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流注骨疽][유주골저]
流者 行也, 注者 住也, 結塊 或慢腫 皆因素有痰火
或感風寒 邪氣流行 至其痰注之處而發 多生四肢 或胸 腹 腰 臀 關節之處.
初起 宜葱熨法,
實者 十六味流氣飮方見上
腎癰 兼服竹瀝達痰丸方見痰飮 通用榮衛返魂湯合二陳湯方見痰飮, 令其自消自潰.
若潰後久不歛 宜以托裏爲主,
更佐以豆豉餠 琥珀膏 方見雜方, 膿成 以火鍼破之(入門).
유(流)란 돌아간다는 것이고 주(注)란 머물러 있다는 것인데
이때에는 혹 뭉쳐서 멍울이 생기거나 서서히 붓는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평소부터 담화(痰火)가 있는데다
혹 풍한사(風寒邪)가 침범하여 돌아다니다가 담이 머물러 있는 곳에 가면 그렇게 된다.
흔히 팔다리나 가슴, 배, 허리, 엉덩이, 뼈마디 등에 생긴다.
초기에는 파찜질(방법은 아래에 있다)을 하는 것이 좋다.
든든한 사람은 십육미류기음(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면서
죽력달담환(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겸해서 먹어야 한다.
영위반혼탕(榮衛返魂湯)과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섞어서
두루 치료하여 저절로 삭아지게 하거나 터지게 해도 된다.
만일 터진 뒤에 오랫동안 아물지 않을 때에는
탁리(托裏)하는 약을 주로 쓰면서 두시병,
호박고(처방은 잡방위에 있다) 등을 보조약으로 써야 한다.
곪았을 때에는 화침하여 터지게 해야 한다[입문].
流注起於傷寒 傷寒表未盡 遺毒於四肢經絡 澁於所滯而後爲流注也
盖流注者 傷寒之餘毒, 骨疽者 流注之敗證也(回春).
유주(流注)는 상한으로 생긴다. 상한표증(傷寒表證)이 완전히 낫지 못하고
독이 팔다리의 경락(經絡)으로 가면 경락이 막혀 잘 통하지 못하다가 나중에 유주가 생긴다.
대체로 유주는 상한의 남은 독으로 생기고 골저(骨疽)는 유주가 심하게 된 증이다[회춘].
痰飮流注於胸背 頭項 腋脇 腰腿 手足 聚結腫硬
或痛或不痛 按之無血潮,
雖或有微紅 亦淡薄不熱 堅如石 破之無膿,
或有薄血 或出淸水 或如紫汁,
又有壞肉如敗絮 或又如瘰癧 在皮肉之間 如鷄卵 可移動 軟活不硬
破之亦無膿血 鍼口努肉突出 惟覺咽喉痰塞 作寒作熱 榮衛返魂湯主之(醫鑒).
담음이 가슴, 등, 머리, 목, 겨드랑, 옆구리, 허리, 허벅다리, 손발로 돌아다니다가 머물러 몰리면
뜬뜬하게 붓는데 혹 아프기도 하고 아프지 않기도 하다.
그리고 눌러도 피가 몰리지 않는데 혹 약간 벌겋게 되기도 한다.
또한 허여면서 달지도 않고 돌처럼 뜬뜬하며 터져봐도 고름은 없으며
혹 멀건 피가 나오거나 멀건 진물이나 지치즙 같은 것이 나오기도 한다.
또는 살이 썩어서 헌 솜같이 되기도 하고 나력 때처럼 피부와 살 사이에 달걀 같은 것이 생겨서
그것이 이리저리 밀리기도 하는데 뜬뜬하지는 않고 말랑말랑하다.
그리고 터져보면 역시 피고름은 없고 터진 구멍으로 궂은 살이 도드라져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목구멍에 담이 막혀 있는 것 같이 느껴지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한다.
이런 데는 영위반혼탕을 주로 쓴다[의감].
骨疽者 由瘡潰後氣血不榮 骨自脫出膿水 腐潰碎骨出盡方愈.
盖人身有正骨 附骨 傅合成形 附骨出則愈後如常
正骨腐出則爲終身廢疾 隨腫硬之處.
潰後久不愈則必出碎骨,
外用 附子餠灸 或葱熨法,
袪散寒邪 補接榮氣則骨自脫 瘡自歛矣(入門).
골저(骨疽)란 곪아터진 다음 기혈이 영양하지 못하여 뼈가 저절로 떨어져 나오는 것인데
고름, 진문살, 부스러진 뼈가 다 나와야 낫는다.
대체로 뼈에 부골(附骨)이 생기면 유주골저가 되는데 부골이 다 나와야 나아서 평상시와 같아진다.
뼈가 썩어 나오면 영원히 병신이 된다.
그리고 뜬뜬하게 부었던 것이 터진 뒤에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 반드시 뼈가 부스러져 나오는데
이때에는 부자로 만든 떡을 놓고 뜸을 뜨거나 파찜질을 하여 한사(寒邪)를 내보내고
영기(榮氣)를 보해야 부골이 저절로 떨어져 나오고 헌데가 아문다[입문].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疔疽形證][정저형증] (0) | 2020.12.02 |
---|---|
[疔疽][정저] (0) | 2020.12.02 |
[緩疽石疽,賊風辨][완저석저 적풍변] (0) | 2020.12.01 |
[附骨疽][부골저] (0) | 2020.12.01 |
[囊癰][낭옹] (0) | 2020.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