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陰陽之氣升降盈虛][음양지기승강영허] 
曰 天地盈虛者 有時. 審能消息 始知機.

曰 天地相去八萬四千里.

冬至之日 地中有一陽氣上升 一日升四百六十里二百四十步

至後五日爲一候 三候爲一氣 三氣爲一節 二節爲一時 卽春分也.

計九十日 陽氣共升至天四萬二千里 正到天地之中.

此時陰331中陽半 爲泰卦.

其氣變寒爲溫 萬物發生之時 故爲春也.

自此以後 陽氣升入陽位 亦如前 漸漸升.

至夏至之日 幷前計一百八十日 共升八萬四千里 乃到天也.

此時陽中又有陽 爲純陽乾卦. 其氣變溫爲熱 曰夏.

萬物茂盛之時 故曰盈也.

夫熱極則陰生 故夏至之日 一陰自天而降 亦一日降四百六十里二百四十步.

亦五日爲一候 三候爲一氣 三氣爲一節 二節爲一時 卽秋分日也.

計九十日 陰氣共降四萬二千里 正到天地之中.

此時陽中陰半 爲否卦.

其氣變熱爲凉 萬物結實之時 故爲秋也.

自此以後 陰氣降入陰位 亦如是 漸漸降.

至冬至之日 共前計一百八十日 共降八萬四千里 乃到地也.

此時 陰中又有陰 爲純陰坤卦.

其氣變凉爲寒 曰冬. 萬物收藏之時 故曰虛也(悟眞).
결(訣)에 “천지(天地)에도 충실해지는 시기와 허해지는 시기가 있다.

이것을 자세히 알아야 천지운행(天地運行)의 기전[機]을 알 수 있다”고씌어 있다.

주해[註]에 “하늘과 땅 사이의 거리는 8만4천리이다.

동짓날부터 땅 속에서 양기(陽氣)가 올라오기 시작하는데 하루에 460리 240보씩 올라온다.

동짓날부터 계산하여 5일 동안이 1후(一候)이다.

3후가 1기(一氣)이고 3기가 1절(一節)이며 2절이 1시(一時)인데 이때가 바로 춘분(春分)이다.

이 기간은 총 90일인데 양기가 모두 4만2천리를 올라가서

바로 하늘과 땅 사이의 중간에 도달한 때이다.

이때에는 음절반[陰中], 양절반[陽半]이고 괘는 태괘(泰卦)이다.

그리고 춥던 기후가 따뜻해지고 만물이 생겨나는 때이므로 봄이다.

그 이후부터는 양기가 역시 전과 같이 양의 방향으로 점차 올라가는데 하짓날까지 올라간다.

여기에 앞의 날짜까지 합하면 모두 180일이 된다.

그리고 거리는 총 8만4천리를 올라갔기 때문에 하늘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에는 양 가운데 또 양이 있기 때문에 순양(純陽)이 되며

괘는 건괘(乾卦)이고 따뜻하던 기후가 변해서 무더워지므로 여름이다.

그리고 만물이 무성하는 때이므로 영(盈, 차 넘치는 계절)이라고도 한다.

열이 극도에 달하면 음(陰)이 생기기 때문에 하짓날에는 하나의 음[一陰]이

하늘에서 내려오게 되는데 이것도 역시 하루에 460리 240보씩 내려온다.

이때도 역시 하짓날부터 5일 동안이 1후이고 3후가 1기이며 3기가 1절이고 2절이 1시이다.

이날이 바로 추분(秋分)이다.

이 기간은 총 90일인데 음기(陰氣)가 모두 4만2천리 내려와서

비록 하늘과 땅 사이의 중간에 온 때이다.

이때에는 양절반[陽中], 음절반[陰半]이며 괘는 비괘[否卦]이고

무덥던 기후가 서늘해지면서 만물이 열매를 맺는 때이므로 가을이다.

이때부터 음기가 내려가서 음의 자리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에도 역시 점점 내려가서 동짓날까지 가면 모두 합해서 180일이 된다.

그리고 거리는 총 8만4천리 내려갔기 때문에 땅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에는 음가운데 또 음이 있기 때문에 순음(純陰)이 되며

괘는 곤괘(坤卦)이고 서늘하던 기후가 추워지고 겨울이다.

그리고 이때에는 만물을 걷어들여 간직하기 때문에 허한 계절이라고 한다[오진].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方異宜][사방이의]  (0) 2020.04.05
[天地不足之方][천지부족지방]   (0) 2020.04.05
[天氣流行][천기유행]   (0) 2020.04.05
[天地依附][천지의부]  (0) 2020.04.05
[黃赤道][황적도]   (0) 2020.04.04

[天氣流行][천기유행]
胡用之曰 云 乾一而實 故以質言而曰大.

坤二而虛 故以量言而曰廣.
朱子曰 此兩句設得極分曉.

所以設乾一而實 地雖堅實 然却虛.

天之氣流行乎地之中 皆從裏面發出來.
又云 地如肺 形質雖硬而中本虛

故陽氣升降乎其中 無所障礙 雖金石也 透過去地

便承受得這氣 發育萬物 今曆家用律呂候氣 其法最精 氣之至也

分寸不差 便是這氣 都在地中透出來也(正理).
호용지(胡用之)가 “주역(周易)에 건(乾)은 하나이면서 실(實)하다고 한 것은

질적으로 크다는 것을 말한 것이고 곤(坤)은 둘이면서 허(虛)하다고 한 것은

양적으로 많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하고 하였다.

주자가 “이 두 구절은 아주 정확하게 한 말이다.

건(乾)은 하나이면서 실하다.

땅이 비록 견실(堅實)하다고는 하지만 오히려 허(虛)하다.

하늘의 기운은 땅 속으로 돌아다니다가 나오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땅의 형체는 폐(肺)와 같고 질(質)은 비록 굳으나 속이 본래 허하기 때문에

양기(陽氣)가 그 속에서 오르내리면서 돌이나 쇳돌도 거침없이 뚫고 지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땅은 그 기운을 받아서 만물을 자라게 한다.

지금 천문학자들은 율여(律呂)를 이용하여 양기가 오는 것을 알아내는데

이 방법이 아주 정밀하다.

양기가 오는 것은 1분1초도 틀리지 않는다.

그러니 그 기운은 다 땅 속에서부터 나온다는 것이 틀림없다고 하였다[정리].  

[天地依附][천지의부]
邵子曰 天何依. 曰依乎地. 地何附. 曰附乎天.

曰然則天地何所依附.

曰自然依附.

天依形 地依氣 其形也有涯 其氣也無涯(正理).
소자(邵子)는 “하늘은 땅에 의지해 있고 땅은 하늘에 의지해 있다”고 하였다.

그러면 하늘과 땅은 어디에 의존하였는가.

자연에 의존하였다.

하늘은 형체(形體)에 의지하고 땅은 기(氣)에 의지하였는데

형체[形]는 끝이 있으나 기(氣)는 끝이 없다[정리].
天地無外 所以其形有涯而其氣無涯也.

爲其氣極緊 故能扛得地住 不然 則墜矣.

外更須有軀殼甚厚 所以固此氣也.

若夫地動 只是一處動 動亦不至遠也(正理).
하늘과 땅은 끝이 없다.

그것은 형체는 끝이 없으나 기(氣)는 끝이 없기 때문이다.

기는 아주 세기 때문에 능히 땅을 받들어 떨어지지 않게 한다.

그렇지 않으면 땅이 떨어질 것이다.

이밖에 또한 땅은 껍데기가 아주 두터워서 그 기(氣)를 든든하게 한다.

가령 땅이 움직인다고 하여도 오직 한자리에서 움직일 뿐이다.

그리고 움직여 간다고 하여도 멀리 가지는 못한다[정리].
邵子論六合之外 恐無外否

朱者曰 理無內外 六合之形須有內外 日月東升西沒 又從東升.

這上面許多 豈不是六合之外.

今曆家只筭 到日月星辰 運行處上去 更筭不得安得 是無內外(正理).
소자가 “6합(合)의 밖에는 다른 것이 없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주자(朱子)가 “이치로 보면 안팎과 6합의 형체가 없다고 할 수 있지만

모름지기 안팎이 있어야 할 것 같다.

해와 달은 동쪽에서 떠올라 서쪽으로 졌다가 다시 동쪽으로 떠오르는데

이것이 어찌 6합의 밖이 아니겠는가.

요즘 천문학자들은 오직 해와 달과 별들이 도는 것만 계산할 줄 알고

그 밖의 것은 더 계산하지 못한다.

그래서 그렇지 어찌 거기에 안팎이 없을 수 있겠는가”고 대답하였다[정리].   


[黃赤道][황적도]
先儒之說曰 天形之圓 如虛毬 地隔其中

人物生於地上 形正方如慱骰

日月星辰 旋繞其外 自左而上 自上而右 自右而下 自下而復左.

天形如勁風之旋 其兩端不動處曰極 上頂不動處

謂之北極 下臍不動處 謂之南極

南北二極相去之中 天之腰也

謂之赤道 日所行之道 謂之黃道(正理)  
옛날 학자들은 하늘의 형체는 몹시 동그랗기 때문에 빈 공과 같으며

땅은 그 가운데 가로놓여 있다고 하였다.

사람과 동식물은 땅 위에서 살고 있다.

땅의 형체는 정방형인데 주사위와 비슷하게 생겼다.

그리고 해와 달, 별들이 그 겉으로 도는데 왼쪽에서부터 위로 올라갔다가

위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간다.

그리고 다시 아래에서부터 왼쪽으로 올라간다.

하늘의 모양은 회오리바람이 도는 것과 같은데 양 끝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곳을 극(極)이라고 하는데

윗꼭대기의 움직이지 않는 곳을 북극(北極)이라고 하고

아래쪽의 움직이지 않는 곳을 남극(南極)이라고 한다.

남극과 북극의 한가운데는 하늘의 허리인데 적도(赤道)라고 한다.

태양이 도는 길을 황도(黃道)라고 한다[정리].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氣流行][천기유행]   (0) 2020.04.05
[天地依附][천지의부]  (0) 2020.04.05
[南北極][남북극]  (0) 2020.04.04
[論一元十二會三十運][논일원12회30운]   (0) 2020.04.04
[天地之形]  (0) 2018.02.12

[南北極][남북극]
緣督趙氏 曰 古人 仰觀天象 遂知夜久而星移斗轉 漸漸不同.

昏暮東出者 曉則西墜 昏暮不見者 曉則東升.

天星雖然旋轉 有甚窄者 以衡管 窺之 衆星無有不轉

但有一星 旋轉最密 循環不出於管中 名曰紐星者 是也.

古人以旋磨比天 則磨臍 爲天之不動處.

此天之不動 卽紐星旋轉之所 名曰北極 亦猶車輪之中軸 瓜辨之攢頂也.

復覩南天 雖無徹夜見者 但比東西星宿旋轉 則不甚遠.

由是而推 乃是南北俱各有極.

北極 在地平之上.

今北極爲瓜之聯蔓處 南極爲瓜之有花處.

東西旋轉 最廣之所 比乎瓜之腰圍.

北極邊傍 雖有旋轉 常在於天 南極側近 雖然旋轉 不出於地. 如是則知地在天內.

天如雞者 地如中黃. 然雞者 形不正圓 古今非以天形相肖而比之 但於天包地外而已.

以此觀之 天如蹴毬 內盛半毬之水 水上 浮一木板 比似人間地平

板上雜置細微之物 比如萬類.

蹴毬雖圓轉不已 板上之物 俱不覺知.

謂天體旋轉者 天非可見其體 因衆星出沒於東西.

管轄於兩極 有常度 無停機 遂卽星所附麗 擬以爲之體耳(正理).
연독조(緣督趙)씨가 “옛사람들은 하늘의 상태를 여러 밤 쳐다보고서야

온갖 별들은 다 자리를 옮겨 가며 북두칠성이 도는 것이 점차 달라지고

초저녁에 동쪽에서 나타난 것이 새벽에는 서쪽에 가서 없어지고

초저녁에 보이지 않던 것이 새벽에 동쪽에서 떠오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하늘의 별들이 비록 돌기는 하지만 도는 범위는 몹시 좁다.

형관(衡管)㈜의 구멍으로 관찰해 보면 모든 별들이 다 움직인다.

그러나 오직 1개의 별만은 가장 좁은 거리를 돌기 때문에 형관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는데

이것을 유성(紐星)이라고 한다.

옛사람들은 천체를 망돌(磨, 맷돌)에 비유하였는데

망돌 한가운데에 있는 중쇠[磨臍]를 천체의 움직이지 않는 곳으로 보았다.

이 움직이지 않는 곳이 유성이 도는 곳인데 이것을 북극(北極)이라고 한다.

이것은 또한 수레바퀴에서는 속대와 같고 참외에서는 꼭지와 같은 것이다.

그리고 남쪽 하늘은 밤새도록 바라보아도 보이는 것은 없고

다만 동쪽과 서쪽으로만 별들이 돌아가는데 그렇게 멀지는 않은 것 같다.

이것으로써 남쪽과 북쪽에 각각 극(極)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북극은 지평선 위에 있고 남극은 지평선 아래에 있다.

북극은 참외에서 꼭지가 달린 데와 같고 남극은 참외에서 꽃이 달린 데와 같으며

동쪽으로부터 서쪽으로 돌아가는 데서 제일 넓은 곳은 참외의 몸체 둘레와 같다.

북극의 변두리는 비록 돌아가기는 하나 항상 하늘 속에서 돌아가고

남극은 땅 가까이에서 돌아가지 땅에서 떨어지지는 못한다.

이와 같이 땅은 하늘 속에 있으므로 하늘을 달걀이라고 하면

땅은 달걀 노른자위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달걀은 동그랗지 않기 때문에 옛날이나 지금이나

달걀 모양이 하늘 모양 같다고 비유하지는 않는다.

이것은 오직 하늘이 땅의 겉을 둘러싸고 있다는 것만을 비유한 것이다.

하늘은 차는 공과 같다.

공 안에 절반쯤 물을 담고 그 물 위에 널조각 1개를 띄워 놓으면

그것이 바로 인간이 사는 곳과 같다고 볼 수 있고 널조각 위에 있는 물건들은

땅 위의 온갖 물체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둥근 공이 계속 돈다고 해도 널조각 위의 물체들은 다 공이 돌아가는 것을 알지 못한다.

천체가 돈다는 것은 하늘의 형체를 보고서는 알 수 없다.

오직 여러 가지 별들이 동쪽과 서쪽에 나타났다 없어졌다 하면서

남극, 북극에 관할되어 일정한 궤도를 따라 멈춤이 없이 붙어 돌아가는 것을 보아야

천체가 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정리].   


[論一元十二會三十運][논일원12회30운]
邵子皇極經世書 一元 統十二會.

一會 統三十運 一運 統十二世.

猶一歲 有十二月
一月 有三十日 一日 有十二時 故<西山蔡氏>曰 一元之數卽一歲之數

一元有十二會 三百六十運 四千三百二十世 猶一歲

十二月 三百六十日 四千三百二十辰也.

前六會爲息 後六會爲消 卽一歲自子至已 爲息

自午至亥爲 消也 開物於寅 猶歲之驚蟄也.

閉臧於戌 猶歲之立冬也.
一元 有十二萬九千六百歲 一會 有十二萬九千六百月 一運 有十二萬九千六百日.

一世 有十二萬九千六百辰 皆自然之數 非有所牽合也.
소자(邵子)의 황극경세서에 1원(元)은 12회(會)를 통괄하고 1회는 30운(運)을 통괄하며

1운(運)은 12세(歲)를 통괄한다.

이것은 마치 한 해가 12달이며 1달이 30일이고 하루가 12시간인 것과 같다.
그러므로 서산채(西山蔡)씨가 “1원(一元)의 수(數)는 곧 한 해[一歲]의 수가 된다.

1원(元)에는 12회(會)가 있는데 이것은 360운이 되고 4,320세가 된다.

이것이 바로 한 해가 12달이고 360일이며 4,320시간인 것과 같다.

앞의 6회는 식(息)이 되고 뒤의 6회는 소(消)㈜가 된다.

즉 한 해의 자(子, 동짓달)로부터 다음 해 사(巳, 4월)까지는 식이 되고

오(午, 5월)로부터 해(亥, 10월)까지는 소(消)가 된다.

동면하던 동물은 음력 정월[寅月]에 활동하기 시작하는데 절기로서는 경칩에 해당된다.

음력 9월[戌月]에는 동면을 시작하는데 절기로서는 입동(立冬)에 해당된다.

1원(元)에는 12만9천600해가 있고 1회(會)는 12만9천600달이며

1운(運)은 12만9천600날이고 1세(歲)는 12만9천600시간이다.

이것은 다 자연의 숫자인데 억지로 맞춘 것은 아니다.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地依附][천지의부]  (0) 2020.04.05
[黃赤道][황적도]   (0) 2020.04.04
[南北極][남북극]  (0) 2020.04.04
[天地之形]  (0) 2018.02.12
[醫當識 天地之間 運氣][의당지 천지지간 운기]   (0) 2017.03.12

[天地之形][천지지형] 
先儒之論 天地之初 混沌鴻濛 淸濁未判 但一氣耳.
及其久也 運轉於外者 漸漸輕淸 其凝聚於中者 漸漸重濁.
輕淸者 積氣成象而爲天 重濁者 積氣成形而爲地.
天之成象者 日 月 星 辰 是也 地之成形者 水 火 土 石 是也.
天包地外 旋繞不停.
地處天內 安靜不動.
天之旋繞 其氣急勁 故地浮戴其中 不墮不墜(正理).
옛날 학자들은 “하늘과 땅이 생길 때는 뒤섞여서 갈라볼 수 없었고 맑은 것과
흐린 것도 갈라지지 않았으며 오직 한가지 기운 뿐이었다.
그러다가 오래 지나면서 밖에서 돌던 것은 점차 가벼워지고 맑아졌으며
그 속에서 엉키고 모였던 것은 점차 무거워지고 흐려졌다.
그리고 그 가볍고 맑은 기운이 몰려서 하늘이 이루어졌고 무겁고 흐린 기운이
몰려서 땅이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하늘이 이루어졌다는 것은 해와 달과 별 등이 생겨났다는 것이고
땅이 이루어졌다는 것은 물과 불, 흙과 돌 등이 생겨났다는 것이다.
하늘은 땅의 겉을 싸고 멈춤이 없이 돌고 땅은 하늘 속에 있어서 안전하고 움직이지 않는다.
하늘은 돌아가므로 그 기운이 빠르고 굳세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가 그 속에 떠 있으면서도 떨어지지 않는다[정리].

[醫 當識 天地之間 運氣][의 당식 천지지간 운기]

內經(六節臟象論篇 第九)

不知年之所加 氣之盛衰 虛實之所起 不可以爲工矣.

王氷 以爲天眞氣運 尙未該通 人病之由.

安能精達. 卽古聖之心戒也 醫工之流 不可不知.

내경에는 그 해에 해당한 운기가 세고 약한 것과 허()하고

()한 것을 잘 알지 못하면 훌륭한 의사가 될 수 없다고 씌어 있다.

왕빙자연의 변화를 잘 알지 못하면 사람의 병을 어떻게 잘 알 수 있겠는가고 하였다.

이것이 바로 옛날 지식있는 사람들의 의미 깊은 말이다.

의사들은 반드시 이것을 알아야 한다.  


'[雜病篇] > [天地運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地依附][천지의부]  (0) 2020.04.05
[黃赤道][황적도]   (0) 2020.04.04
[南北極][남북극]  (0) 2020.04.04
[論一元十二會三十運][논일원12회30운]   (0) 2020.04.04
[天地之形]  (0) 2018.0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