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熨臍法][위제법]

治陰毒危急 體冷無脈 氣息欲絶 或不省人事

大葱白把切去葉

扎餠2~3寸虛 連作4~5餠 先將麝香 硫黃各一字 塡臍內 放葱餠

於臍上 以熨斗火 熨之 如餠爛 再換新餠

又熨之 以葱氣入腹 爲效.

手足溫 有汗卽差 更服 四逆湯 以溫其內

如熨後手足指尙冷 甲下肉黑者 死(活人).

又法 釅醋拌麩皮炒 熨納布袋中 蒸熱熨之 尤速效(海藏).

음독이 중()해져서 몸이 차고 맥이 짚이지 않으며

숨결이 끊어지려고 하거나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파밑(총백, 큰 것으로 잎을 버린 것).

위의 약을 썰어서 짓찧어 직경이 2-3치 되게 떡 4-5개를 만든다.

그 다음 먼저 사향과 유황을 각각 1g씩 섞어서 배꼽에 채워 넣고 그 위에 파떡을 놓는다.

다음 다리미질을 하는데 만일 파떡이 익으면 갈아 붙이면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의 기운이 배에 들어가면 곧 손발이 따뜻해지면서 땀이 나고 곧 낫는다.

이때에는 다시 사역탕을 먹어서 속을 덥혀야 한다.

만약 파찜질을 한 다음에도 손발이 더 차지고 손발톱 밑의 살이 검어지면 죽는다[활인].

다른 방법은 진한 식초( )에 밀기울( )을 버무려 볶아서 베주머니에 넣은 다음

뜨겁게 쪄서 찜질하는 것인데 효과가 매우 빠르다[해장].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外用水漬法][외용수지법]  (0) 2020.06.01
[傷寒陽毒][상한양독]  (0) 2020.06.01
[傷寒陰毒][상한음독]  (0) 2020.06.01
[厥與四逆不同][궐여사역부동]  (0) 2020.05.31
[厥有藏厥蚘厥][궐유장궐회궐]  (0) 2020.05.31

[傷寒陰毒][상한음독]

 

傷寒 三陰病深 必變爲陰毒 其證 四肢厥冷 吐利不渴 靜踡而臥

甚則咽痛 鄭聲 加以頭痛 頭汗 眼睛內痛 不欲見光 面 唇 指甲靑黑 手背冷汗 心下結硬 臍腹築痛

身如被杖 外腎氷冷 其脈 附骨取之則有 按之則無 宜甘草湯 正陽散,

陽氣乍復 或生 煩躁者 返陰丹 復陽丹用之 不可凉藥(入門). 

상한 때에 3음경병(三陰經病)이 심해지면 반드시 음독(陰毒)으로 변하는데

그 증상은 팔다리가 싸늘하고[厥冷] 토하며 설사하고 갈증은 없으며

몸을 꼬부리고 가만히 누워 있는 것이다.

심하면 목구멍이 아프고 정성(鄭聲)이 있으며 머리가 아프고 머리에서 땀이 나고

눈알[眼睛] 속이 아파서 햇빛을 보기 싫어하며 얼굴, 입술, 손발톱이 검푸르게 되고

손등에서 찬 땀이 나고 명치 밑이 뜬뜬하며 배꼽노리[臍腹]가 툭툭 뛰면서 아프다.

몸은 마치 매를 맞은 것같이 아프고 음낭이 얼음처럼 차고

맥은 잠복되어 꾹 눌러야 짚이고 약간 누르면 짚이지 않는다.

이런 데는 감초탕이나 정양산을 쓴다.

양기(陽氣)가 잠시 회복되어 안타깝게 답답하면[煩燥] 반음단이나 부양단을 쓰고

성질이 서늘한 약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又此證 面靑舌黑 四肢厥冷 多睡(入門).

또 이때의 증상은 얼굴이 푸르며 혀가 거멓고 팔다리가 싸늘하고 잠이 많다[입문].

 

 

積陰 感於下 則微陽消於上 故其候 四肢沈重 逆冷 腹痛 咽喉不利

或心下脹滿 結硬 燥渴 虛汗不止 或時狂言 爪甲 面色靑黑 六脈沈細 而一息七至以來

速於氣海 關元各灸200~300壯 以手溫煖 爲效仍服還陽散 退陰散(本事).

몰린 음기[積陰]가 하초로 내려가면 미약한 양기[微陽]는 상초에서 소모된다.

그러므로 이때의 증상은 팔다리가 무겁고 싸늘하며 배가 아프고 목구멍이 불편하며[不利]

혹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그득하면서 뜬뜬하며 갈증이 나고 허해서 땀이 계속 나며 때로 미친 소리를 한다.

그리고 손발톱과 얼굴빛이 검푸러지고 6맥이 침세(沈細)하면서 한번 숨 쉴 동안에 일곱번씩 뛴다.

이때에는 빨리 기해(氣海), 관원(關元) 혈에 뜸을 각각 200-300장씩 떠야 하는데

손발이 더워질 때까지 뜬 다음 곧 환양산이나 퇴음산을 써야 한다[본사].

 

陰毒 沈困之候 六脈附骨取之 方有 按之則無 一息八至已上 或不可數至 此則藥餌 難爲功矣

宜灸臍下200~300壯 更以還陽散 等熱藥助之 如手足不和 緩者 不可治(本事).

음독 때의 위험한 증상은 6맥이 잠복되어 꾹 눌러야 짚이고

약간 누르면 짚이지 않으면서 한번 숨 쉴 동안에 여덟번 이상 또는 그 수를 셀 수 없이 뛰는 것이다.

병이 이와 같이 되면 약을 써도 효과가 없다.

그러므로 배꼽 아래에 약 200-300장의 뜸을 뜬 다음

환양산과 같이 성질이 뜨거운 약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그러나 손발이 더워지지 않으면 치료하기 어렵다[본사].

 

傷寒陰毒之病 面靑 身痛 如被杖 咽喉痛 五日可治 七日不可治 甘草湯主之(仲景).

상한음독 때에는 얼굴빛이 퍼렇게 되고 몸이 매를 맞은 것같이 아프면서 목구멍도 아픈데

이 병이 생긴 지 5일 되었으면 치료할 수 있으나 7일이 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이런 때에는 감초탕을 쓴다[중경].

 

陰毒 宜用正陽散 附子散 回陽救急湯 熨臍法.

음독 때에는 정양산, 부자산, 백출산, 회양구급탕과 배꼽에 찜질하는 방법을 쓴다.

 

一人傷寒 四肢逆冷 臍下築痛 身疼如被杖 盖陰毒也

急服 金液丹 來復丹二方並見下 痼冷等藥 其脈遂沈 而滑證 雖陰而有陽脈 可生

仍灸臍下100壯 乃手足溫陽回 得汗而解(本事)

어떤 사람이 상한을 만나서 팔다리가 싸늘하고[逆冷]

배꼽노리가 툭툭 뛰면서 아프고 몸은 매를 맞은 것같이 아팠다.

이것은 상한음독(傷寒陰毒)이기 때문에 급히 금액단과 내복단(처방은 다 아래에 있다) 등을 먹였다.

그러자 맥이 곧 침활(沈滑)해졌기 때문에 비록 음증증상은 있으나

양맥(陽脈)이 나타나므로 살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하여 배꼽 아래에 뜸 100장을 뜨니 곧 손발이 더워지고

양기(陽氣)가 회복되어 땀이 나면서 풀렸다[본사].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陽毒][상한양독]  (0) 2020.06.01
[熨臍法][위제법]  (0) 2020.06.01
[厥與四逆不同][궐여사역부동]  (0) 2020.05.31
[厥有藏厥蚘厥][궐유장궐회궐]  (0) 2020.05.31
[辨陰陽厥法][변음양궐법]  (0) 2020.05.30

[厥與四逆不同][궐여사역부동]

 

四逆者 四肢不溫也, 厥者 手足逆冷也,

傷寒 邪在三陽 則手足必熱 傳到太陰 手足自溫

사역(四逆)이라는 것은 팔다리가 따뜻하지 않은 것이고

()이라는 것은 손발이 싸늘한 것[逆冷]이다.

상한 때에 사기가 3(三陽)에 있으면 손발이 반드시 달고

이것이 태음(太陰)에 전경(傳經)되면 손발이 저절로 따뜻해진다.

 

至少陰 則邪熱漸深 故四肢逆 而不溫 及至厥陰則手足厥冷

사기(邪氣)가 소음(少陰)에 들어가면 열이 점점 깊이 들어가게 되므로

팔다리가 싸늘해졌다가 따뜻해지지 않는다.

궐음(厥陰)에 들어가면 손발이 싸늘해진다.

 

是又甚於逆 其四逆散方見上 少陰形證用藥 凉藥 以治四肢不溫

其四逆湯熱藥 以治寒極而成 逆厥者也.

이것은 사역보다 심한 것이다.

사역산은 성질이 서늘한 약이기 때문에 팔다리가 따뜻하지 못한 것을 치료하며

사역탕은 성질이 더운약이므로 찬 기운이 심하여 손발이 싸늘한 것을 치료한다.

 

四肢通冷 比之手足獨冷 則有間 夫死者 以四逆言之 可治者

以厥冷 言則亦可見 四逆 與手足厥冷之 有輕重淺深矣.

盖四肢通冷 其病爲重 手足獨冷 其病爲輕也.

팔다리가 다 찬 것은 손발만 싸늘한 것과 차이가 있는데

팔다리가 싸늘하면 죽고 손발만 싸늘하면 살 수 있다.

이와 같이 팔다리가 다 싸늘한 것과 손발만 싸늘한 데는 중()한 것과 경()한 것,

깊은 것과 얕은 것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체로 팔다리가 다 싸늘하면 병이 중하고 손발만 싸늘하면 병이 경하다.

 

四肢與手足 却有所分 以四字 加於逆字之上 是通指手足臂脛以上言也

以手足二字 加於厥逆 厥冷之上 是獨指手足言也.

盖以四逆 爲四肢通冷 厥爲手足 獨冷也(東垣).

팔다리와 손발이란 의미가 다른데 넉 사()’자를 거스를 역()’자의 위에 덧붙여

사역(四逆)이라고 한 것은 손발과 팔뚝과 정강이 위를 가리켜 말한 것이고

수족(手足)이라는 두 글자를 궐역(厥逆)

또는 궐랭(厥冷)이라는 글자 위에 덧붙인 것은 손발만 가리켜 말한 것이다.

대체로 사역(四逆)이라는 것은 팔다리가 다 싸늘한 것을 의미하고

()은 손발만 싸늘한 것을 의미한다[동원].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熨臍法][위제법]  (0) 2020.06.01
[傷寒陰毒][상한음독]  (0) 2020.06.01
[厥有藏厥蚘厥][궐유장궐회궐]  (0) 2020.05.31
[辨陰陽厥法][변음양궐법]  (0) 2020.05.30
[陰陽厥輕重][음양궐경중]  (0) 2020.05.30

[厥有藏厥蚘厥][궐유장궐회궐]

 

躁無暫定 而厥者 爲藏厥(活人).

팔다리를 계속 내저으면서 손발이 싸늘한 것을 장궐(藏厥)이라고 한다[활인].

 

藏厥者 發躁無休息 時且發熱

장궐 때에는 편안치 않아서 몸을 잠시도 가만히 가지고 있지 못하며 팔다리를 계속 내젓고 열이 난다.

 

七八日 脈微浮 冷而躁 或吐或瀉 無時.

暫安者 乃厥陰 眞藏氣盡 故曰藏厥.

그리고 7-8일이 되면 맥이 미(微)하고

몸이 싸늘해지며 번조(煩燥)하고 혹 토하거나 설사하는데

이것은 궐음경의 진장기(眞藏氣)가 다 쇠약해졌기 때문이다.

 

仲景 無治法 四逆湯方見上 少陰形證用藥 冷飮救之

又少陰厥 而吐利 發躁 亦不治 三味參萸湯方見上 厥陰形證用藥 救之(活人).

이에 대한 치료방법을 중경은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사역탕을 달여 식혀서 먹는 것이 좋다.

또 소음병 때에 몸이 싸늘하고 토하며 설사하고

손발을 내젓는 것은 치료하기 어려운데 이때에는 삼미삼유탕을 먹인다[입문].

 

 

 

 

 

진정되었다가도 다시 번기(煩氣)가 나고 회충을 토하며 손발이 싸늘해지는 것을 회궐(回厥, 자세한 것은 충문에 있다)이라고 한다[활인].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陰毒][상한음독]  (0) 2020.06.01
[厥與四逆不同][궐여사역부동]  (0) 2020.05.31
[辨陰陽厥法][변음양궐법]  (0) 2020.05.30
[陰陽厥輕重][음양궐경중]  (0) 2020.05.30
[傷寒陽厥][상한양궐]  (0) 2020.05.30

[辨陰陽厥法][변음양궐법]

 

陰陽二厥 脈皆沈 所以使人疑之 然陰厥 脈沈遲而弱, 陽厥 脈沈伏而滑

又 陽厥 指爪時一溫, 陰厥 常冷(得效).

음궐(陰厥)과 양궐(陽厥) 때에는 맥이 다 침()하기 때문에 누구든지 의심하게 된다.

그러나 음궐은 맥이 침지(沈遲)하면서 약()하고 양궐은 맥이 침복(沈伏)하면서 활()하다.

양궐 때에는 손발톱이 때로 따뜻해지나 음궐 때에는 늘 차다[득효].

 

若未辨陰陽 且與理中湯方見上 太陰形證用藥 試之, 陽厥 則便熱, 陰厥 則不熱(得效).

음궐과 양궐을 갈라 보기 힘들 때에는 이중탕을 써서 알아내는데

이것을 써서 열이 나는 것은 양궐이고 열이 나지 않는 것은 음궐이다[득효].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厥與四逆不同][궐여사역부동]  (0) 2020.05.31
[厥有藏厥蚘厥][궐유장궐회궐]  (0) 2020.05.31
[陰陽厥輕重][음양궐경중]  (0) 2020.05.30
[傷寒陽厥][상한양궐]  (0) 2020.05.30
[傷寒陰厥][상한음궐]  (0) 2020.05.30

[陰陽厥輕重][음양궐경중]

 

傷寒 至四五日而厥者 必發熱前熱者 後必厥厥深者 熱亦深厥微者 熱亦微(仲景).

상한에 걸린 지 4-5일이 되어 손발이 싸늘해지면[] 반드시 열이 난다.

그리고 먼저 열이 나면 후에 반드시 손발이 싸늘해지는데

열이 몹시 났으면 몹시 싸늘해지고 열이 덜 났으면 덜 싸늘해진다[중경].

 

傷寒 厥四日熱反三日 復厥五日 其病爲進 厥多熱 少陽氣退 故爲進也(仲景).

상한 때에 4일 동안 손발이 싸늘하다가[] 3일 동안 열이 나고

다시 5일 동안 손발이 싸늘해지는 것은 그 병이 점점 더 진전되는 것이다.

대체로 손발이 몹시 싸늘하고 열이 덜 나는 것은 양기가 쇠퇴되어 병이 더 심해지는 것이다[중경].

 

傷寒 發熱四日 厥反三日 厥少熱多 其病當自愈(仲景).

상한 때에 4일 동안 열이 나다가 3일 동안 손발이 싸늘해지는 것은

손발이 덜 싸늘하고 열이 심한 것인데 이런 것은 저절로 낫는다[중경].

 

傷寒病 厥五日 熱亦五日 設六日 當復厥 不厥者 自愈

厥終不過五日 以熱五日 故知自愈(仲景).

상한 때에는 5일 동안 손발이 싸늘하다가 5일 동안은 열이 나고

6일이 되어서는 다시 손발이 싸늘해지는데 다시 손발이 싸늘해지지 않아야 병이 저절로 낫는다.

그것은 손발이 싸늘해지면 5일이 지나지 않아 열이 나는 법인데

5일이 지난 것으로 보아 저절로 나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중경].

 

熱多 厥少者 易愈, 厥多 熱少者難已(入門).

열이 몹시 나고 약간 싸늘하면 쉽게 낫고 몹시 싸늘하고 약간 열이 나면 치료하기 어렵다[입문].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厥有藏厥蚘厥][궐유장궐회궐]  (0) 2020.05.31
[辨陰陽厥法][변음양궐법]  (0) 2020.05.30
[傷寒陽厥][상한양궐]  (0) 2020.05.30
[傷寒陰厥][상한음궐]  (0) 2020.05.30
[傷寒半表半裏證][상한반표반리증]  (0) 2020.05.30

[傷寒陽厥][상한양궐]

 

陽厥者 初得病 必身熱 頭痛 外有陽證 至四五日 方發厥

厥至半日 却身熱 盖熱氣深 方能發厥 若微厥 却發熱者 熱深故也

其脈雖伏 按之滑者 爲裏熱 或飮水 或揚手擲足 或煩燥不得眠 大便秘 小便赤

外證 多昏憒 承氣湯方見上 傷寒裏證 白虎湯方見上 陽明形證用藥 隨證用之(活人).

양궐(陽厥)이 생긴 초기에는 몸에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겉에는 양증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4-5일이 되면 손발이 싸늘해지고 한나절이 지나면 갑자기 몸에 열이 난다.

대체로 열이 심하면 곧 손발이 싸늘해진다.

손발이 약간 싸늘하면서도 열이 나는 것은 열이 심하기 때문이다.

맥은 복맥(伏脈)이나 꾹 누르면 활(滑)해지는 것은 속에 열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물을 마시거나 손발을 내저으며 번조해서 자지 못하고 대변이 굳으며 오줌이 벌겋다.

겉으로 보아서 정신이 혼미할 때에는 승기탕이나 백호탕을 증상에 맞게 써야 한다[활인].

 

下證 悉俱而見 四逆者 是因失下血氣不通 四肢便厥

醫不識 疑爲陰厥 便進熱藥 禍如反掌

大抵熱厥 雖脈沈伏而滑者 手雖冷 時復指爪溫 須承氣湯下之(活人).

설사시켜야 할 증상이 다 있으면서 팔다리가 싸늘한 것은

설사시켜야 할 시기를 놓쳐서 혈기가 잘 돌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의사가 잘 모르고 음궐(陰厥)로 오진한 다음 성질이 더운약을 쓴다면 매우 위험하게 된다.

대체로 열궐(熱厥) 때 맥이 침복(沈伏)하고 활(滑)하면 손은 싸늘하지만

때로 손톱이 따뜻해지는데 이때에는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활인].

 

厥陰證 四肢逆冷 爪甲靑 脈沈疾 按之有力則爲陽 當下之 宜大承氣(海藏).

궐음증 때에 팔다리가 싸늘하고 손발톱이 퍼렇게 되며

맥이 침(沈)하면서 질(疾)한데 눌러 보면 힘이 있는 것은 양증(陽證)이다.

이때에는 대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해장].

 

陽厥者 未厥前 有頭痛 有身熱

陽邪深入 陷伏於內 而後發厥 微厥半日間 却又發熱

熱氣下行 則腹痛 下利 或便膿血 若不便血 則熱氣上行 必爲喉痺(入門).

양궐 때에도 손발이 싸늘해지기 전에 먼저 머리가 아프고 몸에 열이 나게 된다.

이것은 양사(陽邪)가 속에 깊이 침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손발이 싸늘한 것이다.

손발이 약간 싸늘하다가도 한나절이 지나면 갑자기 열이 난다.

열이 아래로 내려가면 배가 아프거나 설사하거나 혹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본다.

만일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지 않으면 열기(熱氣)가 위로 올라가서 후비증(喉痺證)이 생긴다[입문].

 

傷寒 邪在三陽 則四肢熱 半表裏 及太陰 則邪漸入內 故四肢溫

至少陰厥 陰邪入深而陷 伏於內則四肢厥冷 然先由熱後厥者 傳經熱厥也

輕則四逆散 重則大柴胡湯 承氣湯二方並見上 傷寒裏證下之(入門).

상한 때 사기(邪氣)가 3양(三陽)에 있으면 팔다리가 달고

반표반리와 태음(太陰)으로 사기가 들어가면 팔다리가 따뜻해진다.

이 사기가 소음(少陰)과 궐음(厥陰)까지 깊이 들어가 잠복하게 되면 팔다리가 싸늘해진다.

그러나 먼저 팔다리가 달다가 후에 싸늘해지는 것은 전경(傳經)된 열궐(熱厥)이다.

경(輕)하면 사역산을 쓰고 중(重)하면 대시호탕이나 승기탕으로 설사시킨다[입문].

 

熱厥 脈沈伏而滑 頭上有汗 手掌溫 指梢亦溫 便宜下(入門).

열궐은 맥이 침복(沈伏)하면서 활(滑)하고 머리에서 땀이 나며

손바닥과 손가락 끝이 따뜻한데 이때에도 반드시 설사시키는 약을 써야 한다[입문].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陰陽厥法][변음양궐법]  (0) 2020.05.30
[陰陽厥輕重][음양궐경중]  (0) 2020.05.30
[傷寒陰厥][상한음궐]  (0) 2020.05.30
[傷寒半表半裏證][상한반표반리증]  (0) 2020.05.30
[傷寒裡證][상한이증]  (0) 2020.05.29

[傷寒陰厥][상한음궐]

 

厥者 手足逆冷 是也 其手足指頭 微汗者 謂之淸 此疾爲輕(活人).

궐(厥)이라는 것은 손발이 싸늘한 것이다.

손발가락끝이 조금 찬 것을 청궐(淸厥)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경한 증상이다[활인].

 

陰厥者 初得病 便四肢逆冷 脈沈微 而不數 足多攣 臥時惡寒

或引衣自覆 不飮水 或下利淸穀 或淸便自調. 外證 多惺惺而靜

宜四逆湯 通脈四逆湯 二方並見上 少陰形證用藥 當歸四逆湯方見上 厥陰形證用藥(活人).

음궐(陰厥)이라는 것은 병든 초기에 팔다리가 싸늘한 것이다. 

이때에 맥은 침미(沈微)하면서 삭(數)하지 않으며 흔히 다리를 가드라뜨리고[攣] 눕는다. 

그리고 때로 오한이 나고 옷을 더 입으려 하며 

물은 마시지 않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하며 오줌은 순조롭다. 

그리고 겉으로 볼 때에는 정신이 맑고 안정되는데 

이런 데는 사역탕, 통맥사역탕, 당귀사역탕을 쓴다[활인]. 

 

陰厥者 無頭痛 無身熱 吐利不渴 靜踡而臥 手足盡冷

乃厥陰所主 陰陽之氣 不相接連而然

太陰厥 手足指頭 微冷者 理中湯.

少陰厥 脛寒足冷 甚則手至臂 足至膝者 四逆湯.

厥陰厥 一身盡冷者 當歸四逆湯 厥逆 煩燥者 不治(入門).

음궐(陰厥)이라는 것은 머리가 아프지 않고 몸에 열이 없으며 토하고 설사하나 갈증이 없고 

몸을 꼬부리고 가만히 누워 있으며 손발이 다 싸늘한 것이다. 

이것은 궐음(厥陰)이 음기(陰氣)와 양기(陽氣)를 주관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여 음기와 양기가 서로 접촉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태음궐(太陰厥) 때에는 손발가락끝이 좀 찬데 이런 때에는 이중탕을 쓰고 소음궐(少陰厥) 때에는 

정강이가 차고 발이 시린데 심하면 손에서 팔꿈치까지와 발에서 무릎까지가 다 차다. 

이런 데는 사역탕을 쓴다. 

궐음궐(厥陰厥) 때에는 온몸이 다 싸늘한데 이런 데는 당귀사역탕을 쓴다. 

궐역 때에 번조(煩燥) 증상이 있는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입문]. 

 

小便數 微惡寒者 陽氣不足也 心煩 足踡者 陰氣不足也(入門).

오줌을 자주 누고 오한이 약간 나는 것은 양기가 부족한 것이고

속이 답답해하면서 다리를 구부리고 눕는 것은 음기가 부족한 것이다[입문].

 

厥陰證 四肢厥冷 脈沈遲 按之無力 則陰當溫之 宜四逆湯(海藏).

궐음증 때 팔다리가 싸늘하고 맥이 침지(沈遲)하며 꾹 누르면 힘이 없는 것은 음증이다. 

이때에는 반드시 성질이 따뜻한 약을 써야 하는데 사역탕을 쓴다[해장]. 

 

陰厥 指爪常冷 足踡 臥不渴 淸便如常 外證 惺惺(得效).

음궐(陰厥)은 손발톱이 늘 차고 다리를 구부리고 누우며 갈증이 없고

대변이 순조로우며 겉에 나타나는 증상은 정신이 똑똑한 것이다[득효].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陽厥輕重][음양궐경중]  (0) 2020.05.30
[傷寒陽厥][상한양궐]  (0) 2020.05.30
[傷寒半表半裏證][상한반표반리증]  (0) 2020.05.30
[傷寒裡證][상한이증]  (0) 2020.05.29
[傷寒表證][상한표증]  (0) 2020.05.29

[傷寒半表半裏證][상한반표반리증]

 

半表裏 極難識 有言身前後者, 有言太陽 陽明之間者,

身後爲太陽 身前爲陽明, 少陽居中 寒熱莫定 此以身之前後而言也

小柴胡湯方見上 少陽形證用藥 主少陽之半表裏也

膀胱寒水 近陽明燥金 水多則寒, 燥多則熱, 亦往來寒熱,

五苓散方見下 傷寒煩渴 分利膀胱之半表裏也,

理中湯方見上 太陰形證用藥 治吐瀉不定 上下之半表裏也(入門).

반표반리(半表半裏)는 매우 알기 어려운데 몸의 앞뒤에서 보기도 하고

몸의 아래위에서 보기도 하며 태양(太陽)과 양명(陽明)의 사이를 가리켜 말하기도 한다.

몸의 뒤는 태양이 되고 몸의 앞은 양명이 된다.

소양(少陽)은 그 가운데 있기 때문에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이 일정하지 않다.

이것은 몸의 앞뒤에서 보는 것이다.

소시호탕은 주로 소양의 반표반리증을 치료한다.

방광한수(膀胱寒水)는 양명조금(陽明燥金)과 접근해 있는데

물이 많으면 차고 조(燥)한 기운이 많으면 열이 나기 때문에 추웠다 열이 났다 한다.

오령산은 방광의 반표반리를 분리시키고 이중탕은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일정치 않은

아래위의 반표반리 때에 주로 쓴다[입문].

 

發熱 脈弦細 頭痛者 屬半表半裏 卽少陽證也(仲景).

열이 나고 맥이 현세(弦細)하며 머리가 아픈 것은 반표반리증에 속하는데 이것을 소양증이라고 한다[중경].

 

傷寒表證 當汗裡證 當下不易之法也

然而假令脈浮而大 是表證 當汗

又發熱 煩渴 小便赤 却當下此表裏俱見 雙解散方見上 傷寒表證主之(河間).

상한표증 때에는 땀을 내고 이증(裏證) 때에는 설사시켜야 하는데 이것은 어길 수 없는 방법이다.

그러나 맥이 부대(浮大)한 것은 표증이므로 응당 땀을 내야 한다.

또한 열이 나고 번갈(煩渴)이 나며 오줌이 벌거면 응당 설사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표증과 이증이 다 있을 때에는 쌍해산을 주로 쓴다[하간].

 

假令 不大便六七日 頭痛身熱 是裡證

又小便淸 知不在裏 因在表 須當發汗 此兩證 俱見

宜桂枝湯方見上 太陽形證用藥(河間).

가령 대변을 보지 못한 지 6-7일이 되어 머리가 아프고 몸에 열이 있으면 이증(裏證)이고

오줌이 맑으면 병이 속에 있지 않고 겉에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땀을 내야 한다.

이 2가지 증상이 다 있으면 계지탕을 쓴다[하간].

 

假令 心下滿 口不欲食 大便硬 脈沈數 是裡證 當下

又頭汗出 微惡寒 手足冷却 當汗 此半在表半在裏也

小柴胡湯方見上 少陽形證用藥主之(河間).

가령 명치 밑이 그득하여 먹고 싶지 않고 대변이 굳으며 맥이 침삭(沈數)한 것은 이증인데

이때에는 반드시 설사시키는 약을 써야 한다.

머리에서 땀이 나고 오한이 약간 나며 손발이 차면 땀을 내야 한다.

이것은 반표반리증이기 때문에 소시호탕을 써야 한다[하간].

 

治表裏 內外俱熱之證 表者或浮 或頭痛或惡風 或惡寒裏者

或譫言妄語 或揚手擲足 欲汗則裡證已急

欲下則表證尙存 通宜大柴胡湯方見上 傷寒裏證(海藏).

표리(表裏)와 내외(內外)에 다 열이 있는 증상을 치료할 때에 맥이 부(浮)하거나

머리가 아프거나 바람이 싫거나 오한이 나는 것은 표증이고 헛소리를 하거나 손발을 내젓는 것은 이증이다.

이때에 땀을 내려면 이미 이증이 있고 설사시키려면 표증이 아직 있기 때문에 대시호탕을 쓰는 것이 좋다[해장].

 

傷寒 須分表裏 若表裏不分 汗下差誤 豈爲上工 且如均 是發熱 身熱 不渴爲表,

有熱 小柴胡 加桂枝主之. 厥而脈滑 爲裏有熱 白虎湯方見上 陽明形證用藥 加人蔘主之.

상한은 반드시 표증과 이증을 갈라야 한다. 그러지 않고 땀을 잘못 내거나 설사시켜서는 안 된다.

예를 들면 표(表)와 이(裏)에 다 열이 있어 몸이 달면서도 갈증이 없는 것은 겉에 열이 있기 때문인데

이때에는 소시호탕에 계지를 더 넣어 쓰고 손발이 싸늘해도 맥이 활(滑)한 것은

속에 열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백호탕에 인삼을 더 넣어 쓴다.

 

均是水氣 乾嘔微利 發熱而咳 爲表有水 小靑龍湯方見上 傷寒表證 主之.

身凉表證 罷咳而脇下痛 爲裏有水 十棗湯 方見上 少陽病脇痛 主之.

표(表)와 이(裏)에 다 수기(水氣)가 있어 헛구역을 하고 약간 설사하며 열이 나면서 기침하는 것은

겉에 수기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때에는 소청룡탕을 쓴다.

몸이 차고 표증은 없으며 기침이 나면서 옆구리가 켕기는 것은

속에 수기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때에는 십조탕을 쓴다.

 

均是 惡寒, 有熱 而惡寒者 發於陽也,

麻黃 桂枝 小柴胡主之.

無熱 而惡寒者 發於陰也,

附子湯 四逆湯 二方並見上 少陰形證用藥主之.

표증과 이증 때에는 다 오한이 나는데 열이 나면서 오한이 나는 것은

병이 양경(陽經)에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이때에는 마황탕, 계지탕, 소시호탕을 쓴다.

열이 없으면서 오한이 나는 것은 음경(陰經)에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이때에는 부자탕이나 사역탕을 쓴다.

 

均是 身體痛 脈浮發熱 頭痛 身體痛者 爲表,

未解 麻黃湯 方見上 太陽傷寒 主之,

脈沈 自利 身體痛者 爲裏 不和四逆湯主之(海藏)

표증과 이증 때에는 다 몸이 아프고 맥이 부(浮)하며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픈데 몸이 아픈 것은

아직 표증이 풀리지 못한 것이므로 마황탕을 써야 한다.

맥이 침(沈)하고 설사하면서 몸이 아픈 것은 속이 편안치 못한 것이기 때문에 이때에는 사역탕을 쓴다[해장].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陽厥][상한양궐]  (0) 2020.05.30
[傷寒陰厥][상한음궐]  (0) 2020.05.30
[傷寒裡證][상한이증]  (0) 2020.05.29
[傷寒表證][상한표증]  (0) 2020.05.29
[傷寒陰證][상한음증]  (0) 2020.05.29

[傷寒裡證][상한이증]

 

傷寒裏熱者 若火熏蒸 自內達表 惟下之 <一法>而已(入門)

상한으로 속에 열이 있어서 불에 찌는 것 같고 그 열이 속에서 겉으로 나올 때에는

오직 설사시키는 한 가지 방법 밖에 없다[입문].

 

發熱汗出 不惡寒反惡熱 乃陽明裡證也 宜下之.

열이 나고 땀이 나며 오한이 없고 도리어 열을 싫어하는 것은

양명이증(陽明裏證)이므로 반드시 설사시켜야 한다.

 

陽明爲病 胃家實也 胃實則燥熱 譫語 承氣湯下之(明理).

양명병 때에는 대변이 막히는데 대변이 막히면 조열(潮熱)이 나고 헛소리를 한다.

이런 때에는 승기탕으로 설사시켜야 한다[명리].

 

陽明病 燥熱 不大便六七日 恐有燥屎 欲知之法 少與小承氣湯.

轉屎氣者 有燥屎 可攻.

若不轉 屎氣者 無燥屎 愼不可攻也.

若攻之 必脹滿 不能食(仲景).

양명병 때 조열이 있고 6-7일 동안 대변을 보지 못하는 것은 대변이 말랐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 소승기탕을 조금 먹어보아 방귀가 나오면 마른 대변이 있는 것이므로 설사시켜야 한다.

그러나 방귀가 나오지 않으면 마른 대변이 없는 것이므로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만약 잘못 설사시키면 반드시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해지며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된다[중경].

 

發熱 汗出 不惡寒 反惡熱者 屬裏 卽陽明證也,

發汗後 不惡寒 但惡熱者 胃實也 宜調胃承氣湯(仲景).

열이 나고 땀이 나오며 오한은 없고 도리어 열을 싫어하는 것은

이증(裏證)에 속하는데 이것이 바로 양명병이다.

땀을 낸 다음 오한은 없어지고 열을 싫어하는 것은

위(胃)가 실한 것이므로 조위승기탕을 써야 한다[중경].

 

大柴胡 三承氣 攻熱邪傳裏(丹心).

대시호탕과 삼승기탕은 속에 열사(熱邪)가 있는 것을 치료한다[단심].

 

下藥 大承氣 最緊, 小承氣 次之, 調胃承氣 又次之, 大柴胡湯 又次之(東垣).

설사시키는 약으로서는 대승기탕이 제일이고 그 다음이 소승기탕,

그 다음이 조위승기탕, 그 다음이 대시호탕이다[동원].

 

如不惡寒 反惡熱 發渴 譫語 腹滿而喘 手足濈然汗出 急下之 宜大承氣湯.

如邪未深 恐有燥屎 小腹痛 宜用小承氣 微和胃氣 勿令大泄

如不惡寒 但實者 當和胃氣 調胃承氣湯主之(東垣).

만일 오한(惡寒)은 없고 오히려 열을 싫어하며 갈증이 나고 헛소리를 하며

배가 그득하면서 숨이 차며 손발에 축축하게 땀이 날 때에는

빨리 설사시켜야 하는데 대승기탕을 쓴다.

사기(邪氣)가 깊이 들어가지는 않았으나 마른 대변이 있는 것 같고 아랫배가 아플 때에는

소승기탕을 약간 써서 위(胃)를 조화시켜야지 세게 설사시켜서는 안 된다.

만일 오한은 없고 대변이 막혔을 때에는 반드시 위기(胃氣)를 조화시켜야 하는데 조위승기탕을 쓴다[동원].

 

已上三法 不可差 差則無者 生之 有者遺之.

假令 調胃承氣證 用大承氣 則愈 後元氣不復 以其氣 藥犯之,

若大承氣證 用調胃承氣 則愈後 神痴不淸 以其無氣藥也.

小承氣湯證 用大承氣 則下利不止 變而成虛 後人合三藥爲一方

號爲三一承氣 殊失<仲景>本意(綱目).

위의 3가지 방법을 조금도 틀리지 않게 써야 한다.

만약 틀리게 쓰면 없던 증상이 생기게 되고 있던 증상은 오래 끈다.

가령 조위승기탕을 써야 할 증에 대승기탕을 쓰면 낫는다고 해도

그 후에 원기(元氣)가 회복되지 못하는데

그것은 기(氣)를 상하게 하는 약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만약 대승기탕을 써야 할 증에 조위승기탕을 쓰면 낫는다고 해도 그 후에 정신이 깨끗하지 못하다.

그것은 기를 치료하는 약이 들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소승기탕을 써야 할 증에 대승기탕을 쓰면 설사가 멎지 않으면서 허증(虛證)으로 변한다.

후세 사람들이 이 3가지 약을 섞어서 하나의 처방을 만들어 놓고 그것을 삼일승기탕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중경의 본래의 뜻을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강목].

 

裡證 宜下通 用三一承氣湯 六一順氣湯 陶氏黃龍湯.

이증(裏證)에는 반드시 설사시키는 약을 써야 하는데 삼일승기탕, 육일순기탕, 도씨황룡탕을 두루 쓴다.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陰厥][상한음궐]  (0) 2020.05.30
[傷寒半表半裏證][상한반표반리증]  (0) 2020.05.30
[傷寒表證][상한표증]  (0) 2020.05.29
[傷寒陰證][상한음증]  (0) 2020.05.29
[傷寒陽證][상한양증]  (0) 2020.05.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