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經標本][육경표본]

 

經絡爲標 藏府爲本, 如太陽經爲標 膀胱爲本. 餘倣此(入門).

경락(經絡)은 표(標)가 되고 장부(藏府)는 본(本)이 된다.

예를 들면 태양경은 표가 되고 방광은 본이 된다.

다른 경락도 다 이와 같다[입문].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太陽傷風][태양상풍]  (0) 2020.05.23
[六經形證用藥][육경형증용약]  (0) 2020.05.23
[太陽六傳][태양육전]  (0) 2020.05.23
[傷寒大法][상한대법]  (0) 2020.05.23
[傷寒或愈或死日期][상한혹유혹사일기]  (0) 2020.05.22

[太陽六傳][태양육전]

 

太陽者 巨陽也 爲三陽之首.

膀胱經病 若渴者 自入于本 名曰傳本.

太陽傳陽明 胃土者 名曰巡經傳 爲發汗 不盡利小便 餘邪不盡 透入于裏也.

태양이 바로 거양(巨陽)인데 3양의 우두머리이다.

방광경병(膀胱經病) 때에 갈증이 나는 것은 태양이 자기의 부에 병을 전한 것인데 이것을 전본(傳本)이라고 한다.

병이 태양에서 양명위토(陽明胃土)에 전해 간 것을 순경전(巡經傳)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땀을 잘 내지 않고 오줌만 잘 나가게 하여 사기가 다 없어지지 않고 속으로 들어갔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太陽傳少陽 膽木者 名曰越經傳 爲元受病 脈浮無汗 宜用麻黃湯而不用故也.

병이 태양에서 소양담목(少陽膽木)에 전해 간 것을 월경전(越經傳)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병 시초에 맥이 부(浮)하고 땀이 나지 않을 때 반드시 써야 할 마황탕을 쓰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太陽傳少陽 脾土者 名曰誤下傳 爲元受病 脈緩有汗 當用桂枝而反下之 故也 病當腹痛 四肢沈重

병이 태양에서 태음비토(太陰脾土)에 전해 간 것을 오하전(誤下傳)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병 시초에 맥이 완(緩)하고 땀이 날 때에 반드시 써야 할 계지탕을 쓰지 않고

대신 설사시키는 약을 썼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이때에는 배가 아프고 팔다리가 무겁다.

 

太陽傳少陰 腎水者 名曰表裏傳 爲表病 急當汗而反不汗不發所以傳裏也.

병이 태양에서 소음신수(少陰腎水)에 전해 간 것을 표리전(表裏傳)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급히 땀을 내야 할 표증 때 땀을 내지 않아 표증이 속으로 들어가서 생긴 것이다.

 

太陽傳厥陰 肝木者 爲三陰 不至於首 惟厥陰與督脈 上行與太陽相接 名曰 巡經得度傳(海藏).

병이 태양에서 궐음간목(厥陰肝木)에 전해 간 것을 순경득도전(巡經得度傳)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3음경맥이 머리에까지 가 닿지 못하고 궐음경맥이 독맥(督脈)과 어울려 위로 올라가서

태양경과 연결되어 생긴 것이다[해장].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經形證用藥][육경형증용약]  (0) 2020.05.23
[六經標本][육경표본]  (0) 2020.05.23
[傷寒大法][상한대법]  (0) 2020.05.23
[傷寒或愈或死日期][상한혹유혹사일기]  (0) 2020.05.22
[傷寒傳經][상한전경]  (0) 2020.05.22

[傷寒大法][상한대법]

 

傷寒大法 有四 曰傳經 曰專經 曰卽病 曰鬱病.

夫卽病者 多爲專經, 鬱病者 多爲傳經.

盖寒邪之中 人無有定體 或中於陽 或中於陰 或但中於太陽未及

鬱熱而卽發首尾 只在本經 而不傳變者 宜發散表邪 而愈 或有從太陽未及

鬱熱不從 陽明少陽過 而遂入於三陰之經者 亦有

不曾入於陽經 而直上於三陰之經 而卽病者 宜溫中通脈而愈.

若夫始從太陽鬱熱 以次而傳至於陽明少陽 次第傳變於三陰之經者 則傳經之熱證 明矣(正傳). 

상한의 주되는 병 형태에는 4가지가 있는데 6경(六經)에 전해 가는 것[傳經],

한 경에만 있는 것[專經], 사기를 받으면 곧 병이 생기는 것[卽病], 울병(鬱病)등이다.

대체로 사기(邪氣)를 받으면 곧 생기는 병은 한 경에만 있을 때가 많고 울병은 6경에 전해 가는 것이 많다.

대체로 한사(寒邪)는 일정한 곳이 없이 양경(陽經)에도 들어가고 음경(陰經)에도 들어간다.

또는 한사가 태양경(太陽經)에만 들어가 울열(鬱熱)되지 않고 즉시 병이 생기게 하고

계속 본경(本經)에만 있으면서 전변(傳變)되지 않으면 표(表)에 있는 사기를 헤쳐지게 해야 낫는다.

태양경에만 들어가고 울열되지 않는 때도 있고

양명(陽明), 소양(少陽)을 거치지 않고 직접 3음경으로 들어가는 때도 있다.

또는 양경에 들리지 않고 직접 3음경으로 들어가서 즉시 병이 생기게 하는 때도 있는데

이때에는 속을 덥게 하고 혈맥(血脈)을 통하게 해야 낫는다.

만일 처음에 태양경에 들어가서 울열이 되었다가 점차 양명과 소양으로 전해 가고

그 다음 3음경의 차례로 전경되면 그것은 전경(傳經)된 열증(熱證)이 정확하다[정전].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經標本][육경표본]  (0) 2020.05.23
[太陽六傳][태양육전]  (0) 2020.05.23
[傷寒或愈或死日期][상한혹유혹사일기]  (0) 2020.05.22
[傷寒傳經][상한전경]  (0) 2020.05.22
[傷寒變熱][상한변열]  (0) 2020.05.22

[傷寒或愈或死日期][상한혹유혹사일기]

 

黃帝曰 今夫熱病者 皆傷寒之類也

或愈或死 其死皆以六七日之間 其愈 皆以十日已上者何也?

不知其解 願聞其故?

岐伯對曰 兩感於寒 而病者倒六七日 三陰三陽 五臟六腑 皆受病榮衛不行 水漿不入 六日死.

황제가 열병(熱病)은 상한(傷寒) 종류인데 낫기도 하고 이것으로 죽기도 한다.

죽는 것은 다 6-7일 사이이고 낫는 것은 10일이 지나야 된다고 하는데 어찌된 일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한사(寒邪)에 양감(兩感)되면 6-7일이 지나서 33, 56부에 다 병이 생기기 때문에

영위(榮衛)가 돌지 못하고 미음도 먹지 못하게 되어 6일 만에 죽는다고 대답하였다.

 

帝曰 兩感者 三日當死 而六一乃死何也?

岐伯曰 陽明者 十二經脈之長也

氣血氣盛 故不知人 三日其氣乃盛 故死矣.

其不兩感於寒者 倒十二日 六經再傳 故愈矣(內經 熱論篇 第三十一).

그러자 황제는 양감되면 3일 만에 죽는데 6일 만에 죽는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양명은 12경맥의 주되는 경맥으로서 혈기(血氣)가 많다.

때문에 여기에 병이 생겨 사람을 알아 보지 못하게 되었다고 하여도 3일이 지나야 그 기()가 끊어진다.

그러므로 3일 만에 죽는다.

그러나 한사에 양감되지 않으면 12일 만에 6경으로 다시 전해 가면서 병이 낫는다고 대답하였다[내경].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太陽六傳][태양육전]  (0) 2020.05.23
[傷寒大法][상한대법]  (0) 2020.05.23
[傷寒傳經][상한전경]  (0) 2020.05.22
[傷寒變熱][상한변열]  (0) 2020.05.22
[脈法][맥법]  (0) 2020.05.22

[傷寒傳經][상한전경]

 

內經(熱論篇 第三十一)曰 巨陽者 諸陽之屬也

其脈連於風府 故爲諸陽 主氣也.

人之傷於寒也 則爲病熱 熱雖甚 不死 其兩感於寒者 必不免於死.

帝曰 願聞其狀

岐伯曰 傷寒

一日 巨陽受之 故頭項痛 腰脊强

二日 陽明受之 陽明主肉 其脈挾鼻絡於目 故身熱目疼 而鼻乾 不得臥也.

三日 少陽受之 少陽主膽氣 脈循脇絡於耳 故胸脅痛而耳聾

三陽經絡 皆受其病而未入於藏 故可汗而已

四日 太陰受之 太陰脈布胃中絡於嗌故腹滿而嗌乾.

五日 少陰受之 少陰脈貫腎絡於肺繫舌本故口燥舌乾而渴.

六日 厥陰受之 厥陰脈循陰器而絡於肝故煩滿而囊縮

三陰三陽 五臟六腑 皆受病 榮衛不行 五藏不通 則死矣.

내경에는 태양경에 모든 양이 속한다.

그리고 이 경맥은 풍부(風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양기를 주관한다고 씌어 있다.

한사에 상한 것이 열병으로 전변되는데 이때에 열이 아무리 심하다고 하여도 죽지는 않는다.

그러나 한사에 양감(兩感)되면 반드시 죽는다. 황제가 그 증상에 대하여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상한 첫날에는 태양(太陽)이 병들기 때문에 머리와 목덜미가 아프고 허리가 뻣뻣해진다.

2일에는 양명(陽明)이 병드는데 양명은 살을 주관하고

그 경맥(經脈)은 코의 곁을 돌아서 눈에 연락되었기 때문에

몸에 열이 나면서 눈이 아프고 코가 마르며 눕지 못하게 된다.

3일에는 소양(少陽)에 병이 드는데 소양은 담()과 연관되어 있고 그 경맥은 옆구리를 따라

[]로 올라가서 귀에 연락되었기 때문에 가슴과 옆구리가 아프면서 귀가 먹게 된다.

병이 3양의 경락에 있으면 그것은 병이 5장에는 들어가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땀을 내면 낫는다.

4일에는 태음(太陰)에 병이 드는데 이 경맥은 위() 속에 퍼져 있고 목구멍과 연관되었기 때문에

배가 그득해지면서 목구멍이 마르게 된다.

5일에는 소음(少陰)이 병이 드는데 그 경맥은 신을 통하여 폐에 연락되고

혀뿌리와 얽혔기 때문에 입과 혀가 마르고 갈증이 나게 된다.

6일에는 궐음(厥陰)이 병이 드는데 그 경맥은 전음(前陰)을 돌아 올라가

()과 연결되었기 때문에 답답하고 그득해지면서 음낭이 졸아든다.

33양과 56부가 다 병들면 영위(榮衛)가 돌지 못하고 5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죽는다

 

其不兩感於寒者

七日巨陽病 衰頭痛少愈.

八日陽明病 衰身熱少愈.

九日少陽病 衰耳聾微聞.

十日太陰病 衰腹減如 故則思飮食.

十一日少陰病 衰渴止 不滿 舌乾已而嚔.

十二日厥陰病 衰囊縱 少腹微下 大氣皆去 病一已矣 (內經 熱論篇 第三十一).

한사(寒邪)에 양감되지 않으면

7일에는 태양병(太陽病)이 덜해져서 머리가 덜 아프고

8일에는 양명병(陽明病)이 덜해져서 열이 좀 내린다.

9일에는 소양병(少陽病)이 덜해져서 귀가 좀 들리고

10일에는 태음병(太陰病)이 덜해져 배가 그득하던 것이 없어지고 식욕이 나게 된다.

11일에는 소음병(少陰病)이 덜해져서 갈증이 멎고

그득하던 것이 없어지고 혀가 마르지 않으며 재채기가 난다.

12일에는 궐음병(厥陰病)이 덜해져서 음낭이 늘어지고

아랫배가 좀 꺼지면서 심한 증상이 다 없어지고 병이 날마다 낫는다.

 

煩滿者 小腹煩滿也

下云小腹微下者 謂此也

大氣皆去 則病人 精神爽慧也(活人).

답답하면서 그득하다는 것[煩滿]은 아랫배가 답답하면서 그득하다는 것이고

아랫배가 좀 꺼진다는 것은 답답하던 것이 없어진다는 것이다.

심한 병세가 없어지면 정신이 좀 상쾌해진다[활인].

 

若過十三日 不間尺寸陷者 大危 間謂瘳也(仲景) 

만일 13일이 지나도록 낫지 않고 척맥(尺脈)과 촌맥(寸脈)이 짚이지 않으면 대단히 위험하다[중경].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大法][상한대법]  (0) 2020.05.23
[傷寒或愈或死日期][상한혹유혹사일기]  (0) 2020.05.22
[傷寒變熱][상한변열]  (0) 2020.05.22
[脈法][맥법]  (0) 2020.05.22
[兩感傷寒爲死證][양감상한위사증]  (0) 2020.05.22

[傷寒變熱][상한변열]

 

內經(陰陽應象大論 第五)曰 寒傷形.

註曰 寒則衛氣不利 故傷形也.

내경에는 한사(寒邪)에 형체가 상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차면[] 위기(衛氣)가 잘 통하지 못하기 때문에 형체가 상한다고 씌어 있다.

 

人傷於寒 而傳爲熱何也?

曰夫寒盛 則生熱也 (內經 水熱穴論篇 第六十一).

寒氣外應 陽氣內鬱 腠理堅緻 六府閉封緻 則氣不宣通 封則濕氣內結 中外相搏.

寒盛熱生 故人傷於寒 轉而爲熱也.

汗之而愈 則外凝內鬱之理 可知矣 斯乃雜病 數日者也.

한사에 상한 것이 열병(熱病)으로 변한다고 하는데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그것은 한사가 성하면 열이 생긴다는 것이다.

즉 찬 기운이 몸의 겉을 둘러싸고 있으면 양기(陽氣)가 속으로 몰리게 된다.

그러면 주리( )가 치밀해지고 6부가 막히게 되는데

주리가 치밀해지면 기가 잘 돌지 못하고 막힌다.

그러면 습기가 속에 몰리면서 찬 기운이 성해지기 때문에 열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한사에 상한 것이 열병으로 변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런 때에 땀을 내면 병이 낫는데 이것으로서 겉이 응결되면 속이 울체된다는 이치를 알 수 있다.

잡병이 여러 날 되어도 이렇게 될 수 있다.    

[脈法][맥법]

 

凡治傷寒 以脈爲先 以證爲後.

凡治雜病 以證爲先 以脈爲後.

大抵 治傷寒 見證未見脈 未可投藥見脈未見證 雖小投藥 亦無害也(衹和).

상한(傷寒)을 치료할 때에는 먼저 맥을 보고 다음에 증상을 보아야 한다.

잡병을 치료할 때에는 먼저 증상을 보고 다음에 맥을 보아야 한다.

상한을 치료할 때에는 맥은 보지 않고 증상만 보고서 절대로 약을 주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맥만 보고 증상을 보지 않고 약을 조금 준다고 하여도 그리 나쁘지는 않다[자화].

 

緊脈 爲傷寒(脈經).

긴맥(緊脈)이 나타나는 것은 상한이다[맥경].

 

傷寒之脈 陰陽俱盛 而緊濇(脈經).

상한 때의 맥은 음맥과 양맥이 함께 충실해지기 때문에 긴()하고 색하다[맥경].

 

弦緊 爲寒脈(脈經).

맥이 현긴(弦緊)한 것은 상한의 맥이다[맥경].

 

脈盛 身寒 得之傷寒(內經 刺志論篇 第五十三).

맥이 충실하고 몸이 찬 것은 상한이다[내경].

 

傷寒脈 大浮數動滑 此名陽也

沈濇弱弦微 此名陰也

凡陰病 見陽脈者 生, 陽病 見陰脈者 死(脈經).

상한 때 맥이 대(), (), (), (), ()한 것은 양맥(陽脈)이고

(), ( ), (), (), ()한 것은 음맥(陰脈)이다.

대체로 음병 때에 양맥이 나타나면 살고 양병 때에 음맥이 나타나면 죽는다[맥경].

 

熱病 須得脈浮洪細小 徒費用神功 汗後脈靜 當便瘥 喘熱脈 亂命應終(脈訣).

열병 때에는 반드시 맥이 부홍(浮洪)하여야 하는데 세소(細小)한 맥이 나타나면 치료하기 어렵다.

땀을 낸 다음 맥이 고르게 되면 병이 낫고 숨이 차고 열이 나면서 맥이 문란해지면 살리기 힘들다[맥결].

 

寒傷太陽 脈浮而濇 及傳而變 名狀難悉 陽明 則長 少陽則弦

太陰入裏 遲沈 必兼 及入少陰 其脈遂緊 厥陰熱甚 脈伏厥冷.

한사(寒邪)에 태양경이 상했을 때에는 맥이 부색()하다.

그러나 전경[]되고 변하는 증상에 대해서는 다 말할 수 없다.

양명맥(陽明脈)은 장()하고 소양맥(少陽脈)은 현()하다.

병이 속으로 태음에 들어갔을 때에는 침()맥과 지()맥이 반드시 겹쳐서 나타난다.

병이 소음에 들어갔을 때에는 맥이 긴()하고 궐음(厥陰)에 들어갔을 때에는

열이 몹시 나면서 맥이 복()하며 팔다리가 싸늘해진다.

 

在陽 當汗 次利小便 表解 裏病 其脈實堅

此其大略 治法之正 至於大法 自有 仲景.

병이 양경에 있을 때에는 반드시 먼저 땀을 낸 다음 오줌이 잘 나가게 해야 한다.

그리고 표()증은 풀렸으나 이()증이 있으면 맥이 실하면서 견()하다.

이것은 일반적인 치료원칙이다.

구체적인 방법은 중경의 상한론(傷寒論)에 씌어 있다.

 

傷寒 有五脈 非一端 陰陽俱盛緊澁者 寒,

陽浮而滑 陰濡而弱 此名傷風 勿用寒藥.

상한 때에는 맥이 1가지가 아니라 5가지이다.

음맥과 양맥이 다 충실하면서 긴삽(緊澁)한 것은 상한이다.

양맥이 부활(浮滑)하고 음맥이 유약(濡弱)한 것은 상풍인데

이런 때에는 상한에 쓰는 약을 써서는 안 된다.

 

陽濡而弱 陰小而急 此非風寒 乃濕溫脈.

양맥이 유약하고 음맥이 소급(小急)한 것은 풍한(風寒)이 아니라 습온(濕溫)이 있는 맥이다.

 

陽脈 浮滑, 陰脈 濡弱 或遇於風 變成風溫.

양맥이 부활하고 음맥이 유약할 때 또 풍사를 받게 되면 풍온(風溫)으로 변한다.

 

陽脈 洪數, 陰脈 實大, 更遇溫熱 變成溫毒.

양맥이 홍삭(洪數)하고 음맥이 실대(實大)할 때 또 온열(溫熱)에 상하게 되면 온독(溫毒)으로 변한다.

 

陽脈 濡弱, 陰脈 弦緊 更遇濕氣 變爲濕溫.

양맥이 유약하고 음맥이 현긴(弦緊)할 때 또 습사에 상하게 되면 습온으로 변한다.

 

陰陽俱盛 病熱之極 浮之而滑 沈之散澁(脈訣).

음양맥이 동시에 성()해지는 것은 열이 몹시 심하기 때문이다.

이때에 맥을 가볍게 짚어 보면 활하고 꾹 눌러 짚어 보면 산삽(散澁)하다[맥결].

 

中寒 緊澁 陰陽俱盛 法當無汗 有汗 傷命(回春).

중한(中寒)의 맥이 긴삽하고 음맥과 양맥이 다 충실할 때에는 땀이 나지 않아야 한다.

이때에 땀이 나는 것은 죽는다[회춘].

 

傷寒熱病 脈宜洪大 忌沈細(醫鑑).

상한과 열병 때에 맥이 홍대(洪大)하면 좋고 침세(沈細)하면 나쁘다[의감].

 

中寒之脈 虛而微細(醫鑑).

중한의 맥은 허하면서 미세(微細)하다[의감].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傳經][상한전경]  (0) 2020.05.22
[傷寒變熱][상한변열]  (0) 2020.05.22
[兩感傷寒爲死證][양감상한위사증]  (0) 2020.05.22
[傷寒號爲大病][상한호위대병]  (0) 2020.05.22
[冬爲傷寒][동위상한]  (0) 2017.07.15

[兩感傷寒爲死證][양감상한위사증]

 

帝曰 其兩感於寒 而病者 必不免於死(內經 熱論篇 第三十一).

황제는 한사(寒邪)에 양감(兩感)되면 죽음을 면치 못한다고 하였다[내경].

 

兩感於寒者 病一日 巨陽與少陰俱病 則頭痛 口乾而煩滿

二日 則陽明與太陰俱病 腹滿 身熱 不欲食 譫言,

三日 則少陽與厥陰俱病 則耳聾 囊縮而厥 水漿不入 不知人 六日死(內經 熱論篇 第三十一).

한사에 양감되면 첫날에는 태양(太陽)과 소음(少陰)에 병이 생기는데

이때에는 머리가 아프고 입이 마르며 가슴이 답답하고 그득하다.

2일에는 양명(陽明)과 태음(太陰)에 병이 생기는데

배가 그득하고 몸에 열이 나며 음식을 잘 먹지 못하고 헛소리를 한다.

3일에는 소양과 궐음(厥陰)에 병이 생기는데

귀가 먹고 음낭이 졸아들면서 팔다리가 싸늘해지고 미음도 먹지 못하며

사람도 알아보지 못하는데 6일이 지나면 죽는다[내경].

 

兩感傷寒 古無治法

仲景云 兩病俱作 治有先後 如下利不止 身體疼痛 急先救裏,

如不下利 身體疼痛 急當救表 救裏固 宜急而表 亦不可緩也.

救裏 宜四逆湯, 救表 宜桂枝湯(活人).

옛날에는 양감상한(兩感傷寒)에 대한 치료방법이 없었다.

중경(仲景)“2가지 병이 동시에 생기면 선후차를 가려서 치료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설사가 멎지 않으면서 몸이 아프면 먼저 이()를 치료해야 한다.

설사는 하지 않으면서 몸이 아프면 빨리 표()를 치료해야 한다.

이를 치료할 때에는 빨리 손을 써야 한다.

그리고 표를 치료할 때에도 늦추어서는 안 된다.

()를 치료할 때에는 사역탕을 쓰는 것이 좋고 표를 치료할 때에는

계지탕(桂枝湯, 2가지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활인].

 

此必死之證 然所禀 有虛實 所感有淺深

實而感淺者 猶或可治 予嘗用大羗活湯 十活二三(東垣).

이 양감상한은 반드시 죽을 증상이지만 몸이 허약한가 든든한가

병사가 표에 있는가 이()에 있는가 하는 데 따라 차이가 있다.

몸이 든든하고 병사가 표에 있으면 치료할 수 있다.

동원은 일찍이 대강활탕을 써서 환자 10명 가운데서 2-3명을 살렸다고 한다[동원].

 

一云 表裏俱急者 大羗活湯, 陰陽未分者 陶氏沖和湯 探之(入門).

표증(表證)과 이증(裏證)이 다 급한 때에는 대강활탕을 쓰고

음증인지 양증인지 갈라볼 수 없을 때에는 도씨충화탕으로 시험해 보아야 한다[입문].

 

兩感傷寒者 日傳二經之候也.

仲景 無治法 惟 東垣 有治兩感大羗活湯 云十可救其一二 未知 是否(正傳)

양감상한은 하루에 2개의 경()에 전해 가는 증이다.

중경(仲景)은 치료법을 말하지 않았는데 동원(東垣)이 대강활탕으로 양감(兩感)을 치료하여

10명 중 1-2명 정도 효과를 보았다고 하니 옳은 것인지 그른 것인지 알 수 없다[정전].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傳經][상한전경]  (0) 2020.05.22
[傷寒變熱][상한변열]  (0) 2020.05.22
[脈法][맥법]  (0) 2020.05.22
[傷寒號爲大病][상한호위대병]  (0) 2020.05.22
[冬爲傷寒][동위상한]  (0) 2017.07.15

[傷寒號爲大病][상한호위대병]

 

傷寒 世號爲大病(得效).

세상 사람들은 상한(傷寒)이 중한 병이라고 한다[득효].

 

傷寒一證 與雜病不同 若不對證 妄投藥餌 罪犯非輕 誤人多矣(局方).

상한은 잡병과 같지 않다. 만일 증상에 맞지 않게 함부로 약을 쓰면

흔히 잘못되어 엄중한 결과를 가져온다[국방].

 

傷寒證候 頃刻傳變, 傷寒治法 繩尺謹嚴 非可以輕心視之也

其間種類不一 條例浩繁 是固難矣 至於陰極發躁 熱極發厥

陰證如陽 陽證如陰 脚氣似乎傷寒 中暑似乎熱病.

凡此等類 尤當審思 而明辨之.

若疑以未別 體忍未明 切不可妄投 決病之諸方 匕雖微 死生係焉 可不謹歟(得效)

상한의 증상은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경솔히 다루지 말고 치료원칙을 지켜야 한다.

상한은 종류가 많고 조례(條例)가 복잡하므로 갈라 보기 곤란하다.

()이 극심하면 날치고[發躁] 열이 극심하면 싸늘해진다.

음증은 양증과 비슷하고 양증은 음증과 비슷하며 각기는 상한과 비슷하고 중서(中暑)는 열병과 비슷하다.

그러므로 정확하게 갈라 보아야 한다.

유사한 증상을 가르지 못하고서는 함부로 약을 쓰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약은 비록 적은 양이지만 생명과 관계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는 것이다[득효].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傳經][상한전경]  (0) 2020.05.22
[傷寒變熱][상한변열]  (0) 2020.05.22
[脈法][맥법]  (0) 2020.05.22
[兩感傷寒爲死證][양감상한위사증]  (0) 2020.05.22
[冬爲傷寒][동위상한]  (0) 2017.07.15

[冬爲傷寒][동위상한] 

從霜降以後 至春分前 凡有觸冒霜露 體中寒邪 卽病者 謂之傷寒(活人).
상강 이후부터 춘분 전까지 사이에 찬 이슬이나 서리를 맞으면
한사가 몸에 침범하여 병이 생기는데 이것을 상한이라고 한다[활인].
春氣溫和, 夏氣暑熱, 秋氣淸凉, 冬氣冷洌, 此四時之正氣也.
冬時嚴寒 萬類深藏 君子固密則不傷於寒.
夫觸冒之者 乃名傷寒 其傷於四時之氣 皆能爲病 而惟傷寒 最毒者
以其有殺厲之氣也.
中而卽病者 爲傷寒, 不卽病者 其寒毒藏於肌膚中 至春變爲溫病
至夏變爲暑病 暑者 熱重於溫也,
是以辛苦之人 春夏多溫 熱病者 皆由冬時 觸寒所致 非時行之氣也(活人).
봄 날씨는 따뜻하고 여름 날씨는 덥고 가을 날씨는 서늘하며
겨울 날씨는 찬데 이것은 4철의 정상 날씨이다.
겨울에는 날씨가 몹시 차므로 세상 만물이 깊이 잠긴다.
위생을 잘 지키면 한사에 상하지 않는다.
한사에 감촉된 것을 상한이라고 한다.
4철 날씨에 상하면 병이 생기게 되는데 그 가운데서 상한병독이 제일 심하다.
그것은 쌀쌀한 기운 때문이다.
한사가 침범하면 곧 병이 생기는데 이것을 상한이라고 한다.
한사가 침범했으나 그 즉시에는 앓지 않고 살 속에 잠복하면
그것이 봄에는 온병으로 변하고 여름에는 서병으로 변한다.
서병이라는 것은 온병 때보다 몸에 열이 더 심하게 나는 것이다.
부지런한 사람들이 봄과 여름에 온병과 열병을 많이 앓는 것은
겨울에 한사에 감촉되었기 때문이지 돌림병은 아니다[활인].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傳經][상한전경]  (0) 2020.05.22
[傷寒變熱][상한변열]  (0) 2020.05.22
[脈法][맥법]  (0) 2020.05.22
[兩感傷寒爲死證][양감상한위사증]  (0) 2020.05.22
[傷寒號爲大病][상한호위대병]  (0) 2020.05.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