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少陽證 爲半表半裏][소양증 위반표반리]
少陽 居太陽 陽明之中 半表半裏也.
禁汗 恐犯太陽, 禁下 恐犯陽明,
禁利小便 恐生發之氣 陷入陰中 故只用小柴胡湯 和之(入門).
소양은 태양(太陽)과 양명(陽明) 사이에 있기 때문에 반표반리라고 한다.
이때에 땀내는 것을 금하는 것은 태양경으로 침범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설사시키는 것을 금하는 것은 양명경으로 침범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오줌을 잘 나오게 하는 것을 금하는 것은 생기(生氣)가 음부 속으로 들어갈까봐 우려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소시호탕을 써서 화해시켜야 한다[입문].
少陽 以胸脅之間 爲半表半裏 表多則小柴胡湯, 裏多則黃芩湯,
已上發熱 太陽惡寒 陽明自汗 少陽多嘔 皆三陽證也(入門).
소양경은 가슴과 옆구리 사이로 지나갔기 때문에 반표반리라고 한다.
소양증(少陽證) 때 표증(表證)이 심하면 소시호탕을 쓰고 이증(裏證)이 심하면 황금탕을 써야 한다.
이상의 3가지 경병 때에는 다 열이 있으나 태양경병 때에는 오한이 나고
양명경병 때에는 저절로 땀이 나며 소양경병 때에는 자주 구역질을 한다.
이것이 다 3양경병의 증상이다[입문].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少陽證 往來寒熱][소양병 왕래한열] (0) | 2020.05.26 |
---|---|
[少陽病不可發汗][소양병불가발한] (0) | 2020.05.26 |
[少陽形證用藥][소양형증용약] (0) | 2020.05.26 |
[陽明病禁忌][양명병금기] (0) | 2020.05.26 |
[陽明脾約證][양명비약증] (0) | 2020.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