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傷寒表證][상한표증]
凡傷寒 初得病二三日 頭痛 身體痛 惡寒 發熱 皆表證也(局方).
상한에 걸려 2-3일이 되었을 때에
머리와 몸이 아프고 오한과 열이 나는 것은 다 표증(表證)이다[국방].
凡 仲景 稱太陽者 皆表證 發熱 惡寒 頭項痛也(綱目).
중경(仲景)이 “태양병(太陽病)은 다 표증인데
이때에는 열이 나고 오한이 나며 머리와 목덜미가 아프다”고 하였다[강목].
發熱 惡寒 身體痛 而脈浮者 表證也.
表證者 惡寒 是也, 惡寒 屬太陽 宜汗之(活人).
열이 나고 오한이 나며 몸이 아프면서 맥이 부(浮)한 것은 표증이다.
표증이라는 것은 오한이 있는 것을 말하는데 오한은 태양병에 속한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반드시 땀을 내야 한다[활인].
項强几几 爲太陽表證(几音殊) 如短羽鳥 不能飛騰動 先引其頭也 項背强者 動亦如之.
一云 無趐鳥 欲飛貌(明理).
목덜미가 뻣뻣하여 꼼짝 못하는 것은 태양표증(太陽表證)이다.
꼼짝 못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날개가 짧은 새가 먼저 목만 빼들고 날지는 못하는 모양과 같다는 것이다.
목덜미와 등이 뻣뻣하다고 하는 것도 이와 같은 것이다.
어떤 데는 “날개가 없는 새가 날려고 하는 모양과 같다”고 씌어 있다[명리].
傷寒表證 通用麻黃杏仁飮 寒傷榮
宜麻黃湯方見上 太陽傷寒 風傷衛
宜桂枝湯方見上 太陽傷寒 三時發表
宜九味羗活湯方見上 傷寒陽證(入門).
상한표증 때에는 마황행인음을 쓴다.
한사(寒邪)에 영혈(榮血)이 상한 데는 마황탕을 쓰고
풍사(風邪)에 위기(衛氣)가 상한 데는 계지탕을 쓴다.
겨울철을 내놓은 3계절에 발표(發表)시키려면 구미강활탕을 쓴다[입문].
表證 宜香蘇散 十神湯 人蔘敗毒散 香葛湯 葱白散
參蘇飮 芎芷香蘇散 小靑龍湯 神朮散 消風百解散.
표증에는 향소산, 십신탕, 인삼패독산, 향갈탕, 총백산,
삼소음, 궁지향소산, 소청룡탕, 신출산, 소풍백해산을 쓴다.
表證 無汗 宜羗活冲和湯 有汗 宜防風冲和湯方見下
傷寒及四時傷寒 表裏不解 宜雙解散(河間).
표증 때 땀이 나지 않는 데는 강활충화탕을 쓰고 땀이 나는 데는
방풍충화탕(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쓴다.
표증(表證)과 이증(裏證)이 다 풀리지 않는 데는 쌍해산을 쓴다[하간].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半表半裏證][상한반표반리증] (0) | 2020.05.30 |
---|---|
[傷寒裡證][상한이증] (0) | 2020.05.29 |
[傷寒陰證][상한음증] (0) | 2020.05.29 |
[傷寒陽證][상한양증] (0) | 2020.05.28 |
[厥陰病煩滿囊縮][궐음병번만낭축] (0) | 202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