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時氣候][사시기후]
經(六節臟象論篇 第九) 曰 五日謂之候 三候謂之氣 六氣謂之時 四時謂之歲也.
常五日一候應之 故三候成一氣 卽十五日也

三氣 成一節 節謂入春 春分 入夏 夏至 入秋 秋分 入冬 冬至 此八節也.

三 八 二十四氣 而分主四時 一歲成矣.

春 秋 言分者 陰陽 寒暄之氣到此 可分之時也.

冬 夏 言至者 陰陽至 此極至之時也.

夏之日長 不過六十刻 陽至此而極 冬至日短 不過四十刻 陰至此而極.

故經曰 分則氣異 至則氣同 此之謂也.(入式).  
내경에 “5일을 1후(一候)라고 하고 3후를 1기(一氣)라고 하며

6기를 한 계절이라고 하고 4철을 한 해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5일은 1후가 되고 3후는 1기이다.

그러니 1기는 15일간이 된다.

3기가 1절(一節)이 된다.

절이란 입춘(立春), 춘분(春分), 입하(立夏), 하지(夏至), 입추(立秋),

추분(秋分), 입동(立冬), 동지(冬至)를 말하는데 이것을 8절이라고 한다.

8에 3을 곱하면 24기(氣)가 되는데 이것이 나누어져 4철을 주관한다.

그러면 1년이 된다.

봄에 춘분, 가을에 추분이라고 하는 것은

음양의 차고 더운 기운이 이때에 와서 나누어진다는 의미이다.

여름에 하지, 겨울에 동지라고 하는 것은

음양이 이때에 와서 극도에 이른다는 의미이다.

하지에 해가 길다고 하여도 60각(刻)을 넘지 못하는 것은

이때에 양(陽)이 극도에 달하기 때문이고

동지에 해가 짧다고 하여도 40각에서 더 줄어들지 못하는 것은

이때에 음(陰)이 극도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내경에 “분(分)에서부터 기운이 달라지고 지(至)에서 부터 기운이 같아진다”고 한 것이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交六氣時日][교육기시일]   (0) 2020.04.06
[論天地六氣][논천지육기]   (0) 2020.04.06
[十二支][십이지]   (0) 2020.04.06
[十干][십간]  (0) 2020.04.06
[氣候差異][기후차이]   (0) 2020.04.06

[十二支][십이지]
十二支者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也.
子者 一陽肇生之始 十一月之 辰也. 丑者 十二月之辰也.

寅者 正月之辰也.
卯者 日升之時 二月之辰也.

辰者 三月之辰也.

巳者 四月之辰也.
午者 一陰肇生之始 五月之辰也.

未者 六月之辰也.

申者 七月之辰也.
酉者 日入之時 八月之辰也 戌者 九月之辰也. 亥者十月之辰也.
甲之干 乃天之五行 一陰 一陽 言之 子之支 以地方隅言之

故子 寅 午 申 爲陽 卯 巳 酉 亥 爲陰.

土居四維 旺在四季之未.

土有四 辰戌 爲陽 丑未 爲陰 故其數不同也.
合而言之 十配十二 共成六十日 復六六而成歲

故經曰 天以六六之節 以成一歲 此之爲也(入式)
12지란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를 말한다.

자(子)는 1양(陽)이 처음 생기는 음력 11월의 월진(月辰)을 말한다.

축은 12월의 월진이며 인(寅)은 정월의 월진이다.

묘(卯)란 떠오르는 시간인데 2월의 월진이며 진(辰)은 3월의 월진이고

사(巳)는 4월의 월진이며 오(午)는 1음(陰)이 처음 생기는 때인데 5월의 월진이고

미(未)는 6월의 월진이며 신(申)은 7월의 월진이고

유(酉)란 해가 지는 시간인데 8월의 월진이며

술(戌)은 9월의 월진이며 해(亥)는 10월의 월진이다.

갑(甲) 등의 간(干)은 바로 하늘의 5행이기 때문에

1음1양으로 말할 수 있고 자(子) 등의 지(支)는 땅의 방위를 말한 것이다.

때문에 자, 인, 오, 신은 양(陽)이고 묘, 사, 유, 해는 음(陰)이다.

토(土)는 4유(四維)에 있기 때문에 매 철의 마지막 달에 왕성해진다.

토에는 4가지가 있는데 진, 술은 양이고 축, 미는 음이다.

그러므로 그 수(數)가 다르다.

합해서 말하면 다음과 같다.

10간에 12지를 합하면 총 60일이 되고 여기에 6배를 하면 1년이 된다.

내경에 “하늘에는 육육(六六)의 철이 있기 때문에 한 해를 이룬다”고 한 것이

이것을 말한 것이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天地六氣][논천지육기]   (0) 2020.04.06
[四時氣候][사시기후]   (0) 2020.04.06
[十干][십간]  (0) 2020.04.06
[氣候差異][기후차이]   (0) 2020.04.06
[六氣之化][육기지화]   (0) 2020.04.06

[十干][십간]
十干者 東方 甲乙, 南方 丙丁, 西方 庚辛, 北方 壬癸, 中央 戊己, 五行之位也.
盖甲乙 其位木行 春之令, 丙丁 其位火行 夏之令.

戊己 其位土行 周四季.

庚辛 其位金行 秋之令 壬癸 其位水行 冬之令.

(經 六節臟象論篇 第九)曰 “天有十日 日六竟 而周甲” 者 此也 乃天地之數也.

故甲, 丙, 戊, 庚, 壬 爲陽, 乙, 丁, 己, 辛, 癸 爲陰, 五行 各一陰一陽 故有十日也(入式).
10간이란 동쪽은 갑(甲)과 을(乙), 남쪽은 병(丙)과 정(丁), 서쪽은 경(庚)과 신(辛),

북쪽은 임(壬)과 계(癸), 중앙은 무(戊)와 기(己)이다. 이것이 5행(五行)의 위치이다.

대체로 갑과 을은 목(木)에 위치하고 있는데 봄철에 작용하고

병과 정은 화(火)에 위치하고 있는데 여름에 작용하며

무와 기는 토(土)에 위치하고 있는데 4철에 작용하고

경신은 금(金)에 위치하고 있는데 가을에 작용하며

임계(壬癸)는 수(水)에 위치하고 있는데 겨울에 작용한다.

내경에 “하늘에는 10일이 있는데

10일이 여섯번 돌아오면 제자리의 갑(甲)이 된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 

즉 천지(天地)의 수(數)이다.

그래서 갑, 병, 무, 경, 임은 양(陽)이고 을, 정, 기, 신, 계는 음(陰)이다.

5행이 각각 한번씩 음양을 가지기 때문에 10일이 된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時氣候][사시기후]   (0) 2020.04.06
[十二支][십이지]   (0) 2020.04.06
[氣候差異][기후차이]   (0) 2020.04.06
[六氣之化][육기지화]   (0) 2020.04.06
[五行生剋順逆][오행생극순역]   (0) 2020.04.05

[氣候差異][기후차이]
夫四時寒暄之序 加以六氣司化之令 則歲歲各異.
凡春溫 夏暑 秋凉 冬寒 皆天地之正氣.

其客 行於主位 則自有?順 淫勝之異.

由是氣候不一 豈可一定而論之.

陰陽四時之氣候 則始於仲月 而盛於季月.

故經曰 差三十度 而有奇.
言 氣令盛衰之用 其在四維 故陽之動 始於溫而盛於暑 陰之動 始於淸而盛於寒.
春 夏 秋 冬 各有差其分者 此之謂也.
四維者 辰 戌 丑 未 四季月也.

盖春氣始於二月 盛溫於三月.

夏氣始於五月 盛暑於六月.

秋氣始於八月 盛凉於九月.

冬氣始於十一月 盛寒於十二月 以此見之 則氣差明矣.
然 五月夏至 陰氣生而反大熱 十一月冬至 陽氣生而反大寒者 盖氣自下生 則推而上之也

故陰生 則陽上而愈熱 陽生 則陰上而愈寒.

以今驗之 夏井淸凉 冬井溫和 則可知矣(入式).  
대체로 4철의 차지고[寒] 더워지는 순서에 따라

6기(六氣)가 작용하는 때가 되면 해마다 기후가 달라진다.

봄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덥고 가을에는 서늘하며 겨울에는 추운 것은

자연의 정상적인 기후이다.

이때에 돌아가는 기운이 정상적인 기후에 작용하면

역(逆), 순(順), 음(淫), 승(勝)의 차이가 생겼다.

그러나 기후가 고르지 못한데 어찌 일정하다고만 말할 수 있겠는가.

음양의 4철 기후는 그 절기의 가운데 달에서 시작하여 마지막 달에 왕성해진다.

그래서 내경에는 “30도 이상 차이가 있다”고 씌어 있다.

이것은 또한 기후가 더워지는 것과 차지는 것이 4유(四維)에 있기 때문이다.

양(陽)은 따뜻한 때에 동(動)하기 시작하여 더운 때에 왕성해지고

음(陰)은 서늘한 때에 동하기 시작하여 추운 때에 왕성해진다.

그러니 봄, 여름, 가을, 겨울에 각기 차이가 있다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4유(四維)라는 것은 음력 3월, 6월, 9월, 12월을 말하는데 4철의 마지막 달들이다.

대체로 봄에는 음력 2월부터 따뜻해지기 시작하여 3월이 되어야 아주 따뜻해진다.

여름에는 음력 5월부터 더워지기 시작하여 6월이 되어야 몹시 더워진다.

가을에는 음력 8월부터 서늘해지기 시작하여 9월이 되어야 아주 서늘해진다.

겨울에는 음력 11월부터 추워지기 시작하여 12월이 되어야 몹시 추워진다.

이것으로 기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정확히 알 수 있다.

그리고 음력 5월의 하짓날에는 음기(陰氣)가 생기기 시작해야 하는데

도리어 몹시 더워지고 11월의 동짓날에는 양기(陽氣)가 생기기 시작해야 하는데

도리어 몹시 추워지는 것은 대체로 아래에서 기운이 생기면 다른 기운이 올려 밀리기 때문이다.

음이 생기면 양이 밀려서 올라가기 때문에 더 더워지고

양이 생기면 음이 밀려서 올라가기 때문에 더 추워진다.

이것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은 여름에는 우물 안이 서늘하고

겨울에는 우물 안이 따뜻한 것으로 알 수 있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二支][십이지]   (0) 2020.04.06
[十干][십간]  (0) 2020.04.06
[六氣之化][육기지화]   (0) 2020.04.06
[五行生剋順逆][오행생극순역]   (0) 2020.04.05
[南北病治法][남북병치법]   (0) 2020.04.05

[六氣之化][육기지화]
六氣化者 爲寒, 暑, 燥, 濕, 風, 火也.

然 行有五 而氣有六者 以分君火 相火之化也.
木之化 曰風 主於春.

君火之化 曰熱 主春末夏初.

相火之化 曰暑 主於夏.

金之化 曰燥 主於秋.

水之化 曰寒 主於冬.

土之化 曰濕 主於長夏.

長夏 爲六月也(入式).
6기의 작용이라는 것은 한(寒), 서(暑), 조(燥), 습(濕), 풍(風), 화(火)의 작용이다.

행(行)은 5가지이지만 기(氣)는 6가지인데

이것은 화를 군화(君火)와 상화(相火)의 작용으로 나누어 놓았기 때문이다.

목(木)의 작용은 풍(風)인데 봄을 주관한다.

군화의 작용은 열(熱)인데 늦은 봄에서 초여름까지를 주관한다.

상화의 작용은 서(暑)이므로 여름을 주관하고

금의 작용은 조(燥)이므로 가을을 주관하며

수의 작용은 한(寒)이므로 겨울을 주관하고

토의 작용은 습(濕)이므로 늦은 여름(늦은 여름은 음력 6월을 말한다)를 주관한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干][십간]  (0) 2020.04.06
[氣候差異][기후차이]   (0) 2020.04.06
[五行生剋順逆][오행생극순역]   (0) 2020.04.05
[南北病治法][남북병치법]   (0) 2020.04.05
[地理有壽夭之異][지리유수요지이]   (0) 2020.04.05

[五行生剋順逆][오행생극순역]
五行者 金 木 水 火 土也.

相生者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生水也.
相剋者 水剋火 火剋金 金剋木 木剋土 土剋水也.
木主於東 應春.

火主於南 應夏.

金主於西 應秋.

水主於北 應冬.

土主於中央 應於長夏.
在天則爲氣 寒 暑 燥 濕 風也.

在地 則成形 金 木 水 火 土也.

互能相生 乃其始也 互能相剋 乃其終也 皆出乎天之性也.
其相剋者 子 皆能爲毋 復讐也.

木剋土 土之子金 反剋木 木之子火 反剋金 金之子水

反剋火 火之子土 反剋水 水之子木 反剋土也.
强可攻弱 土得木而達,

實可勝虛 水得土而絶, 陰可消陽 火得水而滅,

烈可敵强 金得火而缺, 堅可制柔 木得金而伐也(入式).
5행(五行)이란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이다.

상생(相生)한다는 것은 수는 목을 생(生)하고 목은 화를 생하며

화는 토를 생하고 토는 금을 생하며 금은 수를 생한다는 것이다.

상극(相剋)한다는 것은 수는 화를 극(剋)하고 화는 금을 극하며

금은 목을 극하고 목은 토를 극하며 토는 수를 극한다는 것이다.

목은 동쪽과 봄에 속하고 화는 남쪽과 여름에 속하며 금은 서쪽과 가을에 속하고

수는 북쪽과 겨울에 속하며 토는 중앙과 늦은 여름에 속한다.

이것들이 하늘에서는 기(氣)가 되는데 찬 것과 더운 것, 마른 것과 젖은 것,

바람이 바로 그것들이다.

그리고 땅에서는 형체가 되는데 금, 목, 수, 화, 토가 바로 그것들이다.

상생하는 것이 그 시초가 되고 상극하는 것은 끝이 되는데

이것은 다 자연의 성질에서 나온 것이다.

상극(相剋)이란 아들격인 것이 어머니격인 것을 위하여 복수(復 )하는 것이다.

예하면 목이 토를 극(剋)할 때 토의 아들격인 금이 도리어 목을 극하며

목의 아들격인 화는 다시 금을 극하고 금의 아들격인 수는 다시 화를 극하며

화의 아들격인 토는 다시 수를 극하고 수의 아들격인 목은 다시 토를 극한다.

강한 것이 약한 것을 공격할 수 있으므로 토는 목을 만나면 통[達]하게 된다.

실한 것이 허한 것을 이기기 때문에 수는 토를 만나면 끊어진[絶] 다음에

양을 없어지게 하므로 화는 수를 만나면 없어진다.

맹렬한 것은 강한 것을 이기기 때문에 금이 화를 만나면 녹고

굳은 것은 부드러운 것을 자르기 때문에 목이 금을 만나면 베어진다[伐][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候差異][기후차이]   (0) 2020.04.06
[六氣之化][육기지화]   (0) 2020.04.06
[南北病治法][남북병치법]   (0) 2020.04.05
[地理有壽夭之異][지리유수요지이]   (0) 2020.04.05
[四方異宜][사방이의]  (0) 2020.04.05

[南北病治法][남북병치법] 
東南山谷 地氣濕熱 病多自汗.

西北高燥 地氣寒凉 病多無汗.

中原土鬱 病多膨脹. 飮食 居處 各各不同(入門).
동남 지방은 산악지대이므로 땅이 습(濕)하고 기후가 무덥기 때문에 병들면 땀이 저절로

많이 나온다. 서북 지방은 지대가 높고 메말랐으며 땅이 차고 기후가 서늘하다.

그러므로 병들어도 대부분 땀이 없다.

중부의 평야지대에는 습기가 몰려서 생기는 창만병[膨脹]이 많다.

그러므로 지대에 따라 먹는 음식과 거처하는 것이 각기 다르다[입문].
北方土厚水深.

水性沈下 人體多實而少虛. 若有所治 則宜多用淸凉之劑.

南方屬火 火性輕炎 人體多虛而少實 須投以溫和之藥 以調之(得效).
북쪽은 땅이 걸고[厚] 물이 깊은데 물은 내려가는 성질이 있으므로

이 지대의 사람들은 대부분 몸이 실하고 허한 사람은 적다.

그러므로 치료할 때에는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淸凉之劑]을 쓰는 것이 좋다.

남쪽은 화(火)에 속하는데 화의 성질은 가볍고 덥다.

때문에 이 지대의 사람들은 대부분 몸이 허하고 실한 사람은 적다.

그러므로 치료할 때에 성질이 온화(溫和)한 약을 써야 한다[득효].


[地理有壽夭之異][지리유수요지이]
黃帝曰 其於壽夭 何如?
岐伯曰 陰精所奉 其人壽. 陽精所降 其人夭.
註曰 陰精所奉 高之地也 陽精所降 下之地也. 陰方之地

陽不妄泄 寒氣外持 邪不數中 而正氣堅守 故壽延.

陽方之地 陽氣耗散 發泄無度 風濕數中 眞氣傾竭 故夭折.

卽事驗之 今中原之境西北方衆人壽 東南方衆人夭 此壽夭之大異也.
황제가 “오래 사는 사람과 일찍 죽는 사람은 왜 생기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음정(陰精)이 충실하면 오래 살 수 있고 양정(陽精)이 약하면 일찍 죽는다.”

고 대답하였다.

주해에 “음정(陰精)이 충실한 것은 높은 지대 사람이고

양정(陽精)이 약한 것은 낮은 지대의 사람이다”고 씌어 있다.

음이 많은 지방에서는 양이 허투루 새어나가지 않고 찬 기운은 밖에만 있게 되므로

사기(邪氣)가 들어오지 못하고 정기(正氣)가 든든하게 지키기 때문에 오래 살 수 있다.

양이 많은 지방에서는 양기가 소모되고 배설하는 것이 한도가 없어서

풍습(風濕)을 자주 받기 때문에 진기(眞氣)가 줄어든다.

때문에 일찍 죽는데 이것은 실제 경험할 수 있다.

요즘은 서북지방의 사람들이 오래 살고 동남지방의 사람들이 일찍 죽는다.

이렇게 오래 사는 것과 일찍 죽는 차이가 크다.
帝曰 一州之氣 生化 壽夭不同 其故何也.

岐伯曰 高下之理 地勢使然也.

崇高則陰氣治之 汚下則陽氣治之.

陽勝者 先天 陰勝者 後天.

帝曰 其有壽夭乎.

岐伯曰 高者 其氣壽 下者 其氣夭 地之 小大異也

小者 小異 大者 大異(內經 五常政大論篇 第七十).
황제가 “한 지방에서 살면서도 오래 살고 일찍 죽는 것이 같지 않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그것은 지대가 높은 데서 사는가 낮은 데서 사는가에 관계된다.

지대가 높은 데는 음기(陰氣)가 많고 낮은 데는 양기(陽氣)가 많다.

양이 성하다는 것은 선천(先天)의 기운을 말하는 것이고

음이 성하다는 것은 후천(後天)의 기운을 말하는 것이다”고 대답하였다.

황제가 그래서 “오래 사는 것과 일찍 죽는 것이 있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높은 곳에서는 오래 살 수 있고 낮은 곳에서는 일찍 죽는다.

그러므로 높은가 낮은가에 따라 장수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낮고 적은 데서 장수의 차이가 적고

높고 낮은 차이가 큰 데서는 장수의 차이가 크다”고 대답하였다[내경].


[四方異宜][사방이의]
內經(異法方宜論篇 第十二)曰 東方之域 天地之所始生 魚鹽之地 海濱傍水.

其民食魚而嗜鹹 安其處 美其食.

西方者 金玉之域 沙石之處 天地之所收引.

其民陵居而多風 水土剛强. 其民不衣而褐薦.

其民華食而脂肥.

北方者 天地所閉藏之域.

其地高陵居 風寒氷冽.

其民樂野處而乳食.
南方者 天地所長養 陽之所盛處.

其地下 水土弱 霧露之所聚.

其民嗜酸而食鮒.
中央者 其地平以濕 天地所以生萬物也.

象其民食雜而不勞 故聖人雜合以治 各得其宜也.
내경에 “동쪽 지방은 하늘과 땅의 기가 시작되는 곳이며 생선과 소금이 나는 곳이다.

그리고 바다와 물이 가깝기 때문에 사람들이 물고기와 짠 것을 좋아하고 잘 먹으며 잘 산다.

서쪽 지방은 금과 옥, 모래와 돌이 많은 곳이며 메마른 곳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언덕에서 사는데 바람이 심하고

수토(水土)가 세어서 얇은 옷은 입지 않고 털옷을 입으며 기름진 음식을 잘 먹는다.

북쪽 지방은 기후가 추운 곳인데 지대가 높고 찬바람이 불며 얼음이 얼기 때문에 몹시 춥다.

사람들은 평지에서 살기를 좋아하고 젖을 많이 먹는다.

남쪽 지방은 기후가 더운 곳이므로 양기(陽氣)가 왕성하다.

그리고 지대가 낮고 수토(水土)가 약하기 때문에 안개와 이슬이 심하다.

사람들은 신 것[酸]과 삭힌 음식을 먹기 좋아한다.

중앙지대는 땅이 평탄하고 습기가 많기 때문에 만물이 잘 자란다.

그러므로 이 지대의 사람들은 여러 가지를 먹으면서도 일은 힘들게 하지 않는다.

지식있는 사람들은 이런 데 맞게 치료해야 한다.”    


[天地不足之方][천지부족지방]
黃帝曰 天不足西北 左寒而右凉.

地不滿東南 右熱而左溫.

其故何也?

岐伯曰 陰陽之氣 高下之理 大小之異也.

東南方 陽也.

陽者 其精降於下 故右熱而左溫.

西北方 陰也.

陰者 其精奉於上 故左寒而右凉 是以地有高下 氣有溫凉.

高者 氣寒 下者 氣熱 故適寒凉者 脹之, 溫熱者 瘡 下之則脹已

汗之則瘡已 此腠理開閉之常 大小之異耳(內經 五常政大論篇 第七十).  
황제가 “하늘은 서북쪽이 부족하므로 왼쪽이 차고[寒] 오른쪽이 서늘하며[凉]

땅은 동남쪽이 차 있지[滿] 않으므로 오른쪽이 뜨겁고 왼쪽이 따뜻한데 그 이치는 무엇인가”

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그것은 음양의 기운이 높고 낮은 것과 크고 작은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동남쪽은 양(陽)인데 양의 정기는 아래로 내려가므로 오른쪽이 뜨겁고 왼쪽이 따뜻하다.

서북쪽은 음(陰)인데 음의 정기는 위[上]로 올라가므로 왼쪽이 차고 오른쪽이 서늘하다.

땅은 높은 데와 낮은 데가 있고 기후는 따뜻한 때와 서늘한 때가 있다.

높은 데는 기후가 차고 낮은 데는 기후가 덥다.

차거나 서늘한 데서는 창만증이 잘 생기고 따뜻하거나 더운 데서는 헌데가 잘 생긴다.

창만은 설사시키면 나을 수 있고 헌데는 땀을 내면 나을 수 있다.

그것은 주리( 理)가 열리고 닫히는 것이 제대로 되지 못하는 것과

음양의 기운이 세고 약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고 하였다[내경].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