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傷寒表證][상한표증]

 

凡傷寒 初得病二三日 頭痛 身體痛 惡寒 發熱 皆表證也(局方).

상한에 걸려 2-3일이 되었을 때에

머리와 몸이 아프고 오한과 열이 나는 것은 다 표증(表證)이다[국방].

 

凡 仲景 稱太陽者 皆表證 發熱 惡寒 頭項痛也(綱目).

중경(仲景)이 “태양병(太陽病)은 다 표증인데

이때에는 열이 나고 오한이 나며 머리와 목덜미가 아프다”고 하였다[강목].

 

發熱 惡寒 身體痛 而脈浮者 表證也.

表證者 惡寒 是也, 惡寒 屬太陽 宜汗之(活人).

열이 나고 오한이 나며 몸이 아프면서 맥이 부(浮)한 것은 표증이다.

표증이라는 것은 오한이 있는 것을 말하는데 오한은 태양병에 속한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반드시 땀을 내야 한다[활인].

 

項强几几 爲太陽表證(几音殊) 如短羽鳥 不能飛騰動 先引其頭也 項背强者 動亦如之.

一云 無趐鳥 欲飛貌(明理).

목덜미가 뻣뻣하여 꼼짝 못하는 것은 태양표증(太陽表證)이다.

꼼짝 못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날개가 짧은 새가 먼저 목만 빼들고 날지는 못하는 모양과 같다는 것이다.

목덜미와 등이 뻣뻣하다고 하는 것도 이와 같은 것이다.

어떤 데는 “날개가 없는 새가 날려고 하는 모양과 같다”고 씌어 있다[명리].

 

傷寒表證 通用麻黃杏仁飮 寒傷榮

宜麻黃湯方見上 太陽傷寒 風傷衛

宜桂枝湯方見上 太陽傷寒 三時發表

宜九味羗活湯方見上 傷寒陽證(入門).

상한표증 때에는 마황행인음을 쓴다.

한사(寒邪)에 영혈(榮血)이 상한 데는 마황탕을 쓰고

풍사(風邪)에 위기(衛氣)가 상한 데는 계지탕을 쓴다.

겨울철을 내놓은 3계절에 발표(發表)시키려면 구미강활탕을 쓴다[입문].

 

表證 宜香蘇散 十神湯 人蔘敗毒散 香葛湯 葱白散

參蘇飮 芎芷香蘇散 小靑龍湯 神朮散 消風百解散.

표증에는 향소산, 십신탕, 인삼패독산, 향갈탕, 총백산,

삼소음, 궁지향소산, 소청룡탕, 신출산, 소풍백해산을 쓴다.

 

表證 無汗 宜羗活冲和湯 有汗 宜防風冲和湯方見下

傷寒及四時傷寒 表裏不解 宜雙解散(河間).

표증 때 땀이 나지 않는 데는 강활충화탕을 쓰고 땀이 나는 데는

방풍충화탕(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쓴다.

표증(表證)과 이증(裏證)이 다 풀리지 않는 데는 쌍해산을 쓴다[하간].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半表半裏證][상한반표반리증]  (0) 2020.05.30
[傷寒裡證][상한이증]  (0) 2020.05.29
[傷寒陰證][상한음증]  (0) 2020.05.29
[傷寒陽證][상한양증]  (0) 2020.05.28
[厥陰病煩滿囊縮][궐음병번만낭축]  (0) 2020.05.28

[傷寒陰證][상한음증]

 

凡傷寒 四肢厥冷 吐利不渴 靜踡 此陰證之常也

須察其脈 有力無力 如重按無力 或無脈 便是伏陰

急與五積散 加附子, 如脈有力 是陽證也 不可不辨(入門).

상한(傷寒) 때 팔다리가 싸늘하고[厥冷] 토하며 설사가 나면서 갈증은 없고

몸을 구부리고 가만히 누워 있는 것이 상한음증 때의 일반 증상이다.

이때에는 맥이 힘이 있는가 없는가를 갈라 내야 한다.

맥을 꾹 눌러 보았을 때 힘이 없거나 알리지 않는 것은 복음증(伏陰證)이다.

이때에는 빨리 오적산에 부자를 넣어서 써야 한다.

맥이 힘이 있는 것은 양증(陽證)이므로 잘 갈라 내야 한다[입문].

 

三陰經 血分自受寒 謂之陰證傷寒 微者 寒邪外襲 漸入經絡

宜麻黃附子細辛湯 方見上 少陰形證用藥 或辛黃三白湯

甚者 卒中陰經 初起 無頭痛身熱 便惡寒厥冷 或胸腹痛嘔吐下利

太陰 用附子理中湯 少陰 用附子湯方見上

少陰形證用藥, 厥陰 用當歸四逆湯方見上 傷寒陰證(入門).

3음경의 혈분(血分)에 한사(寒邪)가 침범한 것을 음증(陰證)이라고 한다.

상한이 경한 것은 겉에 침범한 한사가 점차 경락으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마황부자세신탕이나 신황삼백탕을 쓴다.

상한이 심한 것은 갑자기 한사가 직접 음경락(陰經絡)에 침범했기 때문인데

처음에는 머리가 아프지 않고 열도 나지 않는다.

그러나 곧 오한이 나고 손발이 싸늘해지며 혹 가슴과 배가 아프고 토하며 설사하는데

사기(邪氣)가 태음경(太陰經)에 침범한 것이면 부자이중탕을 쓰고

소음경(少陰經)에 침범한 것이면 부자탕을 쓰며

궐음경(厥陰經)에 침범한 것이면 당귀사역탕을 써야 한다[입문].

 

傷寒 有口沃白沫 惑唾多流冷涎 俱是寒證

宜吳茱萸湯 方見脹滿 濁氣在上則生䐜脹條 理中湯方見上 太陰形證用藥 切忌冷藥(醫鑑).

상한 때 입에 흰거품침[口沃白沫]이 생기거나 냉침[冷涎]을 많이 흘리는 것은 다 한증(寒證) 증상이다.

이런 데는 오수유탕이나 이중탕을 써야지 성질이 찬약은 절대로 쓰지 말아야 한다[의감].

 

傷寒陰證 宜陰旦湯 人參養胃湯 藿香正氣散 不換金正氣散.

상한음증 때에는 음단탕, 인삼양위탕, 곽향정기산, 불환금정기산, 정양산을 쓴다.

 

陰證似陽 面赤而脈微(入門).

음증인데 양증 때처럼 얼굴이 벌겋게 되고 맥이 미(微)한 것도 있다[입문].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裡證][상한이증]  (0) 2020.05.29
[傷寒表證][상한표증]  (0) 2020.05.29
[傷寒陽證][상한양증]  (0) 2020.05.28
[厥陰病煩滿囊縮][궐음병번만낭축]  (0) 2020.05.28
[厥陰病手足厥冷][궐음병수족궐냉]  (0) 2020.05.28

[傷寒陽證][상한양증]

 

凡 仲景 稱太陽病者 皆表證 發熱 惡寒 頭項痛也.

若脈大 則與證相應 宜發汗.

若脈反微 不與證 相應 則不可發汗 但用一二各半湯 和之 可也(綱目).

중경이 “태양병(太陽病)은 다 표증(表證)인데

이때에는 열이 나고 오한이 나며 뒷머리와 목이 뻣뻣하고 아프다.

이때에 맥이 대(大)한 것은 증상과 서로 맞는 것인데 땀을 내야 한다.

맥이 도리어 미(微)하여 증상과 서로 맞지 않을 때에는

땀을 내지 말고 일이각반탕으로 화해시켜야 한다”고 하였다[강목].  

 

少陰 身雖有熱 而無頭痛,

厥陰 有頭痛 而無身熱

若身熱而又頭痛 屬陽證 無疑矣(活人).

소음병(少陰病) 때에는 몸에 열이 나지만 머리는 아프지 않다.

궐음병(厥陰病) 때에는 머리가 아프고 몸에 열이 나지 않는다.

그러나 몸에 열이 나면서 또 머리까지 아픈 것은 양증(陽證)에 속하는 것이 틀림없다[활인].

 

陽證似陰 糞黑而脈滑(得效).

양증이 음증 비슷할 때에는 대변이 검고 맥이 활(滑)하다[득효].

 

身大熱 反不欲近衣 此爲表寒裏熱 屬陽證 宜陽旦湯(入門).

몸에 열이 몹시 나면서도 옷을 입으려고 하지 않는 것은

표(表)에는 한사(寒邪)가 있고 이(裏)에는 열이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양증에 속하므로 양단탕을 써야 한다[입문]. 

 

陽證 宜汗 冬月麻黃湯 桂枝湯二方並見上 太陽形證用藥,

虛者 人蔘順氣散方見風門, 三時 羗活冲和湯方見下 感寒及四時傷寒 (入門).

양증 때에는 반드시 땀을 내야 하는데 겨울에는 마황탕, 계지탕을 쓰고

허약한 사람에게는 인삼순기산(처방은 풍문에 있다)을 쓰며 기타 계절에는 강활충화탕을 쓴다[입문].

 

陽證 頭痛身熱 脈浮數 宜香蘇散 芎芷香蘇散二方並見下

傷寒表證 人蔘羗活散方見風門 參蘇飮方見下 傷寒表證. 十神湯方見 瘟疫

양증 때 몸에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맥이 부(浮), 삭(數)하면

향소산, 궁지향소산, 인삼강활산(처방은 풍문에 있다), 삼소음, 십신탕(처방은 온역문에 있다)을 쓴다.  

 

 

 

[厥陰病煩滿囊縮][궐음병번만낭축]

 

厥陰證 手足厥冷 小腹痛 煩滿 囊縮 脈微欲絶 宜當歸四逆湯(仲景).

궐음병에 손발이 싸늘하고[厥冷] 아랫배[小腹]가 아프고 답답하며

그득하고 음낭이 졸아들며 맥이 미(微)하면서 끊어질 것 같은 데는 당귀사역탕을 쓴다[중경].  

 

傷寒六七日 尺寸脈 微緩者 厥陰受病也

其證 小腹煩滿 而囊縮 宜用承氣湯下之(仲景).

상한에 걸린 지 6-7일이 되어 촌맥과 척맥이 미완(微緩)한 것은 궐음(厥陰)에 병든 것인데

이때의 증상은 아랫배가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든다.

이런 때에는 승기탕을 써서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중경].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陰證][상한음증]  (0) 2020.05.29
[傷寒陽證][상한양증]  (0) 2020.05.28
[厥陰病手足厥冷][궐음병수족궐냉]  (0) 2020.05.28
[厥陰形證用藥][궐음형증용약]  (0) 2020.05.28
[少陰病禁忌][소양병금기]  (0) 2020.05.28

[厥陰病手足厥冷][궐음병수족궐냉]

 

凡厥者 陰陽氣不相順 接便爲厥.

厥者 手足厥冷 是也(仲景).

궐(厥)이라는 것은 음기(陰氣)와 양기(陽氣)가 서로 잘 접촉되지 못하여 생기는 것을 말한다.

궐 때에는 손발이 싸늘해진다[중경].

 

若始得之 手足便厥冷 不溫者 是陰經受邪 可用四逆湯溫之

若手足自熱 而至溫 從四逆而至厥者傳經之邪也

可用四逆散 必須識 此勿令誤也(明理)

만약 병 시초에 손발이 따뜻하지 못하고 싸늘한 것은 음경에 사기가 침범한 것인데

이런 때에는 사역탕으로 따뜻하게 해야 한다.

손발이 저절로 달아오르다가 따뜻해졌다가 싸늘해지는 것은 전경된 사기 때문인데

이런 데는 사역산(四逆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명리].

 

諸手足逆冷 皆屬厥陰 不可旱下 然有須旱 須下者

謂手足雖逆冷 時有溫時 手足掌心 必煖非正厥

대체로 손발이 싸늘해지는 것은 궐음증(厥陰證)에 속하는 것이므로 땀을 내거나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그 가운데는 반드시 땀을 내야 할 것도 있고 설사를 시켜야 할 것도 있다.

그것은 손발이 싸늘하다가도 때로 따뜻해지고 손발바닥이 달아 오르는 때도 있다.

그러므로 완전한 궐랭(厥冷)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잘 진찰해야 한다[활인].

 

 

 

[厥陰形證用藥][궐음형증용약]

 

厥陰心包絡 爲標 故舌卷 厥逆 冷過肘膝 小腹絞痛 三味參萸湯 四順湯主之.

肝爲本 故男則囊縮 女則乳縮 手足乍冷乍溫 煩滿者 大承氣湯主之(入門)  

궐음심포락(厥陰心包絡)은 표(標)가 된다.

그러므로 궐음병 때에는 혀가 꼬부라들고 팔굽과 무릎 위가 싸늘해지며

아랫배가 비트는 것 같이 아프다.

이런 데는 삼미삼유탕이나 사순탕을 쓴다.

간(肝)은 본(本)이 된다.

그러므로 궐음병 때에 남자는 음낭이 졸아들고

여자는 젖몸이 줄어들며 손발은 싸늘해졌다 따뜻해졌다 하면서 답답하고 그득한데[煩滿]

이런 데는 대승기탕을 쓴다[입문].  

 

厥陰之爲病 消渴 氣上衝心 心中 疼熱 飢不欲食 食則 吐蚘(活人).

궐음병 때에는 소갈(消渴)이 생기고 기가 치밀어 오르며 가슴 속이 아프고 달아오르며

배가 고파도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고 음식을 먹으면 해충을 토한다[활인].

 

傷寒六七日 煩滿囊縮 其脈尺寸俱微緩者 足厥陰肝經 受病也

其脈 微浮 爲欲愈 不浮爲難愈.

脈浮緩者 必囊不縮 外證必發熱惡寒 似瘧 爲欲愈 宜桂枝麻黃各半湯,

若尺寸俱沈短者 必是囊縮 動氣入腹 宜承氣湯下之(活人).

상한에 걸린 지 6-7일이 되면 가슴이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들고

촌맥과 척맥이 다 미완(微緩)한 것은 궐음간경(厥陰肝經)에 병이 생긴 것이다.

이때에 맥이 약간 부(浮)해지는 것은 나으려는 것이고 부해지지 않는 것은 낫기 어렵다.

맥이 부완(浮緩)할 때에는 음낭이 졸아들지 않는다.

이때에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열이 나고 오한이 나는 것인데

그것이 학질( 疾) 비슷한 것은 나으려는 것이다.

이런 데는 계지마황각반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만일 촌맥과 척맥이 다 침단(沈短)하면 음낭이 졸아드는데

이것은 독기(毒氣)가 속으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활인].

 

大抵 傷寒病 藏府傳變 陽經先受病

故次傳入陰經 以陽主生

故太陽水傳 足陽明土 土傳足少陽 木爲微邪也

陰主殺 故木傳 足太陰土 土傳足少陰水 水傳足厥陰木 至六七日

當傳厥陰肝木 必移氣剋 於脾土 脾再受邪 則五藏六府

皆因而危殆 榮衛不通 耳聾 囊縮 不知人 而死 速用承氣湯下之 可保五生一死(活人). 

대체로 상한병은 장부(藏俯)로 전해 가는데

먼저 양경(陽經)에 생겼다가 다음에 음경(陰經)으로 전해 간다.

그리고 양(陽)은 생하는 것을 주관하는데 태양수(太陽水)에서는 족양명토(足陽明土)로 전해 가고

토(土)에서는 족소양목(足少陽木)으로 전해 가기 때문에 미사(微邪)가 된다.

음(陰)은 죽는 것을 주관하는데 목(木)에서는 족태음토(足太陰土)로 전해 가고

토(土)에서는 족소음수(足少陰水)로 전해 가며 수(水)에서는 족궐음목(足厥陰木)으로 전해 간다.

6-7일이 되어 궐음간목(厥陰肝木)에 전해 가면 반드시 그 기운이 이동하여 비토(脾土)를 억제하게 된다.

비토가 다시 사기(邪氣)를 받으면 5장 6부가 다 위태롭게 되고 영위(榮衛)가 통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귀가 먹고 음낭이 졸아들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다가 결국에는 죽을 수 있다.

이런 때에는 빨리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그러면 6명 가운데서 5명은 살릴 수 있다[활인].

 

若第六七日 傳厥陰脈 得微緩 微浮 爲脾胃脈也

故知脾氣 全不受剋 邪無所容 否極泰來 榮衛將復水升火降 則寒熱作 而大汗解矣(活人).

6-7일이 되면 궐음경에 전해 가게 되는데 이때에 맥이 좀 완(緩)하고 좀 부(浮)한 것은 비위(脾胃)의 맥이다.

이것은 비기(脾氣)가 완전히 억제받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기가 견디지 못하여 물러나고 원기가 회복되면 영위가 회복되게 되고

수기(水氣)가 올라오고 화기(火氣)가 내려가기 때문에 춥다가 열이 나면서 땀이 몹시 나고 낫는다[활인].  

 

 

[少陰病禁忌][소양병금기]

 

少陰病 脈細沈數 病爲在裏 不可發汗(仲景)

소음병 때 맥이 침(沈), 세(細), 삭(數)한 것은 병이 이(裏)에 있는 것이므로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중경].

 

少陰病 但厥 無汗而强 發之 必動其血 未知從何道來 或從口鼻 或從目出

是名下厥 上竭 爲難治也(仲景).

소음병 때 손발이 싸늘하고 땀이 나지 않는다고 억지로 땀을 내면

혈(血)이 동(動)하여 허투루 돌다가 입과 코로 나오기도 하고 혹은 눈으로도 나오게 된다.  

이것을 하궐상갈(下厥上竭)이라고 하는데 치료하기 어렵다[중경].   

 

 

[少陰病伏氣咽痛][소음병복기인통]

 

伏氣之病 爲非時有暴寒 中人 伏氣於少陰經

始不覺病 旬月乃發 脈更微弱 先發咽痛 似傷寒 非喉痺之病

必下利 宜服半夏桂甘湯 便差 古方 謂之腎傷寒(活人).

복기(伏氣)로 병이 생긴다는 것은 계절에 맞지 않게 갑자기 추워져

몸에 한사(寒邪)가 침입해서 소음경(少陰經)에 들어가 있다가 병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초기에는 병이 생긴 것이 알리지 않다가 10-30일이 지나

증상들이 나타나는데 맥이 미약(微弱)해지면서 먼저 목구멍이 아프다.

그러나 이것은 상한 비슷하지 후비병(喉痺病)은 아니다.

이때에는 반드시 설사를 하는데 반하계감탕(처방은 인후문에 있다)을 쓴다.

옛 의학책에는 신상한(腎傷寒)이라고 씌어 있다[활인].

 

少陰下利 咽痛 胸滿 心煩 猪膚湯主之(仲景).

소음병 때에 설사하고 목구멍이 아프며 가슴이 그득하고 속이 답답한 데는 저부탕을 주로 쓴다[중경].

 

少陰病二三日 咽痛 可與甘草湯 不差與桔梗湯(仲景).

소음병에 걸려 2-3일이 되어 목구멍이 아프면 감초탕을 쓰는데 낫지 않으면 길경탕을 쓴다[중경].

 

少陰病 咽中痛 宜半夏散(仲景).

소음병 때에 목구멍이 아프면 반하산을 쓴다[중경].    

 

[少陰四逆證有二][소음사역증유이]

 

少陰病 四逆 或咳或悸 或小便不利 或腹中痛 或泄利下重 宜四逆散.

소음병 때에 팔다리가 싸늘하고 기침이 나며 가슴이 두근거리거나[驚悸]

오줌이 잘 나오지 않거나 배가 아프거나 혹 설사하면서 뒤가 무직한 데는 사역산을 쓴다.

 

邪熱入深 則手足漸冷 此熱厥 似陰之證 宜服四逆散(入門).

열사(熱邪)가 깊이 들어가서 손발이 점점 차지는 것은 열궐(熱厥)인데 음증(陰證)과 비슷하다.

이런 데는 사역산을 쓴다[입문].

 

傷寒直中 陰經初來 無頭痛 無身痛

無渴 怕寒 踡臥 沈重 欲眠 唇靑 厥冷 脈微而欲絶

或脈伏 宜四逆湯.

四逆者 四肢逆冷也(仲景).

상한 때 한사(寒邪)가 음경맥으로 들어가면 초기에는 머리가 아프지 않고 몸에 열도 나지 않으며

갈증도 없고 찬 것을 싫어하고 몸을 꼬부리고 누우며 입술이 퍼렇게 되고 몸이 무거우며 자려고만 하고

팔다리가 싸늘하며 맥이 미(微)하면서 끊어질 것 같거나 혹 복맥(伏脈)이 나타나는 데는 사역탕을 쓴다.

사역(四逆)이라는 것은 팔다리가 싸늘해지는 것이다[중경].

 

 

[少陰病自利][소음병자리]  

 

傷寒下利 心下痞硬 服瀉心湯 後以他藥下之 利不止

與理中湯 利益甚 理中者 理中焦 此利在下焦赤石脂禹餘粮湯主之(仲景). 

상한병 때 설사가 나고 명치 밑이 더부룩하고 뜬뜬해서 사심탕을 먹은 다음

다른 약으로 설사시켰는데 설사가 멎지 않았다.

그리하여 이중탕을 먹었더니 설사가 더 심해졌다.

이것은 이중탕이 중초(中焦)를 치료하는 약이기 때문이다.

이때의 설사는 하초(下焦)가 허하여 생긴 것이므로 적석지우여랑탕을 주로 써야 한다[중경].

 

少陰病 下利便膿血 桃花湯主之(仲景).

소음병 때에 설사로 피고름이 섞여 나오는 데는 도화탕을 주로 쓴다[중경].

 

少陰病 至四五日 腹滿痛 小便利 或嘔者 宜眞武湯(仲景).

소음병에 걸려 4-5일이 되어서 배가 그득하고 아프며 오줌이 잘 나오고

혹 설사가 나거나 구역질하는 데는 진무탕을 쓴다[중경].

 

下利 欲飮水者 以有熱 故也 宜白頭翁湯(仲景).

설사하면서 물을 마시려고 하는 것은 열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백두옹탕을 쓴다[중경].

 

少陰病 熱利 不止 三黃熟艾湯 及薤白湯主之(仲景).

소음병 때 열리(熱利)가 멎지 않는 데는 삼황숙애탕이나 해역탕을 주로 쓴다[중경].

 

少陰病 自利 純靑水 心下痛 口燥乾者 宜大承氣湯(仲景).

소음병 때 저절로 설사가 나면서 퍼런 물만이 나오고 명치 밑이 아프며 입이 마르는 데는 대승기탕을 쓴다[중경].

 

少陰證 下利辨色 靑者 當下 色不靑者 當溫(東垣).

소음병 때에 생긴 설사는 증을 갈라서 치료해야 하는데 퍼런 빛이 나는 대변을 설사할 때에는

반드시 설사시켜야 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반드시 따뜻하게 해야 한다[동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