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少陰病脈絶][소음병맥절]

 

少陰病 下利 脈絶 或無脈者 宜通脈四逆湯(仲景).

소음병 때에 설사가 나면서 맥이 끊어지거나 나타나지 않는 데는 통맥사역탕을 쓴다[중경].

 

少陰病 下利淸穀 手足厥逆 脈微欲絶

身反不惡寒 面赤色者 通脈四逆湯 加葱白主之(入門)

소음병 때에 삭지 않은 설사를 하고 손발이 싸늘하며 맥이 미(微)하면서 끊어지려 하고

오한이 나지 않으며 얼굴이 벌겋게 되는 데는 통맥사역탕에 파밑(총백)을 넣어서 주로 쓴다[입문].  

 

傷寒吐下後 汗出而厥 四肢拘急 不解

脈微欲絶 通脈四逆湯 加猪膽汁下之(仲景)

상한병 때 토하고 설사한 다음에 땀이 나면서 손발이 싸늘하고 팔다리가 가드라들며

맥이 미(微)하면서 끊어지려고 하는 데는 통맥사역탕에 저담(猪膽)을 넣어서 쓴다[중경].

 

少陰病 下利 脈微 與白通湯 利不止 厥逆無脈 乾嘔煩者 白通 加猪膽汁湯主之.

服湯後 脈暴出者死 微續者 生(仲景).

소음병 때 설사가 나면서 맥이 미하면 백통탕을 쓰고 설사가 멎지 않고 손발이 싸늘하며

맥이 나타나지 않고 헛구역이 나며 답답한 데[煩悶]는 백통가저담즙탕을 써야 한다.

이 약을 먹은 다음 맥이 갑자기 나타나면 죽고 천천히 나타나면 산다[중경].      

 

 

[少陰病脈沈][소음병맥침]

 

少陰病 口燥 舌乾 而渴 尺寸脈俱沈 沈而疾者 大承氣湯 沈而遲 則四逆湯(東垣)

소음병 때에는 입과 혀가 마르며 갈증이 나고 척맥(尺脈)과 촌맥(寸脈)이 다 침(沈)하다.

맥이 침하면서 빠른 데는 대승기탕을 쓰고 침지(沈遲)한 데는 사역탕을 쓴다[동원].

 

[少陰形證用藥][소음형증용약]

 

少陰之爲病 脈微細 但欲寐 盖氣悟則行陽, 寐則行陰,

必從足少陰始 故少陰病 但欲寐也(仲景).

소음병 때의 증상은 맥이 미세(微細)하고 자려고만 하는 것이다.

기(氣)가 잠을 자지 않을 때에는 양(陽)으로 돌고 잠잘 때에는 음(陰)으로 도는데

족소음(足少陰)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소음병 때에는 자려고만 한다[중경].

 

少陰 心爲本 故舌乾 口燥 或下利淸水 譫語 便閉 宜小承氣湯.

腎爲標 故面寒 唇靑 四肢厥冷 指甲靑黑 宜薑附湯(入門).

소음의 본(本)은 심(心)이기 때문에 여기에 병이 생기면 혀와 입이 마르고

혹 물 같은 설사[下利淸水]를 하며 헛소리를 하고 대변이 막힌다.

이런 데는 소승기탕을 쓴다.

소음경은 신(腎)의 표(標)가 되기 때문에 여기에 병이 생기면 얼굴이 시리고

입술이 퍼렇게 되며 팔다리가 싸늘하고 손발톱이 검푸르게 된다.

이런 데는 강부탕을 쓴다[입문].

 

少陰病 始得之 反發熱 脈沈者 麻黃附子細辛湯主之(仲景).

소음병의 초기에 열이 나고 맥이 침(沈)하면 마황부자세신탕을 주로 쓴다[중경].

 

少陰病二三日 用麻黃附子甘草湯微發之

以二三日 無證 故微發汗也 無證謂 無吐利厥證也(仲景)

소음병에 걸려 2-3일이 되었을 때에는 마황부자감초탕을 써서 땀을 약간 내야 한다.

2-3일이 되어도 소음병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약간 땀을 내야 하는데

소음병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토하거나 설사하거나 팔다리가 싸늘한 증상이 없다는 것이다[중경].

 

少陰病一二日 口中和 背惡寒 當灸之 宜附子湯(仲景).

소음병에 걸린 지 1-2일이 되어 입은 마르지 않고 잔등에서만 오한이 날 때에는

뜸을 뜨고 부자탕을 쓴다[중경].

 

少陰病二三日 心中煩 不得臥 黃連阿膠湯主之(仲景).

소음병에 걸린 지 2-3일이 되어 가슴이 답답해서 자지 못할 때에는 황련아교탕을 주로 쓴다[중경].

 

少陰病 身體痛 手足寒 骨節痛 脈沈者 附子湯主之(仲景).

소음병 때에 몸이 아프고 손발이 차며 뼈마디가 아프고 맥이 침(沈)한 데는 부자탕을 주로 쓴다[중경].

 

傷寒 欲吐不 吐心煩但欲寐 五六日 自利而渴者 屬少陰也

虛故引水自救 若小便色白者 以下焦 有寒 不能制水 故色白 宜四逆湯(仲景).

상한 때 토하려고 하면서도 토하지 않고 속이 답답하며 자려고만 하는 것과

병에 걸린 지 5-6일이 되어 설사가 나면서 갈증이 나는 것은

소음병에 속하는데 이것은 허해서 생긴 것이다.

이때에는 물을 켜기 때문에 저절로 낫게 된다.

혹 오줌이 뿌연 것은 하초(下焦)에 찬 기운이 있어서 수기(水氣)를 억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사역탕을 쓴다[중경].

 

下痢 脈沈而遲 其人面少赤 身有微汗 下利淸穀 必鬱冒汗出而解

病人 必微厥 所以然者 其面戴陽下虛故也(仲景).

설사나 이질(痢疾)이 생기고 맥은 침지(沈遲)하며 얼굴이 약간 벌겋고 몸에 땀이 약간 나며

삭지 않은 설사가 날 때에는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지는데 이때에는 땀이 나야 풀린다.

그러나 하초(下焦)가 허(虛)하여 양기(陽氣)가 위로 떠오르지 못하면 팔다리가 싸늘해진다[중경].

 

下利 腹脹滿 身體疼痛 先溫其裏 乃攻其表 宜桂枝湯(仲景).

설사하고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며 몸이 아플 때에는

먼저 그 이(裏)를 따뜻하게 한 다음에 표(表)를 치료해야 한다.

이(裏)를 따뜻하게 하는 데는 사역탕을 쓰고 표를 치료하는 데는 계지탕을 쓴다[중경].

 

少陰病 吐利厥冷 煩燥欲死 吳茱萸湯方見下主之.

소음병 때에 토하고 설사하며 손발이 싸늘하고 번조증(煩燥證)이 나서 죽으려고 하는 데는

오수유탕(吳茱萸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주로 쓴다.

 

少陰證 口中辨 口中和者 當溫, 口乾燥者 當下(東垣).

소음병 때에는 입 안을 보고 치료해야 하는데

입이 마르지 않았으면 반드시 성질이 따뜻한 약을 쓰고

입 안이 말랐으면 반드시 설사시키는 약을 써야 한다[동원].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少陰病脈絶][소음병맥절]  (0) 2020.05.28
[少陰病脈沈][소음병맥침]  (0) 2020.05.27
[太陰病發黃][태음병발황]  (0) 2020.05.27
[太陰病腹脹滿][태음병복장만]  (0) 2020.05.27
[太陰病腹痛][태음병복통]  (0) 2020.05.27

[太陰病發黃][태음병발황]

 

傷寒七八日 身黃如橘子色 小便不利 腹微滿 屬太陰 宜茵陳蒿湯(仲景).

상한(傷寒)에 걸린 지 7-8일이 되어 몸이 귤빛처럼 누렇게 되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며 배가 약간 그득한 것은 태음병에 속하는데

이때에는 인진호탕을 쓴다[중경].

 

傷寒 但頭汗出餘無 劑頸而還 小便不利 身必發黃(仲景).

상한 때 머리에서만 땀이 나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 반드시 몸에 황달이 온다[중경].

 

問曰 白虎證 亦有身熱 煩渴引飮 小便不利 何以不發黃

答曰 白虎與發黃證 相近 但遍身汗出 此爲熱越 白虎證也.

頭面汗出 頸以下無汗 發黃證也(活人).

백호탕증[白虎證] 때에도 역시 몸에 열이 나고 번갈(煩渴)이 나서 물을 켜며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데

이때에는 왜 황달(黃疸)이 오지 않는가.

그것은 백호탕증은 황달과 비슷하나 온몸에 땀이 나는 것은 열이 넘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백호탕증이다.

머리와 얼굴에서 땀이 나고 목 아래에서는 땀이 나지 않는 것은 황달 증상이다[활인].

 

 

 

[太陰病腹脹滿][태음병복장만]

 

太陰 病下利淸穀 若發汗 則必脹滿(仲景).

태음병 때에는 삭지 않은 설사를 하게 되는데

이때에 땀을 내면 반드시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진다[중경].

 

發汗後 腹脹滿 宜用厚朴半夏湯(仲景).

땀을 낸 다음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한 데는 후박반하탕을 쓴다[중경].

 

 

 

[太陰病腹痛][태음병복통]

 

傷寒 陽脈濇 陰脈弦 法當 腹中急痛 先與小建中湯方見虛勞 不差 再與小柴胡湯(仲景).

상한 때 양맥(陽脈)이 색하고 음맥(陰脈)이 현(弦)하면 반드시 배가 갑자기 아플 수 있다.

이런 때에는 먼저 소건중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쓰고 낫지 않으면 소시호탕을 다시 써야 한다[중경].

 

太陰病 醫反下之 因而腹滿 時痛者 屬太陰 桂枝湯 加芍藥主之(仲景).

의사가 태양병 때 설사시키는 약을 잘못 써서 배가 그득하고 때로 아픈 것은 태음병에 속하는데

이때에는 계지탕에 집함박꽃뿌리(작약)를 양을 곱으로 넣어 주로 쓴다.

대변이 굳으면서 배가 아픈 데는 계지탕에 대황을 넣어 쓴다[중경].

 

傷寒 邪在三陰 內不得交痛 故爲腹痛 手足之經 皆回於腹 故也(仲景).

상한 때 사기가 3음경에 들어가서 장부가 서로 통하지 못하게 되면 배가 아픈데

이것은 손발의 경락이 다 배에 모였기 때문이다[중경].

 

 

 

[太陰形證用藥][태음형증용약]

 

太陰之爲病 腹滿而吐 食不下 自利益甚 時腹自痛(仲景).

태음병 때에는 배가 그득하면서 토하며 음식이 내리지 않고 저절로 설사가 심하게 나고 자주 배가 아프다[중경].

 

太陰肺 爲標 故咽乾 身目黃 脾爲本 故腹滿痛 宜大柴胡湯方見下 傷寒裡證,

身黃者 茵陳蒿湯 如自利不渴 屬藏病 宜理中湯·丸(入門).

태음경은 폐(肺)의 표(標)가 된다.

그러므로 목이 마르고 몸과 눈이 누렇게 된다. 비(脾)는 본(本)이 된다.

그러므로 배가 그득하고 아프다.

이런 데는 대시호탕을 쓴다(大柴胡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

몸이 누렇게 된 데는 인진호탕을 쓰고 저절로 설사가 나고 갈증이 나지 않는 것은 5장병에 속하는데

이런 데는 이중탕이나 이중환을 쓴다[입문].

 

太陰證 腹痛自利 不渴 宜理中湯 理中丸 四順理中湯 丸亦主之(仲景).

태음증 때 배가 아프고 저절로 설사가 나며[自利] 갈증이 없는 데는

이중탕이나 이중환을 쓰는데 사순이중탕이나 사순이중환도 쓴다[중경].

 

腹滿時痛 吐利不渴者 爲太陰 宜四逆湯 理中湯, 腹滿不減 減不足言 宜大承氣湯(仲景).

배가 그득하고 때로 아프며 토하고 설사하나 갈증이 나지 않는 것은 태음병인데

이때에는 사역탕(四逆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이나 이중탕을 쓴다.

배가 그득한 것이 내리지 않거나 내린다고 해도 알리지 않을 정도로 내리는 데는

대승기탕(大承氣湯, 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쓴다[중경].

 

腹滿時痛 復如故 此虛寒 從下而上也 當以溫藥 和之 宜理中湯(仲景).

배가 그득하면서 때로 아픈 것이 좀 나았다 더했다 하는 것은

허한(虛寒)이 아래에서부터 위로 치밀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조화시켜야 하는데 이중탕이 좋다[중경].

 

飮食不節 寒中陰 經腹滿閉塞 唇靑手足冷 脈沈細 宜治中湯(仲景).

음식을 조절하여 먹지 못해서 태음경맥이 한사를 받으면 배가 그득해지고 대변이 막히며

입술이 퍼렇게 되고 손발이 싸늘하며 맥이 침세(沈細)하다. 이런 데는 치중탕을 쓴다[중경].

 

傷寒自利 不渴者 屬太陰 以其藏 有寒 故也 當溫之 宜用四逆湯(仲景).

상한 때 저절로 설사가 나고 갈증이 없는 것은 태음병에 속하는데

이것은 비장[藏]에 한사(寒邪)가 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덥게 해야 한다.

이때에는 사역탕을 쓰는 것이 좋다[중경].

 

 

 

[少陽病脇痛][소양병협통]

 

少陽證 漐漐汗出 頭痛 心下痞硬 引脇下痛 乾嘔短氣 不惡寒 此表解 裏未和也

宜十棗湯, 若合下不下 則令人脹滿 遍身浮腫也(仲景).

소양병으로 축축하게 땀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명치 밑이 트직하고 뜬뜬하며

그득하면서 켕기고 옆구리 아래가 아프며 헛구역이 나고 숨결이 밭으며[短氣]

오한이 나지 않는 것은 표증(表證)은 풀렸으나 이증(裏證)이 풀리지 않은 것인데 십조탕을 쓴다.

설사약을 써야 할 때 쓰지 않으면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지며 몸이 붓는다[중경].

 

杜壬曰 裏未和者 盖痰與燥氣 壅於中焦

故頭痛 乾嘔 短氣 汗出 是痰隔也 非十棗湯不治(綱目).

두임(杜壬)은 이증(裏證)이 풀리지 못하는 것은

대체로 담(痰)과 조(燥)한 기운이 중초(中焦)에 막힌 까닭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머리가 아프고 헛구역이 나며 숨결이 밭고 땀이 난다.

이것은 담이 중초에 막혔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이런 데는 십조탕을 쓰지 않으면 치료할 수 없다[강목].

 

 

 

 

[少陽病壞症][소양병괴증]

 

太陽病不解 轉入少陽者 脅下硬滿 乾嘔不能食 往來寒熱 尙未吐下 脈沈緊者

與小柴胡湯 若已吐下 發汗譫語 柴胡證罷 此爲壞病 依壞法治之(仲景).

태양병(太陽病)이 풀리지 않고 소양병으로 전변되면 옆구리 아래가 뜬뜬하고 그득하며

헛구역이 나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한다.

그리고 토하지도 설사도 하지 않았는데 맥이 침긴(沈緊)하다.

이런 데는 소시호탕을 쓴다.

그러나 이미 토하고 설사하였는 데도 땀이 나고 헛소리를 하는 것은

시호탕증이 없어지고 괴증(壞證)으로 전변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괴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치료해야 한다[중경].

 

 

[少陽證 往來寒熱][소양병 왕래한열]

 

血氣虛 腠理開 邪氣因入 與正氣相搏 結於脅下

邪正分爭 往來寒熱 休作無時 不欲飮食 而嘔

宜用小柴胡湯(仲景).

혈기(血氣)가 허하여 주리( 理)가 열리면 사기가 침범하여 정기(正氣)와 부딪쳐서 옆구리 아래에 몰린다.

그리고 사기와 정기가 싸우게 되므로 때없이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며 음식을 먹고 싶지 않고 구역질이 난다.

이런 데는 소시호탕을 쓴다[중경].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