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少陰病脈絶][소음병맥절]
少陰病 下利 脈絶 或無脈者 宜通脈四逆湯(仲景).
소음병 때에 설사가 나면서 맥이 끊어지거나 나타나지 않는 데는 통맥사역탕을 쓴다[중경].
少陰病 下利淸穀 手足厥逆 脈微欲絶
身反不惡寒 面赤色者 通脈四逆湯 加葱白主之(入門)
소음병 때에 삭지 않은 설사를 하고 손발이 싸늘하며 맥이 미(微)하면서 끊어지려 하고
오한이 나지 않으며 얼굴이 벌겋게 되는 데는 통맥사역탕에 파밑(총백)을 넣어서 주로 쓴다[입문].
傷寒吐下後 汗出而厥 四肢拘急 不解
脈微欲絶 通脈四逆湯 加猪膽汁下之(仲景)
상한병 때 토하고 설사한 다음에 땀이 나면서 손발이 싸늘하고 팔다리가 가드라들며
맥이 미(微)하면서 끊어지려고 하는 데는 통맥사역탕에 저담(猪膽)을 넣어서 쓴다[중경].
少陰病 下利 脈微 與白通湯 利不止 厥逆無脈 乾嘔煩者 白通 加猪膽汁湯主之.
服湯後 脈暴出者死 微續者 生(仲景).
소음병 때 설사가 나면서 맥이 미하면 백통탕을 쓰고 설사가 멎지 않고 손발이 싸늘하며
맥이 나타나지 않고 헛구역이 나며 답답한 데[煩悶]는 백통가저담즙탕을 써야 한다.
이 약을 먹은 다음 맥이 갑자기 나타나면 죽고 천천히 나타나면 산다[중경].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少陰四逆證有二][소음사역증유이] (0) | 2020.05.28 |
---|---|
[少陰病自利][소음병자리] (0) | 2020.05.28 |
[少陰病脈沈][소음병맥침] (0) | 2020.05.27 |
[少陰形證用藥][소음형증용약] (0) | 2020.05.27 |
[太陰病發黃][태음병발황] (0) | 2020.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