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便癰][변옹]
俗名 便毒 實血疝也.
一名 ?馬癰,
此奇經衝任爲病 而癰見於厥陰經之分野,
其經多血 故又名 血疝,
或先有疳瘡而發 或卒然起核 疼痛而發 皆熱鬱 而血聚而成
初發 宜踈利之卽散 變膿後如常 用托裏內補之藥(正傳).
변옹이란 민간에서 변독(便毒)이라고 하는 것인데 이것이 사실은 혈산(血疝)이다.
일명 과마옹( 馬癰)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기경(奇經)의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의 병으로 궐음경맥(厥陰經脈)이 지나간 부위에
생긴 옹종인데 이 경맥에 혈이 많기 때문에 혈산이라고 했다.
혹은 먼저 감창(疳瘡)이 생긴 다음 생기기도 하고
혹은 갑자기 멍울이 생기면서 아프다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것은 다 열이 몰리고 혈이 뭉쳐서 생긴다.
초기에 잘 풀려나가게 하는 약을 쓰면 곧 삭는다.
곪은 뒤에는 언제나 탁리(托裏)하여 속을 보하는 약을 써야 한다[정전].
便毒處所上不在腹下 不在腿介乎, 兩者之中也(直指).
변독이 생기는 부위는 배로 올라가지도 않고
허벅다리에서 내려가지도 않은 곳인 자개미 부위이다[직지].
便癰 生於腿?小腹之間 或一邊腫痛
或左右兩邊俱發 先用五苓散方見寒門 加大黃
或雙解散方見寒門 復元通氣散方見氣門 痛甚者 仙方活命飮方見上 治癰疽大法,
仍戒房室行動(入門).
변옹은 허벅다리와 아랫배 사이의 중간인 자개미에 생기는데
혹은 한쪽에만 생겨서 붓고 아프기도 하며 혹은 양쪽에 다 생기기도 한다.
이때에는 먼저 오령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약재에 대황을 넣어 쓰거나
쌍해산(雙解散), 부원통기산(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 몹시 아픈 데는
선방활명음(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그리고 성생활을 하지 말아야 한다[입문].
便癰 宜蘇方散 牡蠣大黃湯 千金內消散方見上 癰疽內托法
黃黑散方見上 腹癰 五香連翹湯方見上 治癰疽大法 消毒飮 玉燭散 神奇散.
변옹에는 소방산, 모려대황탕, 천금내소산, 황흑산,
오향연교탕(위의 3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소독음, 옥촉산, 신기산 등을 쓴다.
便毒 取大蜘蛛一箇 硏細 熱酒調下(山居).
변독에는 왕거미(대지주) 1마리를 보드랍게 갈아서 쓰는데 따끈한 술에 타 먹는다[산거].
便毒初起 射干三寸 生薑如指大 搗細 順流水煎服 以瀉爲度, 因用阿膠醋煮 塗患處(丹心).
변독 초기에는 범부채 3치와 생강 손가락만한 것을 짓찧어 쓰는데
강물에 달여서 설사가 날 때까지 먹은 다음 바로 식초에 갖풀을 넣고 달여서 헌데에 발라야 한다[단심].
生山藥 沙糖 同搗上 卽消,
又生薑一塊 蘸米醋 磨取千步峯泥 付腫處 卽消.
千步峯 卽人家行步 地上高塊 是也(得效).
마(산약, 생것)를 사탕과 함께 짓찧어 붙여도 곧 삭는다.
또는 생강 1덩어리를 쌀초에 담갔다가 갈아서 천보봉 진흙에 이겨 헌데에 붙여도 곧 삭는다.
천보봉이란 바로 사람들이 다닌 곳에 흙이 뭉쳐서 도드라져 올라온 흙덩어리이다[득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