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南北政][논남북정]
六氣以君火爲尊 五運以濕土爲尊 故甲己土運爲南政.

盖土以成數 貫金木水火位居中央.

君尊南面而行令 餘四運以臣事之 面北而受令 所以有別 也而人脈亦應之.

甲己之歲土運 面南 論脈 則寸在南 而尺在北 少陰司天兩寸不應 少陰在泉兩尺不應.
乙 丙 丁 戊 庚 辛 壬 癸之歲 四運面北

論脈 則寸在北 而尺在南 少陰 司天兩尺不應

少陰 在泉兩寸不應 乃以南爲上 北爲下.

正如男子面南受氣 尺脈常弱 女子面北 尺脈常盛之理同 以其陰氣沈下 故不應耳.
六氣之位則少陰在中 而厥陰居右 太陰居左 此不可易也.

其少陰則主兩尺寸 厥陰 司天 在泉當在右

故右不應 太陰 司天 在泉 當在左

故左不應 依南正而論尺寸也.

若覆其手診之 則陰沈於下 反沈爲浮 細爲大 以此別之(入式).
6기(六氣)에서는 군화(君火)가 높고 5운(五運)에서는 습토(濕土)가 높다.

그러므로 갑기토운(甲己土運)이 남정(南政)이 된다.

그것은 토가 금, 목, 수, 화와 연결되었고 중앙에 위치하였으므로

군왕이 남쪽으로 향하고 앉아서 명령을 내리는 것과 같고 나머지 4운(四運)은

신하가 북쪽을 향하고 앉아 명령을 받아서 행사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런 구별이 있다. 사람의 맥(脈)도 이와 같다.

갑기(甲己)년에는 토운(土運)이 남쪽으로 향한다.

사람의 맥도 이와 같다.

그러므로 촌맥(寸脈)은 남쪽에 있고 척맥(尺脈)은 북쪽에 있다.

소음이 사천(司天)하면 좌우 촌맥이 응하지 않고 소음이 재천(在泉)하면

좌우 척맥이 응하지 않고 을, 병, 정, 무, 경, 신, 임, 계 년의 4운은 북쪽으로 향한다.

그러므로 사람에게서도 촌맥은 북쪽에 있고 척맥은 남쪽에 있다.

소음이 사천하면 좌우 척맥이 응하지 않고 소음이 재천하면 좌우 촌맥이 응하지 않는다.

그러니 남쪽이 위[上]가 되고 북쪽이 아래가 된다.

이것이 바로 남자는 남쪽으로 향하고 기를 받기 때문에 척맥이 항상 약하고

여자는 북쪽으로 향하고 기를 받기 때문에 척맥이 항상 성하는 이치와 같다.

이것은 음기(陰氣)가 가라앉는 까닭에 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6기의 위치는 소음(少陰)이 가운데, 궐음(厥陰)이 오른쪽에,

태음(太陰)이 왼쪽에 있는 것이 원칙이다.

소음은 양쪽의 촌과 척을 주관하기 때문에 궐음이 사천하면

재천이 반드시 오른쪽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오른쪽이 응하지 않는다.

태음(太陰)이 사천하면 재천이 반드시 왼쪽에 있게 되므로 왼쪽이 응하지 않는다.

이것은 남정(南政)에 대한 척(尺)과 촌(寸)을 말한 것이다.

만약 손을 엎어 놓고 진찰한다면 음이 아래로 가라앉게 되므로

도리어 침(沈)한 것을 부(浮)하다고 하고

세(細)한 것을 대(大)하다고 하게 되는데 이것으로 갈라본다[입식].
南政甲己 所臨之歲司天 在泉 但見君火在上者 上不應 在下者 下不應.

北正但見君火 在上 則下不應 在下 則上不應

在左 則右不應 在右 則左不應 當沈而浮 當浮而沈也.
남정(南政)은 갑(甲)과 기(己)가 붙는 해이다. 사천(司天), 재천(在泉)이 오직 군화만이

위에 있으면 위가 응하지 않고 아래에 있으면 아래가 응하지 않는다.

북정(北政)에 군화가 위에 있으면 아래가 응하지 않고 아래에 있으면 위가 응하지 않고

왼쪽에 있으면 오른쪽이 응하지 않고 오른쪽에 있으면 왼쪽이 응하지 않으면서

침(沈)해야 할 것이 도리어 부(浮)하고 부해야 할 것이 도리어 침하다.
南政以前爲左 以後爲右 君也 北政以前爲右 以後爲左 臣也(東垣).
남정(南政)은 앞이 왼쪽이 되고 뒤가 오른쪽이 되므로 군(君)이다.

북정(北政)은 앞이 오른쪽이 되고 뒤가 왼쪽이 되므로 신(臣)이다[동원].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運之歲太過不及][오운지세태과불급]   (0) 2020.04.10
[六氣承制][육기승제]  (0) 2020.04.08
[歲中五運][세중오운]   (0) 2020.04.08
[五運紀運][오운기운]  (0) 2020.04.08
[五音大小][오음대소]   (0) 2020.04.08

[歲中五運][세중오운]
地之六位 則分主於四時 天地五運 亦相生而終歲度 每運 各主七十三日零五刻 總五運之數

則三百六十五日二十五刻 共成一歲 大運爲主 將歲之主運 上下因之 而名大小五音也.
若當年 是木合 自大角而下生之 故曰初正.

大角 木生少徵 火 少徵 火生大宮 土 大宮 土生少商 金 少商 金生大羽 水 則爲終.
若當年 少宮爲大運 則上下因之 少商土上 乃見火 故曰大徵 大徵火上 乃見木

故曰少商 則主運者小角起 故初而至少羽 水爲終矣.
木爲初之運 大寒日交 火爲二之運 春分後十三日交 土爲三之運 小滿後二十五日交 金爲四之運 

 大暑後三十七日交 水爲五之運 秋分後四十九日交 此乃一歲之主運 有大小之異也(入式).
땅의 6위(六位)는 나누어져 4철을 주관하고

하늘의 5운(五運)이 또한 서로 생하여 한 해를 끝마친다.

운이 각각 73일 영(零) 5각(五刻)을 주관하므로

5운의 수(數)를 합치면 365일 25각이 되는데 이것이 한 해를 이룬다.

대운(大運)이 주가 되어 그 해의 주운(主運)을 맡아 관리하는데

이에 따라 위아래에 대소오음(大小五音)의 이름을 붙인다.

만일 당년의 세운이 목(木)이라면 반드시 대각(大角)에서부터 아래로 내려 생한다.

이런 원인으로 초정(初正)에 대각목(大角木)이 소치화(少徵火)를 생하고

소치화는 대궁토(大宮土)를 생하며 대궁토는 소상금(少商金)을 생하고

소상금은 대우수(大羽水)를 생한다.

만일 당년에 소궁(少宮)이 대운(大運)이 된다면 위아래가 서로 연결되어

소궁토(少宮土)의 위에 화(火)가 배치된다.

이것을 대치(大徵)라고 하고 이때에 대치화(大徵火)의 위에 목(木)이 배치되는데

그것을 소각(少角)이라고 한다.

주운(主運)이 처음에는 소각에서 생겨서 소우수(少羽水)에 가서 끝난다.

목은 첫번째 운으로써 대한(大寒)날에 교차되고

화는 두번째 운으로써 춘분(春分) 후 13일 만에 교차되며

토는 세번째 운으로써 소만(小滿) 후 25일 만에 교차되고

금이 네번째 운으로써 대서(大暑) 후 37일 만에 교차되며

수는 다섯번째 운으로써 추분(秋分) 후 49일 만에 교차되는데

이것은 한 해의 주운(主運)이 대소가 다르기 때문이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氣承制][육기승제]  (0) 2020.04.08
[論南北政][논남북정]  (0) 2020.04.08
[五運紀運][오운기운]  (0) 2020.04.08
[五音大小][오음대소]   (0) 2020.04.08
[陰陽相錯][음양상착]   (0) 2020.04.06

[五運紀運][오운기운]
十干之中 五陰五陽也.

立爲五運太過不及 互相乘之 所謂甲己合 乙庚合 丁壬合 是也.

陽年曰太過 陰年曰不及 平氣之歲不可預紀之 須以當年之辰 日 時 干 依法推之334(詳見本文).
木運 大角歲曰 發生(太過) 少角歲曰 委和(不及) 正角歲曰 敷和(平氣).
火運 大徵歲曰 赫曦(太過) 少徵歲曰 伏明(不及) 正治歲曰 升明(平氣).
土運 大宮歲曰 敦阜(太過) 少宮歲曰 卑盬(不及) 正宮歲曰 備化(平氣).
金運 大商歲曰 堅成(太過) 少商歲曰 從革(不及) 正商歲曰 審平(平氣).
水運 大羽歲曰 流衍(太過) 少羽歲曰 涸流(不及) 正羽歲曰 順靜(平氣).
各以紀之也.

氣之平則同正化 無過與不及也.(入式).
10간(十干)에는 5개의 음(陰)과 5개의 양(陽)이 있다.

이것이 5운(五運)의 태과(太過)와 불급(不及)이 되어 서로 번갈아 차지한다.

갑(甲)과 기(己)가 합하고 을(乙)과 경(庚)이 합하고 병(丙)과 신(辛)이 합하고

정(丁)과 임(壬)이 합하고 무(戊)와 계(癸)가 합하는 것이 이것이다.

양년(陽年)은 태과하고 음년(陰年)은 불급하고 평기(平氣)의 해[歲]는 미리 규정할 수 없다.

다만 당년의 태세[時干], 일진(日辰) 시간을 가지고 법대로 미루어 계산한다.

(자세한 것은 본문(本文)에 있다).

목운(木運)의 대각(大角)년을 발생(發生, 태과(太過))이라고 하고

소각(少角)년을 위화(委和, 불급(不及))라고 하며

정각(正角)년을 부화(敷和, 평기(平氣))라고 한다.

화운(火運)의 대치(大徵)년을 혁희(赫曦, 太過)라고 하고

소치(少徵)년을 복명(伏明, 不及)이라고 하며

정치(正徵)년을 승명(升明, 平氣)이라고 한다.

토운(土運)의 대궁(大宮)년을 돈부(敦阜, 太過)라고 하고

소궁(少宮)년을 비감(卑監, 不及)이라고 하며

정궁(正宮)년을 비화(備化, 平氣)라고 한다.

금운(金運)의 대상(大商)년을 견성(堅成, 태과(太過))이라고 하고

소상(少商)년을 종혁(從革, 불급(不及))이라고 하며

정상(正商)년을 심평(審平, 평기(平氣))이라고 한다.

수운(水運)의 대우(大羽)년을 유연(流衍, 대과(太過))이라고 하고

소우(少羽)년을 확류( 流, 불급(不及))라고 하며

정우(正羽)년을 순정(順靜, 평기(平氣))이라고 한다.

이것으로 각기 규정한다.

기가 평하면 정화(正化)와 같아지기 때문에 태과와 불급이 없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南北政][논남북정]  (0) 2020.04.08
[歲中五運][세중오운]   (0) 2020.04.08
[五音大小][오음대소]   (0) 2020.04.08
[陰陽相錯][음양상착]   (0) 2020.04.06
[論標本][논표본]   (0) 2020.04.06

[五音大小][오음대소]
五行之運 甲己土 乙庚金 丙辛水 丁壬木 戊癸火也.

甲丙戊庚壬 爲陽, 乙丁己辛癸 爲陰.
遇陽年 則氣旺而太過 遇陰年 則氣衰而不及 大角 謂六壬年也

大徵 謂六戊年也 大宮 謂六甲年也

大商 謂六庚年也 大羽 謂六丙年也.

五運 各主六年 乃五六 三十 陽年也.

小角 爲六丁年也 小徵 爲六癸年也

小宮 爲六己年也 小商 爲六乙年也.

五運 客主六年 乃五六 三十 陰年也.

君火 相火 寒水 常爲陽年司天 濕土 燥金 風木 常爲陰年司天

其五大 五少 歲所紀不同者 盖遇不遇也(入式).  
5행(五行)의 운(運)이

갑년(甲年), 기년(己年)에는 토(土),

을년(乙年), 경년(庚年)에는 금(金),

병년(丙年), 신년(辛年)에는 수(水),

정년(丁年), 임년(壬年)에는 목(木),

무년(戊年), 계년(癸年)에는 화(火)이다.

갑, 병, 무, 경, 임은 양년(陽年)이고 을, 정, 기, 신, 계는 음년(陰年)이다.

양년에는 기가 왕성해져 태과(太過)하고 음년에는 기가 쇠약해져 불급(不及)한다.

대각(大角)은 6임년(六壬年)이고 대치(大徵)는 6무년(六戊年)이며

대궁(大宮)은 6갑년(六甲年)이고 대상(大商)은 6경년(六庚年)이며

대우(大羽)는 6병년(六丙年)이다.

5운(五運)이 각기 6년씩 주관하므로 5를 6 곱하면 30양년(陽年)이 된다.

소각(少角)은 6정년(六丁年)이고 소치(少徵)는 6계년(六癸年)이며

소궁(少宮)은 6기년(六己年)이고 소상(少商)은 6을년(六乙年)이며

소우(少羽)는 6신년(六辛年)이다.

5운(五運)이 각기 6년씩 주관하므로 5를 6 곱하면 30음년(陰年)이 된다.

군화(君火), 상화(相火), 한수(寒水)는 언제나 양년(陽年)의 사천(司天)이 되고

습토(濕土), 조금(燥金), 풍목(風木)은 언제나 음년(陰年)의 사천이 된다.

5대(五大), 5소(五少)의 세기가 다른 것은 만나는 해의 음년, 양년이 다르기 때문이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歲中五運][세중오운]   (0) 2020.04.08
[五運紀運][오운기운]  (0) 2020.04.08
[陰陽相錯][음양상착]   (0) 2020.04.06
[論標本][논표본]   (0) 2020.04.06
[客氣][객기]   (0) 2020.04.06

[陰陽相錯][음양상착]
經(天元紀大論篇 第六十六)曰 天有陰陽 地亦有陰陽者 上下相臨也.

天氣動而不息 故五歲而右遷. 地氣靜而守位 故六朞而還會.
天氣不加於君火 則五歲餘一氣 右遷相火之上 以君火不立歲故也.
地之氣五歲一周 天之紀六朞一備.

五歲一周 則五行之氣遍 六朞一備 則六氣之位 周與干加支之緖小同

取陰陽相錯 上下相應 畢其紀之之意也.

以五六相合 故三十年 一紀之則六十年也(入式). 
내경에 “하늘에 음양(陰陽)이 있고 땅에

또한 음양이 있다는 것은 하늘과 땅이 서로 배합된다는 것이다.

하늘의 기운이 쉬지 않고 움직여 5년이 지나면

오른쪽으로 옮겨 가고 땅기운은 움직이지 않고 위치를 지키는데 6년이 되면 다시 모인다.

하늘의 기운이 군화(君火)에는 붙지 않으면 5년 만에 1가지 기운만 남게 되는데

이것은 오른쪽으로부터 상화의 위[上]로 옮겨 간다.

그것은 군화가 해[歲]를 주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땅기운은 5년에 한번 돌고 하늘의 기운은 6년에 한번 정비된다.

5년에 한번 돌면 5행(五行)의 기운이 다 돌고 6년에 한번 정비되면

6기(六氣)의 위치가 다 끝난다.

그러므로 천간(天干)을 지지(地支)와 배합시키는 데 작은 차이로 맞아 떨어진다.

이것은 음양이 뒤섞이고 위 아래가 서로 올라타는 것을 가지고

도수[紀]를 맞춘다는 의미이다. 5를 6 곱하면 30년이 된다.

그러니 1기(紀)는 60년이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運紀運][오운기운]  (0) 2020.04.08
[五音大小][오음대소]   (0) 2020.04.08
[論標本][논표본]   (0) 2020.04.06
[客氣][객기]   (0) 2020.04.06
[主氣][주기]   (0) 2020.04.06

[論標本][논표본]
三陰 三陽 天地六氣 標也, 水 火 木 金 土 地之五行 本也.

盖太陰濕土 少陽相火 爲標本同.

至於少陰 君火 太陽 寒水 則陰陽 寒熱互相不同 非人意之所能各耶.
古今之論 陽則順行 又以進爲盛 故自先太陽而後少陽也.

陰則逆行 又以退爲盛 故自先少陰而後太陰也.

君火司於午 午者 一陰生之位.

火本熱 而其氣當 陰生之初 故標本異而君火 屬少陰也.

水居北方 子 而子者 一陽生之位.

水本寒 而其氣當 陽生之初 故標本異而寒水 屬太陽也.
土者 乃西南維未之位 應於長夏之月.

未乃午之次 故土曰太陰也.

相火者 司於寅 寅乃丑之次 故相火 曰少陽也.

木者 位居東方震 在人 主於肝 肝者 陰未退干之而出 雖陽藏居隔下.

處陰之位.

木必持陰而後生 故屬厥陰也.

金者 位居西方兌 在人主肺 肺爲華盖 雖陰藏居膈上 處陽之位 金必持陽而後發 故屬陽明也(入式)
3음3양(三陰三陽)은 하늘의 6기(六氣)로서 표(標)가 되고

수(水), 화(火), 목(木), 금(金), 토(土)는 땅의 5행으로서 본(本)이 된다.

태음습토(太陰濕土)와 소양상화(少陽相火)는 표(標)와 본(本)이 같다.

소음군화(少陰君火)와 태양한수(太陽寒水)는

음과 양, 차고 뜨거운 것이 서로 같지 않은데 사람들이 마음대로 이름을 붙일 수 있겠는가.

옛날이나 지금이나 양(陽)은 순(順)하게 돈다고 하고 또한 나가는 것[進]을

성(盛)하다고 하기 때문에 태양(太陽)을 먼저 하고 소양(少陽)을 후에 한다.

음(陰)은 거슬러 돈다[逆行]고 하고 또한 물러나는 것[退]을

성하다고 하기 때문에 소음을 먼저 하고 태음을 후(後)에 한다.

군화는 오(午)를 주관하는데 오는 1음(陰)이 처음 생기는 위치이고

화(火)는 본래 열(熱)한데 그 기운은 음이 처음 생기는 데 해당되므로 표와 본이 다르다.

그러니 군화는 소음에 속한다.

수(水)는 북방의 자(子)에 속하는데 자는 양이 처음 생기는 위치이다.

수는 본래 차고 그 기운은 양이 처음 생기는데 해당되므로 표와 본이 다르다.

그러니 한수(寒水)는 태양에 속한다.

토는 서남(西南)간 4유(維)인 미(未)의 위치이기 때문에 늦은 여름에 상응한다.

그리고 미(未)는 오(午)의 다음이기 때문에 토를 태음(太陰)이라고 한다.

상화는 인(寅)을 주관하는데 인은 축(丑)의 다음이기 때문에 상화를 소양이라고 한다.

목은 동쪽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데 사람에게서는 간(肝)을 주관한다.

간은 음이 다 없어지지 않고 나온 것이기 때문에

비록 양장(陽藏)이라고는 하나 가름막 아래의 음의 위치에 있다.

목은 반드시 음을 만나야 생기기 때문에 궐음(厥陰)에 속한다.

금은 서쪽의 태(兌)방에 위치하고 있는데 사람에게서는 이것이 폐(肺)를 주관한다.

폐는 화개(華盖)이기 때문에 비록 음장(陰藏)이라고는 하나 가름막 위의 양의 위치에 있다.

금은 반드시 양을 만나야 단련되므로 양명(陽明)에 속한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音大小][오음대소]   (0) 2020.04.08
[陰陽相錯][음양상착]   (0) 2020.04.06
[客氣][객기]   (0) 2020.04.06
[主氣][주기]   (0) 2020.04.06
[交六氣時日][교육기시일]   (0) 2020.04.06

[客氣][객기]
少陰 太陰 少陽 陽明 太陽 厥陰 爲天地六氣 六氣者 客也.

將此客氣 布於地之六氣 步位之上 則有氣化之異矣.

六氣 分上下左右 而行天令 十二支 分節 令時日 而司地化.

上下相召 而寒 暑 燥 濕 風 火 與四時之氣 不同者 盖相臨不一而使然也.
少陰司 子午, 太陰司 丑未, 少陽司 寅申, 陽明司 卯酉, 太陽司 辰戌, 厥陰司 巳亥.
但將年律 起當年 司天水之者 爲司天, 相對一氣 爲在泉,

餘氣爲左右間 用在泉後一氣 爲初之氣 主六十日餘八十七刻半

至司天爲三之氣 主上半年 自大寒日 後通主上半年也.

至在泉 爲六氣 主下半年 自大暑日後 通主下半年也(入式). 
소음(少陰), 태음(太陰), 소양(少陽), 양명(陽明), 태양(太陽), 궐음(厥陰)은 하늘의 6기인데

이것이 객기(客氣)이다.

이 객기는 땅의 6기가 위치하고 있는 위[上]에 퍼지는데

그에 따라 기의 작용에서 차이가 생긴다.

이 6기가 상하좌우로 갈라져 하늘에서 돌아가고

12지가 계절과 날짜와 시간으로 갈라져 땅에서 작용한다.

이와 같이 상하가 서로 통하나 한(寒), 서(暑), 조(燥), 습(濕), 풍(風), 화(火)의

기운이 4철의 기운과 같지 않는 것은 서로 만나는 것이 같지 않기 때문이다.

소음(少陰)은 자오(子午)를 주관하고 태음(太陰)은 축미(丑未)를 주관하며

소양(少陽)은 인신(寅申)을 주관하고 양명(陽明)은 묘유(卯酉)을 주관하며

태양은 진술(辰戌)을 주관하고 궐음은 사해(巳亥)를 주관하다.

다만 연률(年律)을 가지고 당년(當年)의 사천수(司天數)를 일으켜서 이르는 것이

사천(司天)이 되고 상대방의 기(氣)는 재천(在泉)이 되고 남은 기[餘氣]가 좌우의

간용(間用)이 되고 재천(在泉) 후의 기가 처음의 기(氣)로 되어서 60일 87각반(刻半)을 차지한다.

이것이 사천에 가면 셋째 기가 되는데 대한(大寒)날부터 상반년(上半年)을 전부 차지하고

재천에 가면 여섯째 기가 되는 데 대서(大暑)날부터 하반년(下半年)을 전부 차지한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陰陽相錯][음양상착]   (0) 2020.04.06
[論標本][논표본]   (0) 2020.04.06
[主氣][주기]   (0) 2020.04.06
[交六氣時日][교육기시일]   (0) 2020.04.06
[論天地六氣][논천지육기]   (0) 2020.04.06

[主氣][주기]
地氣靜而守位 則春溫 夏暑 秋凉 冬寒 爲歲 歲之常令 厥陰木 爲初氣者 方春氣之始也.
木生火 故少陰君火 少陽相火次之 火生土 故太陰土次之.

土生金 故陽明金次之.
金生水 故太陽水次之.
木 爲初氣 主春分前 六十日有氣 自斗建丑正 至卯之中天度至此 風氣乃行也.
君火 爲二氣 主春分後 六十日爲氣 自斗建卯正 至巳之中 天度至此 暄淑乃行也.
相火 爲三氣 主夏之前後 各三十日有寄 自斗建未正 至未之中 天度至此 炎熱乃行也.
土 爲四氣 主春分前 六十日有寄 自斗建未正 至酉之中 天度至此 雲雨乃行 濕蒸乃作也
金 爲五氣 主春分後 六十日有寄 自斗建酉正 至亥之中 天度至此 淸氣乃行 萬物皆燥也.
水 爲六氣 主冬至前後 各三十日有寄 自斗建亥正 至丑之中 天度至此 寒氣乃行也(入式).
땅의 기운이 움직이지 않고 자리를 지키기 때문에

봄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덥고 가을에는 서늘하고 겨울에는 추운 것이 해마다 돌아온다.

궐음목(厥陰木)이 첫째 기가 된다는 것은 봄 기후가 시작되는 때라는 뜻이다.

목이 화를 생(生)하므로 소음군화(少陰君火), 소양상화(少陽相火)가 목 다음에 가고

화가 토를 생(生)하므로 태음토(太陰土)가 화 다음에 가며 토가 금을 생하므로

양명금(陽明金)이 토 다음에 가고 금이 수를 생하므로 태양수가 금 다음에 간다.

목이 첫째 기가 되어 춘분 전 60일날 남짓하게 차지한다.

이때에 북두칠성 모양은 축정(丑正)으로부터 묘(卯)의 가운데 선다.

그리고 하늘의 도수[天道]가 바람기운을 행사한다.

군화(君火)는 둘째 기가 되어 춘분 이후 60일간 남짓하게 차지한다.

이때에 북두칠성 모양은 묘정(卯正)으로부터 사(巳)의 가운데 선다.

그리고 하늘의 도수가 따뜻하고 맑은 것을 행사한다.

상화(相火)는 셋째 기가 되어서 하지 전후 각각 30일씩 전후하게 차지한다.

이때에 북두칠성 모양은 사정(巳正)으로부터 미(未)의 가운데 선다.

그리고 하늘의 도수가 더위를 행사한다.

토는 넷째 기가 되어서 추분전 60일간 남짓하게 차지한다.

이때에 북두칠성 모양은 미정(未正)으로부터 유(酉)의 가운데 선다.

그리고 하늘의 도수는 구름과 비를 행사하고 습기가 증발되게 한다.

금은 다섯째 기가 되어서 추분 이후 60일간 남짓하게 차지한다.

이때에 북두칠성 모양은 유정(酉正)으로부터 해(亥)의 가운데 선다.

그리고 하늘의 도수가 시원한 기운을 행사하여 만물을 마르게 한다.

수는 여섯째 기가 되어서 동지 전후 각각 30일씩 남짓하게 차지한다.

이때에 북두칠성 모양은 해정(亥正)으로부터 축(丑)의 가운데 선다.

그리고 하늘의 도수[度至]가 찬 기운을 행사한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標本][논표본]   (0) 2020.04.06
[客氣][객기]   (0) 2020.04.06
[交六氣時日][교육기시일]   (0) 2020.04.06
[論天地六氣][논천지육기]   (0) 2020.04.06
[四時氣候][사시기후]   (0) 2020.04.06

[交六氣時日][교육기시일]
內經(六味旨大論篇 第六十八)曰 顯明之右 君火之位.

顯明謂之日卽卯位也 君火之右 退行一步 相火治之 復行一步 土氣治之.

復行一步 金氣治之 復行一步 水氣治之 復行一步 木氣治之者 乃六氣之主位也.
自十二月中氣 大寒日 交木之初氣 次至二月中氣 春分日 交君火之二氣 次之四月中氣

小滿日 交相火之三氣 次之六月 中氣大暑日 交土之四氣 次至八月 中氣秋分日

交金之五氣 次之十月 中氣小雪日 交水之六氣 每氣(氣卽步也)

各主六十日八十七刻半 總之 乃三百六十五日二十五刻 共周一歲也.

此乃地之陰陽 所謂 靜而守位者也.

常爲每歲之主氣 乃主氣之常紀也. 氣應之不同者

又有天地陰陽 所謂動而不息 自司天, 在泉 左右 四間 是也.
輸行而居其上 各之 曰客氣. 客氣 333乃行歲中之天命 天命所至 則又有寒 暑 燥 濕 風 火之化.
主氣 則當祗奉客之天命. 客勝則從 主勝則逆 二者 有勝而無復矣(入式). 
내경에 “현명(顯明)의 오른쪽이 군화(君火)의 위치이다”고 씌어 있는데

현명이라는 것은 해[日]를 말한다.

즉 묘(卯)의 위치이다.

군화의 오른쪽에서 한 걸음 나간 곳은 상화(相火)가 주관하고

또 한 걸음 나간 것은 토기(土氣)가 주관하며

또 한 걸음 나간 곳은 금기(金氣)가 주관하고

또 한 걸음 나간 곳은 수기(水氣)가 주관하며

또 한 걸음 나간 곳은 목기(木氣)가 주관하는데 이것이 6기가 주관하는 위치이다.

12월의 중기(中氣) 대한(大寒)날에 목의 첫째 기와 만나고

다음 2월의 중기 춘분(春分)날에 군화(君火)의 둘째 기와 만나며

다음 4월의 중기 소만(小滿)날에 상화(相火)의 셋째 기와 만나고

다음 6월의 중기 대서(大暑)날에 토의 넷째 기와 만나며

다음 8월의 중기 추분(秋分)날에 금의 다섯째 기와 만나며

다음 10월의 중기 소설(小雪)날에 수의 여섯번째 기와 만난다.

이 매개 기(氣, 기란 즉 보(步)이다)가 각각 60일(日) 87각반(刻半)씩 맡고 있으니

모두 365일 25각이 되는데 이것이 1년이다.

이것이 땅의 음양(陰陽)인데 움직이지 않고 위치를 지킨다.

그리고 이것이 매년의 주기(主氣)이면서 주기의 정상적인 도수[紀]이다.

기가 돌아가는 것이 같지 않고 또한 하늘의 음양이 쉬지 않고 움직이기 때문에

사천(司天)과 재천(在泉), 좌우 4간(四間)이 있다.

돌아가다가 그 위에 앉는 것을 객기(客氣)라고 한다.

객기란 한해 동안 돌아가는 법칙이다.

이 법칙이 작용하는 곳에는 또한 한(寒), 서(暑), 조(燥), 습(濕), 풍(風), 화(火)의 작용이 있다.

주기(主氣)는 객기(客氣)의 법칙을 받아 작용한다.

객기가 이기면 순종(順從)이고 주기가 이기면 거슬린다.

이 2가지가 서로 이기기는 하지만 보복하지는 않는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客氣][객기]   (0) 2020.04.06
[主氣][주기]   (0) 2020.04.06
[論天地六氣][논천지육기]   (0) 2020.04.06
[四時氣候][사시기후]   (0) 2020.04.06
[十二支][십이지]   (0) 2020.04.06

[論天地六氣][논천지육기]
經(寶命全形論篇 第二十五)曰 天地合氣 六節分 而萬物化生矣.

地之氣靜而常 天地氣動而變.
其六氣之源則同 六氣之緖則異 何哉. 盖天之氣 始於少陰 而終於厥陰.
(天元紀大論篇 第六十六)曰 少陰所謂標 厥陰所謂終 是也.

地之氣 始於厥陰木 而終於太陽水
曰 顯明之右 君火之位者 其緖 是也.

其不同之緖 乃天眞 坤元 二氣相因而成焉

故天之六元氣反合 地十二支 以五行正化對化 爲其緖 則少陰司子午

太陰司丑未 少陽司寅申 陽明司卯酉 太陽司辰戌 厥陰司巳亥 天氣始終之因如是而已.

地之六氣反合天之四時 風 熱 暑 濕 燥 寒 爲其緖 則厥陰 風木 主春 少陰君火 主春末夏初,

少陽相火 主夏 太陰濕土 主長夏, 陽明燥金 主秋, 太陽 寒水 主冬, 地氣終始之因如是而已.(入式).
내경에 “하늘과 땅의 기운이 합쳐진 곳에서 6절(六節)이 갈라지고 만물이 생겨난다.

땅의 기운은 안전하게 있기 때문에 정상이고 하늘의 기운은 움직이기 때문에 변한다.

6기(六氣)의 근원은 같은데 6기의 결말이 다른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것은 하늘의 기운이 소음(少陰)에서 시작되어 궐음(厥陰)에 가서 끝나기 때문이다.

내경에 “소음은 표(標)이고 하고 궐음은 끝이다”고 씌어 있는 것이 바로 이것을 말한 것이다.

땅의 기운은 궐음목(厥陰木)에서 시작되어 태양수(太陽水)에서 끝난다.

내경에 “현명(顯明)의 오른쪽이 군화(君火)의 위치이다”고 씌어 있는 것은

그것이 끝이라는 말이다.

다른 점은 하늘과 땅의 기운이 서로 의존해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하늘의 6원기(六元氣)와

땅의 12지(十二支)가 합쳐져 5행의 정화(正火)와 대화(對火)의 끝이 되었다는 것이다.

소음(少陰)은 자오(子午)를, 태음(太陰)은 축미(丑未)를, 소양(少陽)은 인신(寅申)을,

양명(陽明)은 묘유(卯酉)를, 태양(太陽)은 진술(辰戌)을, 궐음(厥陰)은 사해(巳亥)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하늘과 땅이 시작되고 끝나는 원인이 이와 같다.

땅의 6기(六氣)가 하늘의 4시(四時)와 합쳐져

풍(風), 열(熱), 서(暑), 습(濕), 조(燥), 한(寒)으로서 끝난다.

궐음풍목(厥陰風木)은 봄을, 소음군화(少陰君火)는 늦은 봄과 초여름을,

소양상화(少陽相火)는 여름을, 태음습토(太陰濕土)는 늦은 여름을,

양명조금(陽明燥金)은 가을을, 태양한수(太陽寒水)는 겨울을 주관한다.

땅의 기운이 시작되고 끝나는 원인도 이와 같다[입식].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主氣][주기]   (0) 2020.04.06
[交六氣時日][교육기시일]   (0) 2020.04.06
[四時氣候][사시기후]   (0) 2020.04.06
[十二支][십이지]   (0) 2020.04.06
[十干][십간]  (0) 2020.04.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