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傷寒傳經][상한전경]

 

內經(熱論篇 第三十一)曰 巨陽者 諸陽之屬也

其脈連於風府 故爲諸陽 主氣也.

人之傷於寒也 則爲病熱 熱雖甚 不死 其兩感於寒者 必不免於死.

帝曰 願聞其狀

岐伯曰 傷寒

一日 巨陽受之 故頭項痛 腰脊强

二日 陽明受之 陽明主肉 其脈挾鼻絡於目 故身熱目疼 而鼻乾 不得臥也.

三日 少陽受之 少陽主膽氣 脈循脇絡於耳 故胸脅痛而耳聾

三陽經絡 皆受其病而未入於藏 故可汗而已

四日 太陰受之 太陰脈布胃中絡於嗌故腹滿而嗌乾.

五日 少陰受之 少陰脈貫腎絡於肺繫舌本故口燥舌乾而渴.

六日 厥陰受之 厥陰脈循陰器而絡於肝故煩滿而囊縮

三陰三陽 五臟六腑 皆受病 榮衛不行 五藏不通 則死矣.

내경에는 태양경에 모든 양이 속한다.

그리고 이 경맥은 풍부(風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양기를 주관한다고 씌어 있다.

한사에 상한 것이 열병으로 전변되는데 이때에 열이 아무리 심하다고 하여도 죽지는 않는다.

그러나 한사에 양감(兩感)되면 반드시 죽는다. 황제가 그 증상에 대하여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상한 첫날에는 태양(太陽)이 병들기 때문에 머리와 목덜미가 아프고 허리가 뻣뻣해진다.

2일에는 양명(陽明)이 병드는데 양명은 살을 주관하고

그 경맥(經脈)은 코의 곁을 돌아서 눈에 연락되었기 때문에

몸에 열이 나면서 눈이 아프고 코가 마르며 눕지 못하게 된다.

3일에는 소양(少陽)에 병이 드는데 소양은 담()과 연관되어 있고 그 경맥은 옆구리를 따라

[]로 올라가서 귀에 연락되었기 때문에 가슴과 옆구리가 아프면서 귀가 먹게 된다.

병이 3양의 경락에 있으면 그것은 병이 5장에는 들어가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땀을 내면 낫는다.

4일에는 태음(太陰)에 병이 드는데 이 경맥은 위() 속에 퍼져 있고 목구멍과 연관되었기 때문에

배가 그득해지면서 목구멍이 마르게 된다.

5일에는 소음(少陰)이 병이 드는데 그 경맥은 신을 통하여 폐에 연락되고

혀뿌리와 얽혔기 때문에 입과 혀가 마르고 갈증이 나게 된다.

6일에는 궐음(厥陰)이 병이 드는데 그 경맥은 전음(前陰)을 돌아 올라가

()과 연결되었기 때문에 답답하고 그득해지면서 음낭이 졸아든다.

33양과 56부가 다 병들면 영위(榮衛)가 돌지 못하고 5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죽는다

 

其不兩感於寒者

七日巨陽病 衰頭痛少愈.

八日陽明病 衰身熱少愈.

九日少陽病 衰耳聾微聞.

十日太陰病 衰腹減如 故則思飮食.

十一日少陰病 衰渴止 不滿 舌乾已而嚔.

十二日厥陰病 衰囊縱 少腹微下 大氣皆去 病一已矣 (內經 熱論篇 第三十一).

한사(寒邪)에 양감되지 않으면

7일에는 태양병(太陽病)이 덜해져서 머리가 덜 아프고

8일에는 양명병(陽明病)이 덜해져서 열이 좀 내린다.

9일에는 소양병(少陽病)이 덜해져서 귀가 좀 들리고

10일에는 태음병(太陰病)이 덜해져 배가 그득하던 것이 없어지고 식욕이 나게 된다.

11일에는 소음병(少陰病)이 덜해져서 갈증이 멎고

그득하던 것이 없어지고 혀가 마르지 않으며 재채기가 난다.

12일에는 궐음병(厥陰病)이 덜해져서 음낭이 늘어지고

아랫배가 좀 꺼지면서 심한 증상이 다 없어지고 병이 날마다 낫는다.

 

煩滿者 小腹煩滿也

下云小腹微下者 謂此也

大氣皆去 則病人 精神爽慧也(活人).

답답하면서 그득하다는 것[煩滿]은 아랫배가 답답하면서 그득하다는 것이고

아랫배가 좀 꺼진다는 것은 답답하던 것이 없어진다는 것이다.

심한 병세가 없어지면 정신이 좀 상쾌해진다[활인].

 

若過十三日 不間尺寸陷者 大危 間謂瘳也(仲景) 

만일 13일이 지나도록 낫지 않고 척맥(尺脈)과 촌맥(寸脈)이 짚이지 않으면 대단히 위험하다[중경].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大法][상한대법]  (0) 2020.05.23
[傷寒或愈或死日期][상한혹유혹사일기]  (0) 2020.05.22
[傷寒變熱][상한변열]  (0) 2020.05.22
[脈法][맥법]  (0) 2020.05.22
[兩感傷寒爲死證][양감상한위사증]  (0) 2020.05.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