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少陽形證用藥][소양형증용약]

 

少陽之爲病 口苦 咽乾 目眩(仲景).

소양병 때에는 입이 쓰고 목이 마르며 눈 앞이 어지럽다[중경].

 

眩而口苦 舌乾者 屬少陽(仲景).

어지럽고 입이 쓰며 혀가 마르는 것은 소양병에 속한다[중경].

 

脇滿乾嘔 往來寒熱者 屬少陽(仲景).

옆구리가 그득하고 헛구역이 나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도 소양병에 속한다[중경].

 

胸脅痛 耳聾 尺寸脈 俱弦者 少陽受病也(仲景).

가슴과 옆구리가 아프고 귀가 먹으며 척맥(尺脈)과 촌맥(寸脈)이 다

현(弦)한 것은 소양경에 병이 든 것이다[중경].

 

口苦耳聾 胸滿者 少陽傷風也(仲景).

입이 쓰고 귀가 먹으며 가슴이 그득한 것은 소양이 풍사(風邪)에 상한 것이다[중경].

 

少陽三焦 相火爲本 故微熱 膽爲標 故耳聾 脇痛 寒熱 嘔而口苦 宜從中治 俱宜小柴胡湯(入門).

소양경의 본(本)은 3초상화(三焦相火)이므로 소양병 때 미열(微熱)이 있고

담경(膽經)이 소양경의 표(標)가 되므로 귀가 먹고 옆구리가 아프며 추웠다 열이 나고 구역질이 나면서 입이 쓰다.

이때에는 반드시 화해시켜야 하는데 소시호탕을 쓴다[입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