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癰疽痰盛][옹저담성]
癰疽生痰 有二, 一者 胃寒, 二者 鬱熱,
俱宜二陳湯 或榮衛返魂湯加南星 半夏(入門).
옹저 때 담이 생기는 원인은 2가지이다.
첫째는 위(胃)가 차기 때문이고 둘째는 열이 몰렸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이진탕이나 영위반혼탕(처방은 위에 있다)에 천남성, 끼무릇(반하)을 넣어서 써야 한다[입문].
痰盛喘急 六君子湯 加薑棗煎服 或補中益氣湯 加麥門冬 五味子 桑白皮煎服(回春).
담(痰)이 성하고 숨이 몹시 찬 데는
육군자탕에 생강과 대추를 넣어서 달여 먹거나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맥문동, 오미자,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을 넣어서 달여 먹는다[회춘].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癰疽作痛][옹저작통] (0) | 2020.12.03 |
---|---|
[癰疽寒熱][옹저한열] (0) | 2020.12.03 |
[癰疽嘔逆][옹저구역] (0) | 2020.12.03 |
[癰疽煩渴][옹저번갈] (0) | 2020.12.03 |
[癰疽雜證][옹저잡증] (0) | 202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