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傷寒陰證][상한음증]
凡傷寒 四肢厥冷 吐利不渴 靜踡 此陰證之常也
須察其脈 有力無力 如重按無力 或無脈 便是伏陰
急與五積散 加附子, 如脈有力 是陽證也 不可不辨(入門).
상한(傷寒) 때 팔다리가 싸늘하고[厥冷] 토하며 설사가 나면서 갈증은 없고
몸을 구부리고 가만히 누워 있는 것이 상한음증 때의 일반 증상이다.
이때에는 맥이 힘이 있는가 없는가를 갈라 내야 한다.
맥을 꾹 눌러 보았을 때 힘이 없거나 알리지 않는 것은 복음증(伏陰證)이다.
이때에는 빨리 오적산에 부자를 넣어서 써야 한다.
맥이 힘이 있는 것은 양증(陽證)이므로 잘 갈라 내야 한다[입문].
三陰經 血分自受寒 謂之陰證傷寒 微者 寒邪外襲 漸入經絡
宜麻黃附子細辛湯 方見上 少陰形證用藥 或辛黃三白湯
甚者 卒中陰經 初起 無頭痛身熱 便惡寒厥冷 或胸腹痛嘔吐下利
太陰 用附子理中湯 少陰 用附子湯方見上
少陰形證用藥, 厥陰 用當歸四逆湯方見上 傷寒陰證(入門).
3음경의 혈분(血分)에 한사(寒邪)가 침범한 것을 음증(陰證)이라고 한다.
상한이 경한 것은 겉에 침범한 한사가 점차 경락으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마황부자세신탕이나 신황삼백탕을 쓴다.
상한이 심한 것은 갑자기 한사가 직접 음경락(陰經絡)에 침범했기 때문인데
처음에는 머리가 아프지 않고 열도 나지 않는다.
그러나 곧 오한이 나고 손발이 싸늘해지며 혹 가슴과 배가 아프고 토하며 설사하는데
사기(邪氣)가 태음경(太陰經)에 침범한 것이면 부자이중탕을 쓰고
소음경(少陰經)에 침범한 것이면 부자탕을 쓰며
궐음경(厥陰經)에 침범한 것이면 당귀사역탕을 써야 한다[입문].
傷寒 有口沃白沫 惑唾多流冷涎 俱是寒證
宜吳茱萸湯 方見脹滿 濁氣在上則生䐜脹條 理中湯方見上 太陰形證用藥 切忌冷藥(醫鑑).
상한 때 입에 흰거품침[口沃白沫]이 생기거나 냉침[冷涎]을 많이 흘리는 것은 다 한증(寒證) 증상이다.
이런 데는 오수유탕이나 이중탕을 써야지 성질이 찬약은 절대로 쓰지 말아야 한다[의감].
傷寒陰證 宜陰旦湯 人參養胃湯 藿香正氣散 不換金正氣散.
상한음증 때에는 음단탕, 인삼양위탕, 곽향정기산, 불환금정기산, 정양산을 쓴다.
陰證似陽 面赤而脈微(入門).
음증인데 양증 때처럼 얼굴이 벌겋게 되고 맥이 미(微)한 것도 있다[입문].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裡證][상한이증] (0) | 2020.05.29 |
---|---|
[傷寒表證][상한표증] (0) | 2020.05.29 |
[傷寒陽證][상한양증] (0) | 2020.05.28 |
[厥陰病煩滿囊縮][궐음병번만낭축] (0) | 2020.05.28 |
[厥陰病手足厥冷][궐음병수족궐냉] (0) | 202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