瘡瘍 面赤 雖伏火熱 禁不得攻裏 宜發表以去之.

瘡瘍 鬱冒 俗呼昏迷, 愼不可下, 汗之則愈(東垣).

창양(瘡瘍) 때 얼굴빛이 벌거면 속에 화열이 잠복해 있다고 해도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이때에는 발산시켜서 속에 있는 화열을 없애야 한다.

창양 때 정신이 아찔해지는 것을 민간에서는 혼미(昏迷)라고 하는데

이런 때에는 설사시키지 말고 땀을 내야 낫는다[동원].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背疽][배저]  (0) 2020.12.08
[諸痛痒瘡瘍][제통양창양]  (0) 2020.12.08
[癰疽通治藥][옹저통치약]  (0) 2020.12.03
[癰疽泄瀉][옹저설사]  (0) 2020.12.03
[癰疽作痛][옹저작통]  (0) 2020.12.03

背疽之人難於隱,

凡用菉豆10餘斗 作一袋 隱伏則 自然心凉身安(精要).

배저(背疽) 때에는 엎드려 있기가 힘든데 이때에는

녹두 10여 말을 넣은 큰 자루 위에 엎드려 있으면 속이 시원해지고 편안하다[정요].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瘡瘍][양창]  (0) 2020.12.08
[諸痛痒瘡瘍][제통양창양]  (0) 2020.12.08
[癰疽通治藥][옹저통치약]  (0) 2020.12.03
[癰疽泄瀉][옹저설사]  (0) 2020.12.03
[癰疽作痛][옹저작통]  (0) 2020.12.03

諸痛痒瘡瘍 皆屬於心

如茯苓 茯神 遠志 益智 石菖蒲等輩 須當佐助於其間

抑使病人不得 憂恐 嗔怒 勞精疲身 有觸於心 尤關利害(直指). 

아프면서 가려운 여러 가지 헌데는 다 심(心)에 속하므로 이런 때에는

흰솔풍령(백복령), 복신, 원지, 익지인, 석창포 같은 약을 먹어 심을 도와주어야 한다.

그리고 또 환자로 하여금 근심하거나 무서워하거나,

성내서 정신을 피로하게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마음에 거슬리는 일이 생기면 더 해롭다[직지].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瘡瘍][양창]  (0) 2020.12.08
[背疽][배저]  (0) 2020.12.08
[癰疽通治藥][옹저통치약]  (0) 2020.12.03
[癰疽泄瀉][옹저설사]  (0) 2020.12.03
[癰疽作痛][옹저작통]  (0) 2020.12.03

[癰疽通治藥][옹저통치약]

 

千金漏蘆湯 五香連翹湯 仙方活命飮 升陽益胃散 千金內消散 仙傳化毒湯 榮衛返魂湯

紫金錠 賽命丹 淵然眞人奪命丹 飛龍奪命丹 忍冬丸 忍冬酒 忍冬湯 皆可選用(諸方).

천금누로탕, 오향연교탕, 선방활명음, 승양익위산, 천금내소산, 선전화독탕, 영위반혼탕,

자금정, 새명단, 연연진인탈명단, 비룡탈명단, 인동환, 인동주, 인동탕에서 골라 쓴다[저방].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背疽][배저]  (0) 2020.12.08
[諸痛痒瘡瘍][제통양창양]  (0) 2020.12.08
[癰疽泄瀉][옹저설사]  (0) 2020.12.03
[癰疽作痛][옹저작통]  (0) 2020.12.03
[癰疽寒熱][옹저한열]  (0) 2020.12.03

[癰疽泄瀉][옹저설사]

 

癰疽 泄瀉 宜乳粉托裏散 以木香 白茯苓煎湯調下,

加味不換金正氣散佐之(直指).

옹저 때 설사가 나면 유분탁리산을 쓰는데 목향과 흰솔풍령(백복령)을 넣고

달인 물에 타서 먹고 가미불황금정기산을 보조약으로 써야 한다[직지].

 

腹痛 泄瀉 咳逆 昏憒,急用托裏溫中湯 或用肉君子湯 加炮附子(回春).

배가 아프고 설사가 나면서 딸꾹질이 나고 정신이 흐릿한 데는 빨리 탁리온중탕을 써야 한다.

혹 육군자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부자(싸서 구운 것)을 넣어서 쓴다[회춘].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諸痛痒瘡瘍][제통양창양]  (0) 2020.12.08
[癰疽通治藥][옹저통치약]  (0) 2020.12.03
[癰疽作痛][옹저작통]  (0) 2020.12.03
[癰疽寒熱][옹저한열]  (0) 2020.12.03
[癰疽痰盛][옹저담성]  (0) 2020.12.03

[癰疽作痛][옹저작통]

 

癰疽 不可不痛 亦不可大痛 未潰前痛 爲熱毒 便秘者 內踈黃連湯方見上,

膿脹痛者 鍼之.

已潰膿出而反痛者 虛也(入門).

옹저 때에는 아프지 않아도 안되고 지나치게 아파도 안된다.

터지기 전에 아픈 것은 열독(熱毒) 때문인데

이때에 변비가 있으면 내소황련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야 한다.

옹저가 곪으면서 아파서 침으로 짼 다음이나 이미 곪아 터져서

고름이 나온 다음에도 오히려 아픈 것은 허하기 때문이다[입문].

 

癰疽 寒熱虛實 皆能爲痛 若熱毒之痛 以寒凉之劑 折其熱,

若寒邪之痛 以溫熱之劑 熨其寒.

虛而痛者 補之, 實而痛者 瀉之(精義).

옹저 때에는 한증(寒證)이거나 열증(熱證)이거나

허증(虛證)이거나 실증(實證)이거나를 막론하고 다 아플 수 있다.

만일 열독으로 아플 때에는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열을 내려야 하고

한사로 아플 때에는 보(補)해야 하고 실(實)하여 아플 때에는 사(瀉)해야 한다[정의].

 

膿潰之後 反痛者虛也 宜補之,

穢氣所濁者 宜和解之, 風冷所逼者 宜溫散之.

補者 當歸 黃芪之類,

和解者 乳香 芍藥之類, 溫散者 防風 桂枝之類(綱目).

곪아 터진 다음에 도리어 아픈 것은 허하기 때문이므로 보해야 한다.

더러운 냄새가 날 때에는 화해시키고

랭이 침범하였으면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발산시켜야 한다.

보하는 약은 당귀와 단너삼(황기) 같은 것이고 화해시키는 약은 유향과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같은 것이며 따뜻하게 하여 발산시키는 약은 방풍과 계지 같은 것이다[강목].

 

膿血 旣泄 腫痛尤甚 人蔘黃芪湯 或十全大補湯 加麥門冬 五味子(回春).

피고름이 나온 다음 붓고 아픈 것이 더 심한 데는

인삼황기탕이나 십전대보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맥동문과 오미자를 넣어서 쓴다[회춘].

 

止痛 當歸湯 二仙散 香靈散 先用.

지통당귀탕, 이선산, 향령산에서 골라 쓴다.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癰疽通治藥][옹저통치약]  (0) 2020.12.03
[癰疽泄瀉][옹저설사]  (0) 2020.12.03
[癰疽寒熱][옹저한열]  (0) 2020.12.03
[癰疽痰盛][옹저담성]  (0) 2020.12.03
[癰疽嘔逆][옹저구역]  (0) 2020.12.03

[癰疽寒熱][옹저한열]

 

癰疽 未愈之間 先嘔痰而寒熱 汗出而止 或連日 或間日,

宜服 加味不換金正氣散(得效).

옹저가 낫기 전에 먼저 가래를 토하면서 춥다가 열이 나는 것은

땀이 나야 멎는데 이것이 매일 생기거나 하루 건너 생길 때에는

가미불환금정기산을 써야 한다[득효].

 

癰疽虛證 寒戰, 明乳香硏細20g 每4g 熟水調下.

戰發於肝 乳香着加而溫之 寒戰隨止(直指).

옹저 때 허증(虛證)으로 오한이 나면서 떨리는 데는

투명한 유향 20g을 보드랍게 가루내서 한번에 4g씩 뜨거운 물에 타 먹는다.

떨리는 것은 간(肝)과 관련된 것이다.

유향은 간을 따뜻하게 해주기 때문에 이것을 쓰면 오한이 나면서 떨리던 것이 곧 멎는다[직지].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癰疽泄瀉][옹저설사]  (0) 2020.12.03
[癰疽作痛][옹저작통]  (0) 2020.12.03
[癰疽痰盛][옹저담성]  (0) 2020.12.03
[癰疽嘔逆][옹저구역]  (0) 2020.12.03
[癰疽煩渴][옹저번갈]  (0) 2020.12.03

[癰疽痰盛][옹저담성]

 

癰疽生痰 有二, 一者 胃寒, 二者 鬱熱,

俱宜二陳湯 或榮衛返魂湯加南星 半夏(入門).

옹저 때 담이 생기는 원인은 2가지이다.

첫째는 위(胃)가 차기 때문이고 둘째는 열이 몰렸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이진탕이나 영위반혼탕(처방은 위에 있다)에 천남성, 끼무릇(반하)을 넣어서 써야 한다[입문].

 

痰盛喘急 六君子湯 加薑棗煎服 或補中益氣湯 加麥門冬 五味子 桑白皮煎服(回春).

담(痰)이 성하고 숨이 몹시 찬 데는

육군자탕에 생강과 대추를 넣어서 달여 먹거나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맥문동, 오미자,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을 넣어서 달여 먹는다[회춘].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癰疽作痛][옹저작통]  (0) 2020.12.03
[癰疽寒熱][옹저한열]  (0) 2020.12.03
[癰疽嘔逆][옹저구역]  (0) 2020.12.03
[癰疽煩渴][옹저번갈]  (0) 2020.12.03
[癰疽雜證][옹저잡증]  (0) 2020.12.03

[癰疽嘔逆][옹저구역]

 

未潰時嘔者 當作毒氣上攻治之 潰後 當作陰虛補之.

若年老人 潰後嘔不能食 宜參苓白朮膏方見內傷補之,

河間 謂 “瘡瘍嘔者 濕氣侵于胃也” 宜倍白朮(丹心).

옹저가 곪아 터지지 않았을 때 구역하는 것은 독기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으로 보고 치료해야 한다.

옹저가 터진 다음에 구역하는 것은 음(陰)이 허(虛)한 것으로 보고 보해야 한다.

만약 늙은이가 옹저가 터진 다음 구역이 나서 음식을 먹지 못할 때에는

삼령백출고(처방은 내상문에 있다)로 보해야 한다.

하간(河間)이 여러 가지 창양 때 구역이 나는 것은 위에 습기가 침범하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흰삽주(백출)의 양을 곱으로 하여 넣어 쓰는 것이 좋다[단심].

 

癰疽 及疔瘡 惡瘡 毒氣攻心則多嘔逆 宜乳粉托裏散 生薑甘桔湯.

옹저와 정창, 악창 때 독기가 가슴으로 치밀어 오르면 흔히 구역이 난다.

이런 데는 유분탁리산, 생강감길탕을 쓴다

 

食不能下 服藥而嘔 六君子湯 加木香 縮砂(回春).

음식이 내려가지 않고 약을 먹으면 구역이 나는 데는

육군자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목향과 사인을 넣어서 쓴다[회춘].

 

或用 獨參湯 卽愈(丹心).

혹 독삼탕을 써도 곧 낫는다[단심].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癰疽寒熱][옹저한열]  (0) 2020.12.03
[癰疽痰盛][옹저담성]  (0) 2020.12.03
[癰疽煩渴][옹저번갈]  (0) 2020.12.03
[癰疽雜證][옹저잡증]  (0) 2020.12.03
[禽獸肉生疔][금수육생정]  (0) 2020.12.03

[癰疽煩渴][옹저번갈]

 

熱毒方盛 或發大渴 此乃毒氣攻心,

榮舌乾煩渴 但用 補心氣藥 內補卽止(涓子).

열독이 한창 심할 때 번갈이 몹시 나는 것은 독기가 가슴으로 치밀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혀가 마르면서 번갈이 난다.

이런 데는 오직 심기(心氣)를 보하는 약만 써도 곧 낫는다[연자].

 

癰疽發渴 乃氣血虛

八物湯方見虛勞

加黃芪 麥門冬 山茱萸 五味子(回春).

加減八味元 治癰疽渴疾 首尾通用最佳.

老人尤宜(得效).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은 기혈이 다 허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팔물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은

?   ?   ?   ?   ?   

옹저 때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데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계속 써도 좋다.

늙은이에게 쓰면 좋다[득효].

 

淸膻竹葉湯 竹葉黃芪湯 人蔘黃芪湯 黃芪六一湯 金銀花散 五味子湯

忍冬丸 忍冬湯二方見下 選用(諸方).

청단죽엽탕, 죽엽황기탕, 인삼황기탕, 황기육일탕, 금은화산, 오미자탕,

인동환, 인동탕(이 2가지 처방은 아래에 있다)등에서 골라 써도 된다[저방].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癰疽痰盛][옹저담성]  (0) 2020.12.03
[癰疽嘔逆][옹저구역]  (0) 2020.12.03
[癰疽雜證][옹저잡증]  (0) 2020.12.03
[禽獸肉生疔][금수육생정]  (0) 2020.12.03
[拔毒法][발독법]  (0) 2020.12.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