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流注骨疽][유주골저]

 

流者 行也, 注者 住也, 結塊 或慢腫 皆因素有痰火

或感風寒 邪氣流行 至其痰注之處而發 多生四肢 或胸 腹 腰 臀 關節之處.

初起 宜葱熨法,

實者 十六味流氣飮方見上

腎癰 兼服竹瀝達痰丸方見痰飮 通用榮衛返魂湯合二陳湯方見痰飮, 令其自消自潰.

若潰後久不歛 宜以托裏爲主,

更佐以豆豉餠 琥珀膏 方見雜方, 膿成 以火鍼破之(入門). 

유(流)란 돌아간다는 것이고 주(注)란 머물러 있다는 것인데

이때에는 혹 뭉쳐서 멍울이 생기거나 서서히 붓는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평소부터 담화(痰火)가 있는데다

혹 풍한사(風寒邪)가 침범하여 돌아다니다가 담이 머물러 있는 곳에 가면 그렇게 된다.

흔히 팔다리나 가슴, 배, 허리, 엉덩이, 뼈마디 등에 생긴다.

초기에는 파찜질(방법은 아래에 있다)을 하는 것이 좋다.

든든한 사람은 십육미류기음(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면서

죽력달담환(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겸해서 먹어야 한다.

영위반혼탕(榮衛返魂湯)과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섞어서

두루 치료하여 저절로 삭아지게 하거나 터지게 해도 된다.

만일 터진 뒤에 오랫동안 아물지 않을 때에는

탁리(托裏)하는 약을 주로 쓰면서 두시병,

호박고(처방은 잡방위에 있다) 등을 보조약으로 써야 한다.

곪았을 때에는 화침하여 터지게 해야 한다[입문].

 

流注起於傷寒 傷寒表未盡 遺毒於四肢經絡 澁於所滯而後爲流注也

盖流注者 傷寒之餘毒, 骨疽者 流注之敗證也(回春).

유주(流注)는 상한으로 생긴다. 상한표증(傷寒表證)이 완전히 낫지 못하고

독이 팔다리의 경락(經絡)으로 가면 경락이 막혀 잘 통하지 못하다가 나중에 유주가 생긴다.

대체로 유주는 상한의 남은 독으로 생기고 골저(骨疽)는 유주가 심하게 된 증이다[회춘].

 

痰飮流注於胸背 頭項 腋脇 腰腿 手足 聚結腫硬

或痛或不痛 按之無血潮,

雖或有微紅 亦淡薄不熱 堅如石 破之無膿,

或有薄血 或出淸水 或如紫汁,

又有壞肉如敗絮 或又如瘰癧 在皮肉之間 如鷄卵 可移動 軟活不硬

破之亦無膿血 鍼口努肉突出 惟覺咽喉痰塞 作寒作熱 榮衛返魂湯主之(醫鑒).

담음이 가슴, 등, 머리, 목, 겨드랑, 옆구리, 허리, 허벅다리, 손발로 돌아다니다가 머물러 몰리면

뜬뜬하게 붓는데 혹 아프기도 하고 아프지 않기도 하다.

그리고 눌러도 피가 몰리지 않는데 혹 약간 벌겋게 되기도 한다.

또한 허여면서 달지도 않고 돌처럼 뜬뜬하며 터져봐도 고름은 없으며

혹 멀건 피가 나오거나 멀건 진물이나 지치즙 같은 것이 나오기도 한다.

또는 살이 썩어서 헌 솜같이 되기도 하고 나력 때처럼 피부와 살 사이에 달걀 같은 것이 생겨서

그것이 이리저리 밀리기도 하는데 뜬뜬하지는 않고 말랑말랑하다.

그리고 터져보면 역시 피고름은 없고 터진 구멍으로 궂은 살이 도드라져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목구멍에 담이 막혀 있는 것 같이 느껴지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한다.

이런 데는 영위반혼탕을 주로 쓴다[의감].

 

骨疽者 由瘡潰後氣血不榮 骨自脫出膿水 腐潰碎骨出盡方愈.

盖人身有正骨 附骨 傅合成形 附骨出則愈後如常

正骨腐出則爲終身廢疾 隨腫硬之處.

潰後久不愈則必出碎骨,

外用 附子餠灸 或葱熨法,

袪散寒邪 補接榮氣則骨自脫 瘡自歛矣(入門).

골저(骨疽)란 곪아터진 다음 기혈이 영양하지 못하여 뼈가 저절로 떨어져 나오는 것인데

고름, 진문살, 부스러진 뼈가 다 나와야 낫는다.

대체로 뼈에 부골(附骨)이 생기면 유주골저가 되는데 부골이 다 나와야 나아서 평상시와 같아진다.

뼈가 썩어 나오면 영원히 병신이 된다.

그리고 뜬뜬하게 부었던 것이 터진 뒤에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 반드시 뼈가 부스러져 나오는데

이때에는 부자로 만든 떡을 놓고 뜸을 뜨거나 파찜질을 하여 한사(寒邪)를 내보내고

영기(榮氣)를 보해야 부골이 저절로 떨어져 나오고 헌데가 아문다[입문].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疔疽形證][정저형증]  (0) 2020.12.02
[疔疽][정저]  (0) 2020.12.02
[緩疽石疽,賊風辨][완저석저 적풍변]  (0) 2020.12.01
[附骨疽][부골저]  (0) 2020.12.01
[囊癰][낭옹]  (0) 2020.12.01

[緩疽石疽,賊風辨][완저석저 적풍변]

 

緩疽 石疽, 皆寒氣 伏於骨髓之間,

其熱緩慢 積日不潰 久乃紫黑 皮肉俱爛 故名曰緩疽.

완저(緩疽)와 석저(石疽)는 다 찬 기운이 골수 속에 잠복되어 생긴 것이다.

열이 완만하게 나고 여러 날이 되어도 터지지 않다가 오래되어야 검붉어지면서

피부와 살이 다 썩어서 헤쳐지는 것을 완저라고 한다.

 

腫與皮肉相似 疼而堅硬如石 故謂之 石疽.

生商陸根搗爛 和塩少許 塗付,日一換,卽軟.

저가 생겨 부었으나 피부와 살은 변함이 없고

아프면서 돌같이 뜬뜬해지는 것을 석저(石疽)라고 한다.

이런 데는 자리공뿌리(상륙근)를 짓찧어 소금 조금과 섞어서

하루 한번씩 갈아 붙이면 곧 물렁물렁해진다.

 

賊風由風邪搏於骨髓,遇寒則甚,

外證 惡寒有汗 痛處常欲熱熨 失治則變爲彎曲 偏枯.

적풍(賊風)이란 풍사가 골수까지 칩범하여 생긴 것이므로

이때에는 뼈속이 아픈데 차게 하면 더 심해진다.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오한이 나면서 땀이 나고

아픈 곳에 늘 더운 것으로 찜질하고 싶은 것이다.

이것을 제때에 바로 치료하지 않으면 가드라들거나 한쪽을 쓰지 못하게 된다.

 

緩疽 石疽 宜服補虛托裏溫熱之劑,

賊風 宜服越婢湯方見寒門 踈通之劑(入門).

완저나 석저 때에는 허(虛)한 것을 보하고 탁리(托裏)해야 하는데

성질이 따뜻하거나 뜨거운 약이 좋고

적풍에는 월비탕 같이 잘 통하게 하는 약이 좋다[입문].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疔疽][정저]  (0) 2020.12.02
[流注骨疽][유주골저]  (0) 2020.12.01
[附骨疽][부골저]  (0) 2020.12.01
[囊癰][낭옹]  (0) 2020.12.01
[便癰][변옹]  (0) 2020.11.30

[附骨疽][부골저]

 

附骨疽 與白虎飛尸 歷節 皆相類, 但歷節 痛則 走注不定,

白虎飛尸 痛淺 按之則便止, 附骨疽 痛甚 按之亦無益.

부골저는 백호(白虎), 비시(飛尸), 역절(歷節)과 비슷하다.

그리고 역절풍 때에는 일정한 곳이 없이 돌아가며 아프고

백호나 비시 때에는 얕은 곳이 아프기 때문에 누르면 아픔이 멎는다.

부골저 때에는 깊은 곳이 아프기 때문에 눌러도 아픔이 더해지지는 않는다.

 

白虎飛尸 亦能作膿 着骨而生 及其腐潰碎骨 出盡方愈.

然則同是一病 但淺深不同耳(三因).

백호나 비시 때에는 또한 곪는 것이 뼈에까지 퍼지기도 한다.

이때에는 썩어 터져서 부스러진 뼈가 다 나와야 낫는다.

그러므로 같은 종류의 병이라고 해도

병이 생긴 곳이 얕은 곳인가 깊은 곳인가 하는데 따라 다르다[삼인].

 

附骨疽 筋骨之內痛如錐刺, 外則全無 赤腫突起,

初因露臥風冷 或乘凉浴水 寒濕襲深,

初期 痛不能轉, 寒熱無汗 經久 寒鬱爲熱變而爲膿,

膿成卽用 火鍼 使不得內潰(入門).

부골저 때에는 힘줄과 뼈속이 송곳으로 찌르는 것 같이 아프기만 하고

겉으로는 전혀 벌겋게 붓지도 두드러지지도 않는다.

병 초기에 밖에서 자면서 찬 바람을 맞거나

추운 때 목욕을 하여 찬 기운과 습기가 깊이 침범하면

처음에는 아파서 움직이지 못하다가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땀은 나지 않는다.

이것이 오래되면 찬 기운이 몰려서 열이 생기는데 그 열로 곪게 된다.

곪았을 때에는 즉시 화침(火鍼)하여 독이 속으로 퍼지지 못하게 해야 한다[입문].

 

初期 宜漏蘆飮子 五香連翹湯 踈下之, 次用 內消升麻湯.

在尻臀 宜內托羌活湯, 在腿內 羌活防己湯,

在腿外 托裏黃芪湯 黃連小毒飮,

潰後久不愈 宜蟾穌膏 赤朮元 平肌散(入門).

초기에는 누로음자나 오향연교탕(처방은 위에 있다)으로 설사시킨 다음 내소승마탕을 쓰는 것이 좋다.

엉덩이에 부골저가 생겼으면 내탁강활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고 허벅다리 안쪽에 생겼으면

강활방기탕을 쓰며 허벅다리 바깥쪽에 생겼으면 탁리황기탕이나 황련소독음(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터진 다음에도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 섬여고, 적출원, 평기산 등을 쓴다[입문].

 

初期 大痛而肉色不變 名附骨癰 三生散 最妙.

兼用靑皮 甘草節 二味煎服(綱目).

초기에 몹시 아프기만 하고 그곳의 살빛이 변하지 않는 것을 부골옹이라고 한다.

이런 데는 삼생산이 제일 좋은데

선귤껍질(靑皮)과 감초마디(甘草節)를 달인 것을 겸해서 써야 한다[강목].

 

附骨疽 與緩疽 石疽 賊風相類 宜辨而治之(入門).

부골저는 완저나 석저나 적풍과 비슷하므로 반드시 잘 가려보고 치료해야 한다[입문].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流注骨疽][유주골저]  (0) 2020.12.01
[緩疽石疽,賊風辨][완저석저 적풍변]  (0) 2020.12.01
[囊癰][낭옹]  (0) 2020.12.01
[便癰][변옹]  (0) 2020.11.30
[懸癰][현옹]  (0) 2020.11.30

[囊癰][낭옹]

囊癰者 濕熱下注也.

有作膿者 此濁氣順下 將流入滲道, 

因陰道 或虧水道不利而然 膿盡自安 勿藥 可也,

或有因腹腫 漸流入囊腫甚而囊自裂 開睾丸懸掛水出

以麩炭末 付之 外以紫蘇葉包裹 仰臥養之.

낭옹이란 아래로 습열이 몰려서 생긴 것인데 곪는 것도 있다.

이것은 탁기(濁氣)가 스며나가다가

정액이 통하는 길로 흘러 들어갔거나 오줌길이 잘 통하지 못하게 되어 생긴 것이다.

그러나 고름만 다 빠지면 저절로 낫는다.

그러므로 약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혹은 배가 부었다가 그것이 점차 음낭으로 퍼지면

음낭이 몹시 붓거나 터져서 고환이 겉으로 나오고 물이 나오는 때도 있다.

이런 데는 밀기울을 태워 가루내서 붙이고

그 겉을 차조기잎(자소엽)으로 싸맨 다음 반듯하게 누워서 조리해야 한다.

 

癰疽入囊者 曾治數人 悉以濕熱 入肝經 處置而用補陰藥 佐之.

雖膿潰皮脫 睾丸懸掛者 皆不死.

옹저가 음낭으로 퍼진 것을 일찍이 몇 명 치료하였는데

모두 간경에 습열(濕熱)이 들어가서 생긴 것으로 보고 치료하였다.

그리하여 음을 보하는 약을 보조약으로 썼는데

곪아 터져서 피부가 벗겨지고 고환이 겉으로 나와 매달렸던 것들도 다 죽지 않고 나왔다.

 

取紫蘇葉焙乾爲末 付之.

如燥香油潤之皮脫者 靑荷葉包之 其皮自生(丹心).

차조기잎(자소엽)을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가루내어 붙이기도 한다.

낭옹이 마르면 참기름으로 축여 주어야 한다.

피부가 벗겨진 것은 푸른 연잎으로 싸매면 저절로 아문다[단심].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緩疽石疽,賊風辨][완저석저 적풍변]  (0) 2020.12.01
[附骨疽][부골저]  (0) 2020.12.01
[便癰][변옹]  (0) 2020.11.30
[懸癰][현옹]  (0) 2020.11.30
[臀癰][둔옹]  (0) 2020.11.30

[便癰][변옹]

 

俗名 便毒 實血疝也.

一名 ?馬癰,

此奇經衝任爲病 而癰見於厥陰經之分野,

其經多血 故又名 血疝,

或先有疳瘡而發 或卒然起核 疼痛而發 皆熱鬱 而血聚而成

初發 宜踈利之卽散 變膿後如常 用托裏內補之藥(正傳).

변옹이란 민간에서 변독(便毒)이라고 하는 것인데 이것이 사실은 혈산(血疝)이다.

일명 과마옹( 馬癰)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기경(奇經)의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의 병으로 궐음경맥(厥陰經脈)이 지나간 부위에

생긴 옹종인데 이 경맥에 혈이 많기 때문에 혈산이라고 했다.

혹은 먼저 감창(疳瘡)이 생긴 다음 생기기도 하고

혹은 갑자기 멍울이 생기면서 아프다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것은 다 열이 몰리고 혈이 뭉쳐서 생긴다.

초기에 잘 풀려나가게 하는 약을 쓰면 곧 삭는다.

곪은 뒤에는 언제나 탁리(托裏)하여 속을 보하는 약을 써야 한다[정전].  

 

便毒處所上不在腹下 不在腿介乎, 兩者之中也(直指).

변독이 생기는 부위는 배로 올라가지도 않고

허벅다리에서 내려가지도 않은 곳인 자개미 부위이다[직지].

 

便癰 生於腿?小腹之間 或一邊腫痛

或左右兩邊俱發 先用五苓散方見寒門 加大黃

或雙解散方見寒門 復元通氣散方見氣門 痛甚者 仙方活命飮方見上 治癰疽大法,

仍戒房室行動(入門).

변옹은 허벅다리와 아랫배 사이의 중간인 자개미에 생기는데

혹은 한쪽에만 생겨서 붓고 아프기도 하며 혹은 양쪽에 다 생기기도 한다.

이때에는 먼저 오령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약재에 대황을 넣어 쓰거나

쌍해산(雙解散), 부원통기산(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 몹시 아픈 데는

선방활명음(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그리고 성생활을 하지 말아야 한다[입문].

 

便癰 宜蘇方散 牡蠣大黃湯 千金內消散方見上 癰疽內托法

黃黑散方見上 腹癰 五香連翹湯方見上 治癰疽大法 消毒飮 玉燭散 神奇散.

변옹에는 소방산, 모려대황탕, 천금내소산, 황흑산,

오향연교탕(위의 3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소독음, 옥촉산, 신기산 등을 쓴다.

 

便毒 取大蜘蛛一箇 硏細 熱酒調下(山居).

변독에는 왕거미(대지주) 1마리를 보드랍게 갈아서 쓰는데 따끈한 술에 타 먹는다[산거]. 

 

便毒初起 射干三寸 生薑如指大 搗細 順流水煎服 以瀉爲度, 因用阿膠醋煮 塗患處(丹心).

변독 초기에는 범부채 3치와 생강 손가락만한 것을 짓찧어 쓰는데

강물에 달여서 설사가 날 때까지 먹은 다음 바로 식초에 갖풀을 넣고 달여서 헌데에 발라야 한다[단심].

 

生山藥 沙糖 同搗上 卽消,

又生薑一塊 蘸米醋 磨取千步峯泥 付腫處 卽消.

千步峯 卽人家行步 地上高塊 是也(得效).

마(산약, 생것)를 사탕과 함께 짓찧어 붙여도 곧 삭는다.

또는 생강 1덩어리를 쌀초에 담갔다가 갈아서 천보봉 진흙에 이겨 헌데에 붙여도 곧 삭는다.

천보봉이란 바로 사람들이 다닌 곳에 흙이 뭉쳐서 도드라져 올라온 흙덩어리이다[득효].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骨疽][부골저]  (0) 2020.12.01
[囊癰][낭옹]  (0) 2020.12.01
[懸癰][현옹]  (0) 2020.11.30
[臀癰][둔옹]  (0) 2020.11.30
[臂癰][비옹]  (0) 2020.11.30

[懸癰][현옹]

 

穀道前後生癰 謂之懸癰

此病生穀道外腎之間 初發如松子大 甚痒 漸如蓮子

數十日後始覺 赤腫如桃子 卽破

若破而大小便 皆從出者 爲難治,

宜服 國老膏(精要).

항문의 앞뒤에 생긴 옹종을 현옹이라고 한다.

이것은 항문과 음부 사이에 생기는데 처음에는 솔씨만하면서 몹시 가렵다가 점차 연씨만하게 커진다.

그리고 수십 일이 지나면 새빨갛게 부어서 복숭아같이 되었다가 곧 터진다.

만약 곪아 터진 곳으로 대소변이 나오면 치료하기 어렵다.

현옹에는 국로고를 쓴다[정요].

 

此疾首尾 常服 國老膏 雖患亦輕 雖潰亦淺, 誤用寒凉則不可救.

현옹 때에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항상 국로고를 써야 한다.

그리고 병이 경하거나 터진 것이 깊지 않다고 하여

성질이 차서 서늘한 약을 잘못 쓰면 치료하기 어렵게 된다.

 

初起作痛 尿澁者 仙方活命飮方見上 癰疽內托法 去大黃服之,

膿已成者 急鍼之,

久成漏者 加味十全湯方見上 癰疽排膿生肌法 蠟礬元 方見上 癰疽 五發證.

초기에 아프면서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데는

선방활명음(처방은 위에 있다) 약재에서 대황을 빼고 쓰는데 이때에 곪았으면 곧 침으로 터져야 한다.

오래되어 누공이 생긴 데는 가미십전탕(처방은 위에 있다), 납반원(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야 한다.

 

穀道中生瘡 取水中荇葉 細搗 綿裹 納下部 日三卽愈(入門).

항문 속이 허는 데는 물속에 있는 마름잎[荇葉]을 잘 짓찧어 쓰는데

솜에 싸서 하루 세번씩 항문에 밀어넣으면 곧 낫는다[입문].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囊癰][낭옹]  (0) 2020.12.01
[便癰][변옹]  (0) 2020.11.30
[臀癰][둔옹]  (0) 2020.11.30
[臂癰][비옹]  (0) 2020.11.30
[脈法][맥법]  (0) 2020.11.30

[臀癰][둔옹]

 

臀居小腹之後 又在於下, 此陰中之陰也.

其道遠,其位僻.

雖曰 多血氣運不到血 亦罕來中年後不可生癰 癰纔有腫痛參之,

脈證 但見虛弱 便與滋補氣血 可保終吉.

若用尋常 驅熱舒氣之藥 虛虛之禍 如指諸掌(丹心).

엉덩이는 아랫배의 뒤에 있고 또 아래에 있으므로 음 가운데 음이 된다.

그 거리가 멀고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어서

비록 혈(血)은 많으나 여기로 기(氣)가 잘 돌지 못하고 피도 덜 돌게 된다.

그러므로 중년이 지나서는 여기에 옹이 생기지 않게 해야 한다.

그리고 여기가 약간 붓고 아픈 것 같으면 맥과 증상을 참작해 보아서 허약하면

곧 기혈(氣血)을 보해야 한다.

그래야 마지막까지 좋다.

그러나 보통 열사를 몰아내고 기를 퍼지게 하는 약만 쓰는 것은

허한 것을 더 허하게 하는 것이므로 쉽게 해를 입는다[단심].

 

臀癰 初起未成膿者 隔蒜灸 再用葱熨法,

欲作膿者 內托羗活湯 方見上 治癰疽大法,

痛甚者 仙方活命飮 方見上 治癰疽大法,

腫硬者 托裏消毒飮 方見上 癰疽內托法,

潰後 宜加味十全湯 方見上 癰疽排膿生肌法,

尻臀生癰 堅硬腫痛 宜內托羗活湯方見上 治癰疽大法.

둔옹이 생긴 초기에 아직 곪지는 않았을 때에는 격산구(隔蒜灸)를 한 다음 파찜질을 해야 한다.

곪으려고 할 때에는 내탁강활탕을 쓰고

몹시 아플 때에는 선방활명음(이 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며

뜬뜬하게 부은 데는 탁리소독음(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고

곪아터진 다음에는 가미십전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엉덩이에 옹종이 생겨 뜬뜬하게 붓고 아픈 데는 내탁강활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便癰][변옹]  (0) 2020.11.30
[懸癰][현옹]  (0) 2020.11.30
[臂癰][비옹]  (0) 2020.11.30
[脈法][맥법]  (0) 2020.11.30
[腸癰 腹癰][장옹 복옹]  (0) 2020.11.30

[臂癰][비옹]

 

臂上手陽明經分 生癰此得之 八風之變者

傷於風者 上先受之,

宜服白芷升麻湯(入門).

팔의 수양명경(手陽明經)이 지나간 부위에 생긴 옹을 말하는데 8풍(八風)의 변화로 생긴 것이다.

왜냐하면 몸의 웃도리가 먼저 풍에 상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백지승마탕을 쓴다[입문].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懸癰][현옹]  (0) 2020.11.30
[臀癰][둔옹]  (0) 2020.11.30
[脈法][맥법]  (0) 2020.11.30
[腸癰 腹癰][장옹 복옹]  (0) 2020.11.30
[胃脘癰][위완옹]  (0) 2020.11.30

[脈法][맥법]

 

腸癰難知 脈滑可推 數而下熱 腸癰何疑 遲緊未膿 下以平之.

洪數膿成 不下爲宜(脈訣).

장옹(腸癰)은 진단하기 어려우나 맥이 활(滑)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맥이 삭(數)하면서 아랫배가 다는 것은 장옹이 틀림없다.

맥이 지긴(遲緊)하면 곪지는 않은 것이므로 설사시켜서 낫게 해야 한다.

맥이 홍삭(洪數)한 것은 곪은 것이므로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맥결].

 

趺陽脈 滑而數知當屎膿也(仲景) 

부양맥(趺陽脈)이 활삭(滑數)하면 대변으로 고름이 섞여 나오는 것이다[중경]. 

 

腸癰之怴滑而數滑則爲實數則爲熱

滑則爲榮數則爲衛衛數下降榮滑上升榮衛相干血爲敗濁(怴經) 

滑而數則爲熱, 滑則爲榮 數則爲衛,

數下降榮 滑上升榮 衛相干血 爲敗濁(脈經).

장옹 때의 맥은 활(滑)하거나 삭(數)한데 활한 것은 실증(實證)이고 삭한 것은 열(熱)이 있는 것이다.

활한 것은 영기(榮氣)의 상태이고 삭한 것은 위기(衛氣)의 상태이다.

삭맥(數脈)이 나타나는 것은 위기가 내려간 것이고 활맥(滑脈)이 나타나는 것은 영기가 올라온 것이다.

영위가 서로 부딪치면 혈(血)이 상(傷)하여 탁해진다[맥경].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臀癰][둔옹]  (0) 2020.11.30
[臂癰][비옹]  (0) 2020.11.30
[腸癰 腹癰][장옹 복옹]  (0) 2020.11.30
[胃脘癰][위완옹]  (0) 2020.11.30
[腎癰][신옹]  (0) 2020.11.30

[腸癰 腹癰][장옹 복옹]

 

關元穴名 屬小腸, 天極 屬大腸, 丹田 屬三焦,

其穴分隱痛者 爲疽 上肉微起者 爲癰也(靈樞).

관원(關元, 혈이름)은 소장에 속하고 천추(혈이름)는 대장에 속하며

단전(혈이름)은 3초(三焦)에 속하는데

이 부위가 은근히 아픈 것은 저(疽)가 되려는 것이고

이 부위의 살이 약간 불룩해지는 것은 옹(癰)이 되려는 것이다[영추].

 

腸癰爲病 小腹腫而强 按之則痛 小便數 似淋時時汗出 發熱而復惡寒

身皮甲錯 腹皮急如腫狀 甚者 腹脹大 轉側有水聲 或遶臍生瘡 膿從瘡出

或有出臍中者 惟大便下膿血者 自愈(仲景).

장옹 때에는 아랫배가 붓는데 세게 누르면 아프고

오줌이 임병(淋病) 때 같이 자주 나가며

때때로 땀이 나면서 열이 나다가 오한이 나고

피부가 고기비늘처럼 거칠어지고 뱃가죽이 팽팽해져 부은 것 같이 된다.

심하면 배가 몹시 불러오르고 돌아누울 때에 물소리가 나며

혹 배꼽노리에 헌데가 생겨서 고름이 나오거나 배꼽에서 고름이 나온다.

대변으로 피고름이 나오는 것은 저절로 낫는다[중경].

 

濕熱鬱積 腸內成癰 脈遲緊者 宜大黃牧丹皮湯 或五香連翹湯方見上下之.

脈芤澁者 四物湯方見血門 加桃仁 紅花 玄胡索 木香,

脈洪數者 三仁湯, 小腹疼 尿澁者 膿滯也 宜牧丹皮散(入門).

습열(濕熱)이 창자 속에 몰려 옹이 생겼을 때 맥이 지긴(遲緊)하면

대황목단탕이나 오향연교탕(처방은 위에 있다)으로 설사시키는 것이 좋고

맥(脈)이 규삽( 澁)하면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현호색, 목향을 넣어서 쓰고 맥이 홍삭(洪數)하면 삼인탕을 쓰는 것이 좋다.

아랫배가 아프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은 고름이 막힌 것이므로 목단산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腹皮急 按之濡 身無熱 乃陰冷所成 宜牧丹皮散 或 內托十宣散 加茯苓,

甚者 敗醬散, 小腹痞堅 按之痛 身有熱 乃結熱所成 宜大黃牧丹皮湯

或 桃仁承氣湯方見寒門 黃黑散(入門).

뱃가죽이 팽팽해졌는데 눌러보면 말랑말랑하고

몸에 열이 나지 않는 것은 음냉(陰冷)으로 생긴 것이므로

목단산이나 내탁십선산에 흰솔풍령(백복령)을 넣어서 쓰는 것이 좋은데

심하면 패장산을 쓰는 것이 좋다.

아랫배가 뜬뜬해져 누르면 아프고 몸에 열이 나는 것은 열이 몰려서 생긴 것이므로 이런 데는

대황목단탕이나 도인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나 황흑산을 쓴다[입문].

 

腸癰 冷熱證, 雲母膏方見上爲丸 牛膝湯呑下 利去瘀膿卽愈 或蠟礬元方見上 亦佳.

장옹 때 냉증(冷證)이거나 열증(熱證)이거나 관계없이 운모고 약재로 알약을 만들어

쇠무릎(우슬)을 달인 물로 먹으면 어혈이나 고름이 아래로 나오고 곧 낫는다.

혹 납반원(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도 역시 좋다.

 

腹癰者 生於肚腹 皮裏膜外,

左關脈洪數而腹痛甚者 是也, 治法 同腸癰(入門).

복옹(腹癰)이란 뱃가죽 속의 근막 밖에 생긴 것인데

왼쪽 관맥(關脈)이 홍삭(洪數)하면서 배가 몹시 아픈 것이 바로 그것이다.

치료법은 장옹과 같다[입문].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臂癰][비옹]  (0) 2020.11.30
[脈法][맥법]  (0) 2020.11.30
[胃脘癰][위완옹]  (0) 2020.11.30
[腎癰][신옹]  (0) 2020.11.30
[肝癰][간옹]  (0) 2020.11.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