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厥陰形證用藥][궐음형증용약]

 

厥陰心包絡 爲標 故舌卷 厥逆 冷過肘膝 小腹絞痛 三味參萸湯 四順湯主之.

肝爲本 故男則囊縮 女則乳縮 手足乍冷乍溫 煩滿者 大承氣湯主之(入門)  

궐음심포락(厥陰心包絡)은 표(標)가 된다.

그러므로 궐음병 때에는 혀가 꼬부라들고 팔굽과 무릎 위가 싸늘해지며

아랫배가 비트는 것 같이 아프다.

이런 데는 삼미삼유탕이나 사순탕을 쓴다.

간(肝)은 본(本)이 된다.

그러므로 궐음병 때에 남자는 음낭이 졸아들고

여자는 젖몸이 줄어들며 손발은 싸늘해졌다 따뜻해졌다 하면서 답답하고 그득한데[煩滿]

이런 데는 대승기탕을 쓴다[입문].  

 

厥陰之爲病 消渴 氣上衝心 心中 疼熱 飢不欲食 食則 吐蚘(活人).

궐음병 때에는 소갈(消渴)이 생기고 기가 치밀어 오르며 가슴 속이 아프고 달아오르며

배가 고파도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고 음식을 먹으면 해충을 토한다[활인].

 

傷寒六七日 煩滿囊縮 其脈尺寸俱微緩者 足厥陰肝經 受病也

其脈 微浮 爲欲愈 不浮爲難愈.

脈浮緩者 必囊不縮 外證必發熱惡寒 似瘧 爲欲愈 宜桂枝麻黃各半湯,

若尺寸俱沈短者 必是囊縮 動氣入腹 宜承氣湯下之(活人).

상한에 걸린 지 6-7일이 되면 가슴이 답답하고 그득하며 음낭이 졸아들고

촌맥과 척맥이 다 미완(微緩)한 것은 궐음간경(厥陰肝經)에 병이 생긴 것이다.

이때에 맥이 약간 부(浮)해지는 것은 나으려는 것이고 부해지지 않는 것은 낫기 어렵다.

맥이 부완(浮緩)할 때에는 음낭이 졸아들지 않는다.

이때에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열이 나고 오한이 나는 것인데

그것이 학질( 疾) 비슷한 것은 나으려는 것이다.

이런 데는 계지마황각반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만일 촌맥과 척맥이 다 침단(沈短)하면 음낭이 졸아드는데

이것은 독기(毒氣)가 속으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활인].

 

大抵 傷寒病 藏府傳變 陽經先受病

故次傳入陰經 以陽主生

故太陽水傳 足陽明土 土傳足少陽 木爲微邪也

陰主殺 故木傳 足太陰土 土傳足少陰水 水傳足厥陰木 至六七日

當傳厥陰肝木 必移氣剋 於脾土 脾再受邪 則五藏六府

皆因而危殆 榮衛不通 耳聾 囊縮 不知人 而死 速用承氣湯下之 可保五生一死(活人). 

대체로 상한병은 장부(藏俯)로 전해 가는데

먼저 양경(陽經)에 생겼다가 다음에 음경(陰經)으로 전해 간다.

그리고 양(陽)은 생하는 것을 주관하는데 태양수(太陽水)에서는 족양명토(足陽明土)로 전해 가고

토(土)에서는 족소양목(足少陽木)으로 전해 가기 때문에 미사(微邪)가 된다.

음(陰)은 죽는 것을 주관하는데 목(木)에서는 족태음토(足太陰土)로 전해 가고

토(土)에서는 족소음수(足少陰水)로 전해 가며 수(水)에서는 족궐음목(足厥陰木)으로 전해 간다.

6-7일이 되어 궐음간목(厥陰肝木)에 전해 가면 반드시 그 기운이 이동하여 비토(脾土)를 억제하게 된다.

비토가 다시 사기(邪氣)를 받으면 5장 6부가 다 위태롭게 되고 영위(榮衛)가 통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귀가 먹고 음낭이 졸아들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다가 결국에는 죽을 수 있다.

이런 때에는 빨리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그러면 6명 가운데서 5명은 살릴 수 있다[활인].

 

若第六七日 傳厥陰脈 得微緩 微浮 爲脾胃脈也

故知脾氣 全不受剋 邪無所容 否極泰來 榮衛將復水升火降 則寒熱作 而大汗解矣(活人).

6-7일이 되면 궐음경에 전해 가게 되는데 이때에 맥이 좀 완(緩)하고 좀 부(浮)한 것은 비위(脾胃)의 맥이다.

이것은 비기(脾氣)가 완전히 억제받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기가 견디지 못하여 물러나고 원기가 회복되면 영위가 회복되게 되고

수기(水氣)가 올라오고 화기(火氣)가 내려가기 때문에 춥다가 열이 나면서 땀이 몹시 나고 낫는다[활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