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少陽病不可發汗][소양병불가발한]

 

傷寒 脈弦細 頭痛發熱 皆屬少陽 不可發汗 發汗 則譫語(仲景).

상한 때 맥이 현세(弦細)하고 머리가 아프며 열이 나는 것은 소양병이다.

이때에 땀을 내면 헛소리를 하게 되므로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중경].

 

 

[少陽證 爲半表半裏][소양증 위반표반리]

 

少陽 居太陽 陽明之中 半表半裏也.

禁汗 恐犯太陽, 禁下 恐犯陽明,

禁利小便 恐生發之氣 陷入陰中 故只用小柴胡湯 和之(入門).

소양은 태양(太陽)과 양명(陽明) 사이에 있기 때문에 반표반리라고 한다.

이때에 땀내는 것을 금하는 것은 태양경으로 침범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설사시키는 것을 금하는 것은 양명경으로 침범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 것을 금하는 것은 생기(生氣)가 음부 속으로 들어갈까봐 우려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소시호탕을 써서 화해시켜야 한다[입문].

 

少陽 以胸脅之間 爲半表半裏 表多則小柴胡湯, 裏多則黃芩湯,

已上發熱 太陽惡寒 陽明自汗 少陽多嘔 皆三陽證也(入門).

소양경은 가슴과 옆구리 사이로 지나갔기 때문에 반표반리라고 한다.

소양증(少陽證) 때 표증(表證)이 심하면 소시호탕을 쓰고 이증(裏證)이 심하면 황금탕을 써야 한다.

이상의 3가지 경병 때에는 다 열이 있으나 태양경병 때에는 오한이 나고

양명경병 때에는 저절로 땀이 나며 소양경병 때에는 자주 구역질을 한다.

이것이 다 3양경병의 증상이다[입문].

 

 

 

[少陽形證用藥][소양형증용약]

 

少陽之爲病 口苦 咽乾 目眩(仲景).

소양병 때에는 입이 쓰고 목이 마르며 눈 앞이 어지럽다[중경].

 

眩而口苦 舌乾者 屬少陽(仲景).

어지럽고 입이 쓰며 혀가 마르는 것은 소양병에 속한다[중경].

 

脇滿乾嘔 往來寒熱者 屬少陽(仲景).

옆구리가 그득하고 헛구역이 나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도 소양병에 속한다[중경].

 

胸脅痛 耳聾 尺寸脈 俱弦者 少陽受病也(仲景).

가슴과 옆구리가 아프고 귀가 먹으며 척맥(尺脈)과 촌맥(寸脈)이 다

현(弦)한 것은 소양경에 병이 든 것이다[중경].

 

口苦耳聾 胸滿者 少陽傷風也(仲景).

입이 쓰고 귀가 먹으며 가슴이 그득한 것은 소양이 풍사(風邪)에 상한 것이다[중경].

 

少陽三焦 相火爲本 故微熱 膽爲標 故耳聾 脇痛 寒熱 嘔而口苦 宜從中治 俱宜小柴胡湯(入門).

소양경의 본(本)은 3초상화(三焦相火)이므로 소양병 때 미열(微熱)이 있고

담경(膽經)이 소양경의 표(標)가 되므로 귀가 먹고 옆구리가 아프며 추웠다 열이 나고 구역질이 나면서 입이 쓰다.

이때에는 반드시 화해시켜야 하는데 소시호탕을 쓴다[입문].      

 

 

 

[陽明病禁忌][양명병금기]

 

陽明病 不能食 攻其熱 必噦 所以然者 胃氣 虛冷故也.

양명병 때에는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데 이때에 열을 몰아내면 반드시 딸꾹질이 난다.

그것은 위기(胃氣)가 허랭(虛冷)하기 때문이다.

 

傷寒 嘔多 雖有陽明證 不可攻也.

상한(傷寒) 때 자주 구역하면 비록 양명증이 있다고 하여도 설사를 시키지 말아야 한다.

 

胃家實 不大便 若表未解 急有半表者 先用桂枝 柴胡和解之 乃可下也.

위가실(胃家實)로 대변을 보지 못한다고 하여도 표증(表證)이 풀리지 않고

또 반표반리증(半表半裏證)이 있으면 계지시호탕을 먼저 써서 화해시킨 다음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

 

陽明病 自汗出 小便自利者 此爲津液內竭 大便雖硬 不可攻之 宜用蜜導法通之.

양명병 때 땀이 저절로 나고 오줌이 저절로 많이 나오면 속에서 진액(津液)이 마르게 된다.

이때에는 대변이 굳다고 해도 설사시키지 말고 밀도법(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으로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

 

陽明病 口燥但欲潄水 不欲嚥 此必衄 不可下 宜用犀角地黃湯(仲景).

양명병 때 입이 마르나 물로 양치만 하려고 하고 물을 넘기려고 하지 않을 때에는 반드시 코피가 난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설사시키지 말고 서각지황탕을 써야 한다[중경].

 

 

 

 

[陽明脾約證][양명비약증]

 

趺陽 脈浮而濇 浮則胃氣强 濇則小便數 浮濇相搏 大便必

難其脾爲約 麻仁丸(一名 脾約丸)方見大便主之(仲景).

부양맥(趺陽脈)이 부(浮)하면서 색하다면 부한 것은

위기(胃氣)가 센 것이고 색한 것은 오줌이 잦은 것이다.

부맥과 색맥이 뒤섞이면 대변보기 힘들게 되는데

이것을 비약증(脾約證)이라고 한다.

이런 데는 마인환(麻仁丸,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주로 쓴다.

이것을 일명 비약환(脾約丸)이라고도 한다[중경].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少陽形證用藥][소양형증용약]  (0) 2020.05.26
[陽明病禁忌][양명병금기]  (0) 2020.05.26
[陽明三證][양명삼증]  (0) 2020.05.26
[陽明證汗渴][양명증한갈]  (0) 2020.05.26
[陽明虛證宜補][양명허증의보]  (0) 2020.05.25

[陽明三證][양명삼증]

 

陽明證 上焦熱 脈浮發熱.

中焦熱 渴欲飮水.

下焦熱 小便不利 是乃三焦 俱熱 宜使熱邪 從小便而出 是用猪苓湯.

惟汗多而渴者 不可服(入門).

양명증 때 상초(上焦)에 열이 있으면 맥은 부(浮)하고 열(熱)이 난다.

중초(中焦)에 열이 있으면 갈증이 나서 물만 마시려고 한다.

하초(下焦)에 열이 있으면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다.

이것이 3초에 다 열이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저령탕을 써서 열사(熱邪)가 오줌을 따라 나오게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땀이 많이 나면서 갈증이 있으면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陽明證汗渴][양명증한갈]

 

治汗後 脈洪大而煩渴 宜用白虎湯和解之.

땀을 낸 다음 맥이 홍대(洪大)하고 번갈이 나면 반드시 백호탕을 써서 풀어야 한다.

 

三陽合病 頭痛 面垢 譫語 遺尿中外 俱熱自汗煩渴 亦宜此藥(仲景).

3양의 합병(合病)으로 머리가 아프고 얼굴이 때가 낀 것같이 되며

헛소리를 하고 오줌이 나오는 줄 모르고 속과 겉에 다 열이 있고 저절로 땀이 나며

번갈(煩渴)이 나는 데도 역시 이 약을 쓴다[중경].

 

汗下後 表裏俱熱 舌上乾燥 而大渴 脈洪大者 人蔘白虎湯主之.

땀을 내고 설사시킨 다음 속과 겉에 다 열이 있고 혀가 마르며

갈증이 몹시 나고 맥이 홍대(洪大)한 데는 인삼백호탕을 주로 쓴다.

 

汗而不解 脈浮者 蒼朮白虎湯主之(仲景)

땀을 낸 다음에도 낫지 않고 맥이 부(浮)한 데는 창출백호탕을 주로 쓴다[중경].

 

無汗而渴者 不可服.

땀은 나지 않으면서 갈증이 나는 데는 백호탕을 쓰지 말아야 한다.

 

陽明證 汗渴 竹葉石膏湯 最妙.

양명병 때 땀이 나고 갈증이 있으면 죽엽석고탕(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는 것이 제일 좋다.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陽明脾約證][양명비약증]  (0) 2020.05.26
[陽明三證][양명삼증]  (0) 2020.05.26
[陽明虛證宜補][양명허증의보]  (0) 2020.05.25
[陽明實證宜下][양명실증의하]  (0) 2020.05.25
[陽明病惡候][양명병악후]  (0) 2020.05.25

[陽明虛證宜補][양명허증의보]

 

一人 傷寒發狂 欲走 脈虛數 用柴胡湯

反劇以參芪 歸朮 陳皮 甘草煎湯一服 狂定 再服 安睡而愈(海藏).

어떤 사람이 상한에 걸려 미쳐서 달아나려고 하고

맥이 허삭(虛數)하였는데 시호탕을 먹이니 병이 더 악화되었다.

그리하여 인삼, 단너삼(황기), 흰삽주(백출), 당귀, 귤껍질(陳皮), 감초를 달여 한번 먹였더니

미친 증상이 진정되었다.

그리하여 다시 먹였는데 완전히 나았다[해장].

 

嘗治循衣摸床者 數人皆用大補氣血之劑 惟一人 兼瞤振 脈代

遂於補劑中 略加桂亦振止 脈和而愈(綱目).

이전에 헛손질하는 환자 몇 사람을 다 기혈(氣血)을 세게 보하는 약으로 치료하였다.

그러나 한 사람만은 헛손질하면서 살이 푸들거리고[振] 맥이 가끔 끊어졌다.

그리하여 보약처방에 계지를 조금 넣어서 달여 먹였는데

살이 푸들거리던 것이 멎고 맥이 고르게 되면서 나았다[강목].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陽明三證][양명삼증]  (0) 2020.05.26
[陽明證汗渴][양명증한갈]  (0) 2020.05.26
[陽明實證宜下][양명실증의하]  (0) 2020.05.25
[陽明病惡候][양명병악후]  (0) 2020.05.25
[陽明外證][양명외증]  (0) 2020.05.25

[陽明實證宜下][양명실증의하]

 

自汗出 大便秘 小便赤 手足溫 脈洪數 譫語者 必有燥糞 在胃中 調胃承氣湯 下之(活人).

땀이 저절로 나면서 대변은 막히고 오줌은 벌거며 손발이 따뜻하고

맥이 홍삭(洪數)하며 헛소리를 하는 것은 반드시 장위(腸胃) 속에 마른 대변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조위승기탕을 써서 설사시켜야 한다[활인].

 

手足濈然 汗出者 此大便已硬也.

譫語 有潮熱 承氣湯下之 熱不潮者 勿服(明理).

손발에 축축하게[ 然] 땀이 나는 것은 속에 마른 대변이 있기 때문이다.

헛소리를 하고 조열이 있으면 승기탕으로 설사시키고 조열이 없으면 쓰지 말아야 한다[명리].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陽明證汗渴][양명증한갈]  (0) 2020.05.26
[陽明虛證宜補][양명허증의보]  (0) 2020.05.25
[陽明病惡候][양명병악후]  (0) 2020.05.25
[陽明外證][양명외증]  (0) 2020.05.25
[陽明病陰陽結][양명병음양결]  (0) 2020.05.25

[陽明病惡候][양명병악후]

 

傷寒 若吐 若下 後不解 不大便 五六日 至十餘日 日晡所發

潮熱 不惡寒 狂言如見鬼狀 若劇者 發則不識人 循衣摸床 惕而不安 微喘 直視

脈弦者生 脈濇者 死(得效). 

상한 때 토하게 하고 설사시켜도 풀리지 않고 대변을 5-6일 또는 10여 일 동안 보지 못하며

해질 무렵에 조열이 나면서 오한은 없고 마치 헛것에 들린 것처럼 헛소리를 하는 것은 양명병의 좋지 못한 증상이다.

심해지면 사람도 알아보지 못하고 헛손질을 하면서 놀라고 숨차 하며 곧추 보게 된다.

이때에 맥이 현(弦)하면 살고 색하면 죽는다[중경].

 

微者 但發於譫語 宜大承氣湯下之 一服 利則止 後服.

脈弦者生 脈濇者 死(得效)

경(輕)하면 열이 나면서 헛소리만 하는데 이때에는 대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만일 한번 먹고 설사하면 설사약을 그만두어야 한다.

이때에도 맥이 현(弦)하면 살 수 있고 색하면 죽는다[득효].

 

一人 病傷寒 大便不利 日晡發燥熱 手循衣縫 兩手撮空 直視喘急 諸醫皆走此誠惡候

仲景 雖有證而無法 但云脈弦者 生, 脈濇者 死,

謾且救之 與小承氣湯一服 而大便利 諸疾漸退 脈且微弦半月愈 或問曰 脈弦者生 何也?

予曰  錢仲陽 云 手尋衣領 及捻物者 肝熱也 此證 在玉函 列於陽明部 盖陽明者 胃也

肝有熱邪 淫于胃經 故以承氣瀉之 且得弦脈 則肝平而胃不受剋 此有生之理也(本事).

어떤 사람이 상한을 만나서 대변을 보지 못하고 해질 무렵이 되면 조열이 나며

헛손질을 하고 곧추 보며 몹시 숨차 하였는데 여러 의사들이 다 치료하지 못할 증상으로 인정하였다.

중경은 “이런 증은 있지만 치료하는 방법은 없다고 하면서 맥이 현(弦)하면 살고 색하면 죽는다”고 하였다.

그런데 소승기탕을 한번 먹이니 대변이 풀리고 여러 가지 증상도 점차 풀렸으며

맥이 약간 현해지면서 반 달 만에는 나았다.

그러자 어떤 사람이 “맥이 현(弦)하면 살 수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무엇 때문인가”고 물었다.

나는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대답해 주었다.

“이전에 전중양(錢仲陽)이 헛손질을 하는 것은 간(肝)에 열(熱)이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는데

그런 증상은 옥함이라는 책의 양명부에 씌어 있다. 양명이란 위(胃)를 말한다.

그런데 간에 있던 열사(熱邪)가 위경(胃經)으로 침범했을 때에는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

그러면 현맥(弦脈)이 나타나면서 간(肝)이 고르게 되고 위(胃)가 열사의 침입을 받지 않게 된다.

때문에 살 수 있는 것이다”[본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