

疔瘡 出冷汗者死(三因).

정창( 瘡)으로 주황증(走黃證)㈜이 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만일 몹시 중해지면 구역이 난다.

구역이 나게 되면 치료하기 매우 어려운데

이때에는 유분탁리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써서 멎게 해야 한다[삼인].

정저 때 찬 땀이 나면 죽을 수 있다[삼인].

 

人有暴死者 多是疔毒,

急以燈照遍身 若有小瘡 急灸之, 幷服賽命丹, 亦有復甦者(入門).

사람이 갑자기 죽을 것 같이 되는 때가 있는데 그것은 흔히 정독( 毒)으로 생기는 것이다.

이때에는 빨리 온몸에 등불을 비쳐보아 작은 헌데가 있으면

빨리 뜸을 뜬 다음 새명단을 먹여야 낫는다[입문].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禽獸肉生疔][금수육생정]  (0) 2020.12.03
[拔毒法][발독법]  (0) 2020.12.03
[脫疽疔][탈저정]  (0) 2020.12.03
[魚臍疔][어제정]  (0) 2020.12.03
[紅絲疔][홍사정]  (0) 2020.12.02

[脫疽疔][탈저정]

 

內經曰 “膏粱之變 足生大疔 盖因膏粱主色 蘊積惡毒 或久患消渴之餘 多有此瘡”

靈樞經 所謂

“發於足傍 名曰厲疽 發於足指 名曰脫疽 其狀赤黑者死不治 治不衰急斬之 否則死” 謂此也,

謂之 脫疽 以其指節 潰爛 脫去也(入門).

내경에 “기름진 음식을 지나치게 먹으면 발에 큰 정창( 瘡)이 생긴다”고 씌어 있다.

대개 기름진 음식과 주색으로 말미암아 나쁜 독기가 몰리고

뭉쳤을 때나 소갈을 오래 앓은 뒤에 흔히 이런 헌데가 생긴다.

영추경에 “발의 옆에 난 헌데를 여저( 疽)라고 하고 발가락에 난 헌데를 탈저(脫疽)라고 하는데

그 생김새가 검붉은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치료하여도 낫지 않으면 빨리 잘라버려야 하지 그렇지 않으면 죽울 수 있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

탈저라는 것은 발가락마디가 헤어지고 썩어서 떨어져 나간다는 말이다[입문].

 

輕者 色赤自潰 先用隔蒜灸 內服仙方活命飮方見上 還魂散.

重者 色黯不痛 先用隔蒜灸 更服 賽命丹及補藥 庶可保生.

경(輕)한 것은 빛이 벌겋고 저절로 터지는데 이때에는

먼저 그 위에 마늘뜸을 뜬 다음 곧 선방활명음(처방은 위에 있다)이나 환혼산을 먹어야 한다.

중(重)한 것은 빛이 컴컴하면서 아프지 않은데 이때에는

먼저 그 위에 마늘(蒜)을 놓고 뜸을 뜬 다음 새명단(처방은 위에 있다)과 보약을 겸해 먹으면 살 수 있다.

 

甚者 赤變爲黑 急須在指則斬 在肉則割 否則黑延上足必死.

外治 用桐油及無名異煎 一沸 入川椒一勺 看瘡大小 剪蓼葉在內同煎 浸7日後

單以此葉瘡上卽安(入門)

심해질 때에는 벌겋던 것이 거멓게 변하는데

그것이 발가락뼈에까지 들어갔으면 잘라버리고 살만 그렇게 되었으면 베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거먼 것이 발잔등으로 퍼져서 반드시 죽게 된다.

겉으로 치료하는 약은 다음과 같다.

오동나무기름[桐油]과 무명이(無名異)를 한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조피열매(천초) 1작과 섞은 다음

여기에 여뀌잎(蓼葉)을 헌데의 크기에 맞게끔 잘라서 넣고 다시 달여 7일 동안 두었다가

그 여뀌잎을 헌데에 붙이면 곧 낫는다[입문].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拔毒法][발독법]  (0) 2020.12.03
[疔疽死證][정저사증]  (0) 2020.12.03
[魚臍疔][어제정]  (0) 2020.12.03
[紅絲疔][홍사정]  (0) 2020.12.02
[疔疽治法][정저치법]  (0) 2020.12.02

[魚臍疔][어제정]

 

又有一種瘡頭黑深 形如魚臍 破之滲出黃水 四畔浮漿 謂之魚臍疔 其毒尤甚.

絲瓜葉 連鬚葱白 韭葉各等分 硏搗如泥 取汁 以酒和服 其滓貼腋下 如病在左手

貼左腋下 在右手 貼右腋下 在剉脚貼左胯

在右脚貼右胯 在身中貼心臍幷以帛 縛住 候肉下紅絲 皆白則安矣.

或蛇退燒灰 雞子淸調付 內服 神仙解毒丸(丹心).

헌데의 한 가지이다.

헌데 끝이 거멓고 뿌리가 깊어서 마치 물고기 배꼽 같은데 터지면 누런 물이 나오고

언저리가 들뜨기 때문에 어제정이라고 한다.

이런 것은 독이 아주 심하다.

이런 데는 수세미오이잎(사과엽), 뿌리가 달린 파밑(총백), 부추잎(구엽)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풀지게 짓찧은 다음 즙을 내어 술에 타서 먹는다.

다음 그 찌꺼기를 겨드랑이에 붙이는데 만약 왼쪽 손에 생겼으면 왼쪽 겨드랑이에 붙이고

오른쪽 손에 생겼으면 오른쪽 겨드랑이에 붙인다.

왼쪽 다리에 생겼으면 왼쪽 자개미에 붙이며 오른쪽 다리에 생겼으면 오른쪽 자개미에 붙이고

몸 가운데 생겼으면 배꼽 중심에 붙인다.

그 다음 천으로 동여매 두는데 살 밑에 생겼던 벌건 줄이 다 허옇게 되면 낫는다.

혹은 뱀허물을 태워 가루내서 달걀 흰자위에 개어 붙이고 신선해독환을 먹는다[단심].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疔疽死證][정저사증]  (0) 2020.12.03
[脫疽疔][탈저정]  (0) 2020.12.03
[紅絲疔][홍사정]  (0) 2020.12.02
[疔疽治法][정저치법]  (0) 2020.12.02
[疔疽形證][정저형증]  (0) 2020.12.02

[紅絲疔][홍사정]

 

疔瘡或有一條 如紅線直上 倉卒之際 急用鍼於紅線 所至處刺出毒血

然後 以蟾酥 乳香等膏於正瘡內塗之 鍼時以病者知痛出血爲好 否則紅線入腹 必死危殆(綱目). 

정창이 생겼는데 혹 한 줄기의 벌건 줄이 잠깐 사이에 곧추 뻗어 올라가는 것을 말한다.

이때에는 빨리 침으로 벌건 줄이 뻗은 곳을 찔러서 독한 피를 뺀 다음

섬소나 유향 등으로 만든 고약을 정창에 발라야 한다.

침을 놓을 때 환자가 아픔을 느끼고 피가 나오면 좋다.

그렇지 못하고 벌건 줄이 배로 뻗어 들어가면 반드시 위험하다[강목].

 

疔生兩足 多有紅絲至臍 疔生兩手 多有紅絲至心

疔生面部 多有紅絲 入喉者 俱難治 急鍼其絲出血 以泄其毒 方可保生(入門).

정창이 양쪽 다리에 생기면 흔히 벌건 줄이 배꼽이 있는 데까지 뻗어가고

양팔에 생기면 벌건 줄이 심장이 있는 부위에까지 뻗어간다.

정창이 얼굴에 생기면 벌건 줄이 목에까지 뻗어가는데 이런 것들은 다 치료하기 어렵다.

그러나 빨리 벌건 줄이 생긴 곳을 침으로 찔러 피를 빼내어 독기가 나오면 살 수 있다[입문].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脫疽疔][탈저정]  (0) 2020.12.03
[魚臍疔][어제정]  (0) 2020.12.03
[疔疽治法][정저치법]  (0) 2020.12.02
[疔疽形證][정저형증]  (0) 2020.12.02
[疔疽][정저]  (0) 2020.12.02

[疔疽治法][정저치법]

 

凡所瘡毒氣攻心欲死 以鍼刺瘡心

若覺痛有血 下錠子 若累刺至心側皆不痛無血

者 急刺百會穴 痛有血者下錠子 若無血 以親人熱血 代之,

猶活三四 宜用廻瘡錠子 碧霞錠子 廻瘡蟾酥錠子(精義).

대체로 정창의 독기가 속으로 들어가서 죽을 것같이 되었을 때에는

침으로 헌데의 가운데를 찔러보아야 하는데

만약 아프면서 피가 나오면 거기에 정자(錠子)를 넣어야 한다.

여러 번 헌데의 중심 가까이까지 들어가도록 찔러도 아프지 않고 피도 나오지 않을 때에는

빨리 백회혈(百會穴)에 침을 놓는 것이 좋다.

아프면서 피가 나오면 정자를 넣고 피가 나오지 않으면 친척의 피를 넣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하면 10명 가운데 3-4명은 살릴 수 있다.

회창정자, 벽하정자, 회창섬소정자를 쓰는 것이 좋다[정의].

 

又法 急以艾炷灸之 鍼疔事變 皆令血出 以廻瘡錠子糸任之

上用膏藥 貼之 因服五香連翹湯 千金漏蘆湯 踈下之.

若鍼之不痛 無血者 以猛火燒鐵鍼 通赤於瘡上烙之 令如焦炭

取痛爲效 亦糸任前錠子 硬1~2日 膿潰根出 服托裏湯散以取平復(精義). 

또 한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빨리 약쑥(艾)으로 뜸을 뜨고

정저의 4방에 침을 놓아서 피를 나오게 한 다음 거기에 회창정자(廻瘡錠子)를 꽂아 넣는다.

다음 그 위에 고약을 붙이고 곧바로 오향연교탕이나

천금누로탕(이 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어서 설사시켜야 한다.

침으로 찔러도 아프지 않고 피도 나오지 않을 때에는

센 불에 침을 벌겋게 달구어 헌데가 거멓게 타지고 아프도록 지지면 효과가 있다.

또한 앞에 있는 정자들을 꽂아 넣어도 1-2일 지나면 곪아 터지고 근이 빠져 나온다.

그 다음 탁리하는 달임약이나 가루약을 먹으면 낫는다[정의].

 

治法 急用飛龍奪命丹 或雄黃丸 下之.

去其毒熱 次服 化毒丸 及二活散(正傳).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빨리 비룡탈명단이나 웅황환으로 설사시켜 열독을 없앤 다음 화독환이나 이활산을 먹어야 한다[정전].

 

實者 初服 賽命丹3丸 以葱酒發表,

虛者 服保生錠子 以解毒(入門).

든든한 사람은 처음에 새명단(처방은 위에 있다) 3알을 파를 담근 술로 먹어서 발산시켜야 하고

허약한 사람은 보생정자를 먹어서 독을 풀어야 한다[입문].

 

通治紫金錠 返魂丹 一捻金散 神效, 奪命丹 蟾酥丸 獨蟾丸 五聖湯 還魂散 千金消毒散 選用.

자금정, 반혼단, 일념금, 신효탈명단, 섬소환, 독섬환, 오성탕, 환혼산, 천금소독산에서 골라 쓴다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魚臍疔][어제정]  (0) 2020.12.03
[紅絲疔][홍사정]  (0) 2020.12.02
[疔疽形證][정저형증]  (0) 2020.12.02
[疔疽][정저]  (0) 2020.12.02
[流注骨疽][유주골저]  (0) 2020.12.01

[疔疽形證][정저형증]

 

疔疽 生黃疱中 或紫黑色

初發必先痒後痛 先寒後熱 四肢沈重 頭痛心驚 眼花

若大重則嘔逆爲難治(三因).

정저 때에는 살이 누렇게 부풀어 오르는데 그 가운데가 혹 검붉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초기에는 반드시 먼저 가렵다가 아프고 춥다가 열이 나며

팔다리가 무겁고 머리가 아프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눈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보인다.

몹시 심해지면 구역이 나는데 이와 같이 되면 치료하기 어렵다[삼인].

 

瘡頭黑硬如釘 四畔帶赤如火盤根突起

隨變焦黑 未幾腫大而光 轉爲濕爛深孔 透肌如大鍼穿之狀(入門).

헌데 꼭대기가 거멓고 뜬뜬하여 못같고 

그 둘레가 불같이 새빨갛게 되면서 벌건 줄이 사방으로 퍼져나가고 도드라져 올라온다. 

그러나 곧 거멓게 되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몹시 부어서 번들번들해진다. 

그러다가 점차 물기가 돌면서 헤쳐지고 구멍이 깊이 뚫리는데 

마치 굵은 침으로 뚫어 놓은 것 같다[입문]. 

 

外證 心驚 頭痛 拘急 惡寒 四肢痛强

或寒熱交作 頰舌間赤黑 點點如珠(直指).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가슴이 두근거리고 머리가 아프며 몸이 가드라들고 오한이 나며

팔다리가 아프면서 뻣뻣해지고 혹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뺨과 혀의 여기저기에 검붉고 구슬같은 점이 생긴다[직지].

 

或不痛痒 只麻木寒熱 眼中流火 牙關緊急 時時驚惕 甚則嘔吐

(諸證中嘔吐最危)

以鍼刺瘡 不痛無血 是其候也(精義).

아프지도 않고 가렵지도 않으면서 단지 감각만 둔해지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눈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빙빙 돌고 이를 악물며 때로 놀라는데 심하면 토한다.

(여러 가지 증상에서 토하는 것이 제일 위급한 것이다).

침으로 헌데를 찔러도 아프지 않고 피가 나오지 않는 것이 정저의 증상이다.

또한 가운데가 움푹 꺼져 들어간 것이 못대가리 같으면서 만져보면 근(根)이 있는 것이 정저이다[정의].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紅絲疔][홍사정]  (0) 2020.12.02
[疔疽治法][정저치법]  (0) 2020.12.02
[疔疽][정저]  (0) 2020.12.02
[流注骨疽][유주골저]  (0) 2020.12.01
[緩疽石疽,賊風辨][완저석저 적풍변]  (0) 2020.12.01

[疔疽][정저]

 

發於足上下 名曰四淫 其狀大癰 不急治之 100日死.

발의 아래 위에 생긴 것을 사음(四淫)이라고 하는데 그 생김새는 큰 옹저와 같다.

이것을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백 일 이내에 죽을 수 있다.

 

發於足 名曰厲疽 其狀不大初 從小指發 急治之 去其黑者不消 輒益不治 100日死.

발의 옆에 생긴 것을 여저( 疽)라고 하는데 그 생김새는 크지 않다.

이것이 처음에는 새끼발가락에 생기는데 이때에 빨리 치료해야 한다.

치료하여도 거먼 것이 삭지 않으면 점차 더 심해져서 백 일 이내에 죽을 수 있다.

 

發於足指 名曰 脫疽 其狀 赤黑者死不治 不赤黑者 不死治之不衰急斬之 否則死(靈樞).

발가락에 생기는 것을 탈저(脫疽)라고 하는데

그 생김새가 검붉은 것은 치료할 수 없고 검붉지 않은 것은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치료하여도 낫지 않을 때에는 빨리 잘라버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죽을 수 있다[영추].

 

膏粱之變 足生大丁(內經).

기름진 음식을 지나치게 먹으면 곧 정창( 瘡)이 생긴다[내경]. 

 

挺槍 初發突起如釘盖 故謂之疔.

近世多見 因食自死牛馬 禽獸之肉而發

或感襲天地暴沴之氣而發 或恣食辛辣厚味 積毒而發

其形有13種 治法皆同.

初期僅一小瘡 殺人於1~2日內 比之癰疽尤毒,

又有紅絲疔 魚臍疔 其毒尤甚(入門).

정창이 처음 생길 때 못대가리 같은 것이 도드라져 나오기 때문에 정( )이라고 한다. 

요즘에 와서는 흔히 저절로 죽은 소나 말이나 새 등 짐승의 고기를 먹고 이 병에 걸리는 것이 있다. 

혹은 천지의 세찬 기운에 감촉되어도 생기고 맛이 맵고 기름진 음식을 절도없이 먹어 독이 몰려도 생긴다. 

그 형태는 13가지이지만 치료법은 다 같다. 

처음 생길 때에는 헌데가 아주 작다. 

그러나 1-2일 사이에 사람을 죽게 하는 것은 옹저보다 더 심하다. 

또한 홍사정(紅絲 )과 어제정(魚臍 )은 독이 더 심하다[입문]. 

 

疔瘡 發無定處 在手足頭面 胸背 骨折間 最急 其餘處爲緩(正傳).

정창이 일정한 곳에 생기지는 않는다.

그러나 팔다리, 머리, 얼굴, 가슴, 등의 뼈마디에 생긴 것이 제일 위급하다.

그 나머지 것은 완만하다[정전].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疔疽治法][정저치법]  (0) 2020.12.02
[疔疽形證][정저형증]  (0) 2020.12.02
[流注骨疽][유주골저]  (0) 2020.12.01
[緩疽石疽,賊風辨][완저석저 적풍변]  (0) 2020.12.01
[附骨疽][부골저]  (0) 2020.12.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