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腸癰 腹癰][장옹 복옹]
關元穴名 屬小腸, 天極 屬大腸, 丹田 屬三焦,
其穴分隱痛者 爲疽 上肉微起者 爲癰也(靈樞).
관원(關元, 혈이름)은 소장에 속하고 천추(혈이름)는 대장에 속하며
단전(혈이름)은 3초(三焦)에 속하는데
이 부위가 은근히 아픈 것은 저(疽)가 되려는 것이고
이 부위의 살이 약간 불룩해지는 것은 옹(癰)이 되려는 것이다[영추].
腸癰爲病 小腹腫而强 按之則痛 小便數 似淋時時汗出 發熱而復惡寒
身皮甲錯 腹皮急如腫狀 甚者 腹脹大 轉側有水聲 或遶臍生瘡 膿從瘡出
或有出臍中者 惟大便下膿血者 自愈(仲景).
장옹 때에는 아랫배가 붓는데 세게 누르면 아프고
오줌이 임병(淋病) 때 같이 자주 나가며
때때로 땀이 나면서 열이 나다가 오한이 나고
피부가 고기비늘처럼 거칠어지고 뱃가죽이 팽팽해져 부은 것 같이 된다.
심하면 배가 몹시 불러오르고 돌아누울 때에 물소리가 나며
혹 배꼽노리에 헌데가 생겨서 고름이 나오거나 배꼽에서 고름이 나온다.
대변으로 피고름이 나오는 것은 저절로 낫는다[중경].
濕熱鬱積 腸內成癰 脈遲緊者 宜大黃牧丹皮湯 或五香連翹湯方見上下之.
脈芤澁者 四物湯方見血門 加桃仁 紅花 玄胡索 木香,
脈洪數者 三仁湯, 小腹疼 尿澁者 膿滯也 宜牧丹皮散(入門).
습열(濕熱)이 창자 속에 몰려 옹이 생겼을 때 맥이 지긴(遲緊)하면
대황목단탕이나 오향연교탕(처방은 위에 있다)으로 설사시키는 것이 좋고
맥(脈)이 규삽( 澁)하면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현호색, 목향을 넣어서 쓰고 맥이 홍삭(洪數)하면 삼인탕을 쓰는 것이 좋다.
아랫배가 아프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은 고름이 막힌 것이므로 목단산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腹皮急 按之濡 身無熱 乃陰冷所成 宜牧丹皮散 或 內托十宣散 加茯苓,
甚者 敗醬散, 小腹痞堅 按之痛 身有熱 乃結熱所成 宜大黃牧丹皮湯
或 桃仁承氣湯方見寒門 黃黑散(入門).
뱃가죽이 팽팽해졌는데 눌러보면 말랑말랑하고
몸에 열이 나지 않는 것은 음냉(陰冷)으로 생긴 것이므로
목단산이나 내탁십선산에 흰솔풍령(백복령)을 넣어서 쓰는 것이 좋은데
심하면 패장산을 쓰는 것이 좋다.
아랫배가 뜬뜬해져 누르면 아프고 몸에 열이 나는 것은 열이 몰려서 생긴 것이므로 이런 데는
대황목단탕이나 도인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나 황흑산을 쓴다[입문].
腸癰 冷熱證, 雲母膏方見上爲丸 牛膝湯呑下 利去瘀膿卽愈 或蠟礬元方見上 亦佳.
장옹 때 냉증(冷證)이거나 열증(熱證)이거나 관계없이 운모고 약재로 알약을 만들어
쇠무릎(우슬)을 달인 물로 먹으면 어혈이나 고름이 아래로 나오고 곧 낫는다.
혹 납반원(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도 역시 좋다.
腹癰者 生於肚腹 皮裏膜外,
左關脈洪數而腹痛甚者 是也, 治法 同腸癰(入門).
복옹(腹癰)이란 뱃가죽 속의 근막 밖에 생긴 것인데
왼쪽 관맥(關脈)이 홍삭(洪數)하면서 배가 몹시 아픈 것이 바로 그것이다.
치료법은 장옹과 같다[입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