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肺風丸][폐풍환]
治面鼻風, 及齄 .
細辛, 旋覆花, 羌活 各二兩,
晩蠶蛾 灸, 苦參 各一錢.
右末, 軟飯和丸, 梧子大, 食後茶淸下五七十丸[東垣].
얼굴과 코에 생긴 풍사(風 )와 코에 붉고 여드름 같은 것[齄 ]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세신, 선복화, 강활 각 두 냥,
만잠아(구운 것), 고삼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질척한 밥에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식후에 쉰에서 일흔 알씩 맑은 찻물로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布袋丸][포대환]   (0) 2019.02.06
[抱膽丸][포담환]  (0) 2019.02.06
[平즉丸][평즉환]   (0) 2019.02.06
[平補枳朮丸][평보지출환]   (0) 2019.02.06
[平肝順氣保中丸][평간순기보중환]   (0) 2019.02.06

[平즉丸][평즉환]
治膈氣不食
大즉魚一箇去腸留鱗以大蒜切片塡魚腹內
濕紙包黃泥固濟慢火氖熟去鱗骨入平胃散末杵丸梧子大
每三五十丸空心米飮呑下[入門]
격기(膈氣)로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붕어(큰 것) 1마리.
위의 것을 내장만 버리고 비늘은 그대로 둔다.
그 다음 마늘을 썰어서 고기 뱃속에 채워 넣는다.
다음 이것을 젖은 종이로 싸고 진흙으로 싸 발라서 약한 불에 묻어 굽는다.
그 다음 비늘과 뼈는 버리고 가루내어 평위산가루와 섞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抱膽丸][포담환]  (0) 2019.02.06
[肺風丸][폐풍환]  (0) 2019.02.06
[平補枳朮丸][평보지출환]   (0) 2019.02.06
[平肝順氣保中丸][평간순기보중환]   (0) 2019.02.06
[貝母丸][패모환]   (0) 2019.02.06

[平補枳朮丸][평보지출환]
治食已心下痞, 去痰健脾調中.
白朮 三兩,
白芍藥 一兩半,
陳皮, 枳實, 黃連 各一兩,
人蔘, 木香 各五錢.
右爲末, 荷葉濃煎湯煮糊和丸, 梧子大, 米飮下, 百丸[入門].
음식을 먹고 난 뒤에 생기는 심하비를 치료하는데,

담을 없애고 비(脾)를 튼튼히 하며 중초의 기를 고르게 한다.
백출 석 냥,
백작약 한 냥 반,
진피, 지실, 황련 각 한 냥,
인삼, 목향 각 닷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연잎을 진하게 달인 물에 넣고 쑨 풀로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백 알씩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白朮補脾氣爲君, 白芍藥補脾血爲臣, 陳皮枳實消痞,

黃連淸熱以爲佐, 人蔘補氣, 木香調氣以爲使.
如此, 則平補氣血, 均去痰火, 兼通氣道, 則病邪日消, 而脾胃日壯矣[丹心].
백출은 비기(脾氣)를 보해서 군약이 되고,

백작약은 비혈(脾血)을 보해서 신약이 되며,

진피는 위기(胃氣)를 조화시키고[和胃]

지실은 막힌 것을 삭여주며

황련은 열을 식혀주어 좌약이 되고,

인삼은 기를 보하며

목향은 기를 고르게 하여 사약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기혈을 완만하게 보하고[平補] 담화(痰火)를 모두 없애며,

더불어 기도(氣道)를 통하게 하므로 병사(病邪)는 날로 없어지고

비위(脾胃)는 날로 튼튼해진다(단심).

[平補枳朮丸][평보지출환]
治食已心下痞 去痰健脾調中
白朮120g
白芍藥60g
陳皮 枳實 黃連 各40g
人蔘 木香 各20g
爲末 荷葉濃煎湯 煮糊和丸 梧子大 米飮下100丸(入門).
밥 먹은 뒤에 명치 밑이 트직한 것을 치료하는데
담(痰)을 없애고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속을 고르게 한다.
흰삽주(백출) 120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60g,
귤껍질(陳皮), 지실, 황련 각각 40g,
인삼, 목향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연잎을 진하게 달인
물에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白朮 補脾氣爲君 白芍藥 補脾血爲臣 陳皮 枳實 消痞
黃連 淸熱以爲佐 人蔘 補氣.
木香 調氣以爲使 如此則平補氣血 均去痰火 兼通氣道
則病邪日消 而脾胃 日壯矣(丹心).
흰삽주(백출)는 비기(脾氣)를 보하므로 군약으로 하였고
집함박꽃뿌리(백작약)는 비혈(脾血)을 보하므로 신약(臣藥)으로 하였다.
귤껍질(陳皮)과 지실은 더부룩한 것을 없애고
황련은 열을 내리므로 좌약(佐藥)으로 하였다.
인삼은 기를 보하며 목향은 기를 고르게 하므로 사약(使藥)으로 하였다.
이렇게 하니 기혈(氣血)을 고르게 보하고 담화(痰火)가 없어진다.
겸하여 기가 돌아가는 길을 잘 통하게 하여
사기는 날을 따라 없어지고 비위(脾胃)는 날마다 든든하여진다[단심].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肺風丸][폐풍환]  (0) 2019.02.06
[平즉丸][평즉환]   (0) 2019.02.06
[平肝順氣保中丸][평간순기보중환]   (0) 2019.02.06
[貝母丸][패모환]   (0) 2019.02.06
[八味丸][팔미환]  (0) 2019.02.06

[平肝順氣保中丸][평간순기보중환]
治脾胃中伏火 鬱積生痰 致令嘔吐呑酸
嘈雜 常服健脾開胃 化痰消滯 淸火抑肝.
白朮土炒160g 香附子童便浸三日炒120g 陳皮100g
川窮 枳實 黃連薑炒 神麴炒 山査肉各80g 半夏製60g
梔子薑汁炒 蘿蔔子炒 白茯苓 乾生薑 吳茱萸各40g
麥芽炒28g 靑皮香油炒24g 縮砂炒 甘草灸各16g 木香12g.
爲末 竹瀝打神麴爲糊和 丸綠豆大 白湯下438100丸.
此方 治呑酸吐酸嘈雜噫氣 兼治之劑也(醫鑑).
비위(脾胃)에 화울(火鬱)이 쌓여서 담이 생겨 토하고
탄산과 조잡증( 雜證)이 된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을 늘 먹으면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위기(胃氣)를 통하게 하고
담(痰)을 삭이고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며 열을 내리고 간(肝)을 억제한다.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닦은 것) 160g,
향부자(동변에 3일 동안 담갔다가 볶은 것) 120g,
귤껍질(陳皮) 100g,
궁궁이(천궁), 지실, 황련(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찔광이(산사육) 각각 80g,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60g,
산치자(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무씨(나복자, 닦은 것),
흰솔풍령(백복령), 생강(말린 것), 오수유 각각 40g,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28g,
선귤껍질(청피, 참기름을 발라 볶은 것) 24g,
사인(축사, 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16g, 목향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참대기름(죽력)과 약누룩(신국)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이 처방은 탄산(呑酸), 토산(吐酸), 조잡증, 트림[噫氣] 등을 겸해 치료하는 약이다[의감].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平즉丸][평즉환]   (0) 2019.02.06
[平補枳朮丸][평보지출환]   (0) 2019.02.06
[貝母丸][패모환]   (0) 2019.02.06
[八味丸][팔미환]  (0) 2019.02.06
[八味理中丸][팔미이중환]  (0) 2019.02.06

[貝母丸][패모환]
取貝母 童便 浸一日 洗晒
爲末 糖霜調和不時服(入門).
패모환은 패모를 동변에 3일 동안 담갔다가 씻어서 햇볕에 말린 다음
가루내어 사탕물에 반죽해서 만드는데 아무 때나 먹는다[입문].

[八味丸][팔미환]
治命門火不足陽虛.
熟地黃 八兩,
山藥, 山茱萸 各四兩,
牡丹皮, 白茯苓, 澤瀉 各三兩,
肉桂, 附子 炮 各一兩.
右爲末, 蜜丸梧子大. 空心溫酒, 或鹽湯下五七十丸.

若加五味子, 名曰腎氣丸[仲景].
명문의 화(火)가 부족하고 양이 허한 것을 치료한다.
숙지황 여덟 냥,
산약, 산수유 각 넉 냥,
목단피, 백복령, 택사 각 석 냥,
육계, 부자(싸서 구운 것) 각 한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소금 달인 물로 쉰에서 일흔 알씩 먹는다.
오미자를 더 넣은 것은 신기환이라고 한다(중경).
又治老年水火俱虧, 腎氣虛乏, 下元冷憊, 腰痛脚軟, 夜多漩尿, 面黑口乾, 耳焦枯[入門].
나이가 들어 수화(水火)가 모두 없어지고 신의 기가 허약하고 하원(下元)이 냉하면,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으며 밤에 오줌을 자주 누고 얼굴빛이 검고 입이 마르고

귀가 심하게 마르는데, 이런 것도 치료한다(입문).

[八味丸][팔미환]
治命門火不足陽虛
熟地黃八兩
山藥山茱萸 各四兩
牡丹皮白茯巔澤瀉 各三兩
肉桂附子礐 各一兩
右爲末蜜丸梧子大空心溫酒或鹽湯下五七十丸
若 加 五味子 名曰 [腎氣丸][仲景]
명문(命門)의 화(火)가 부족하고 양(陽)이 허(虛)한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320g,
마, 산수유 각각 160g,
모란껍질(목단피),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각각 120g,
육계, 부자(싸서 구운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
여기에 오미자를 넣은 것을 신기환(腎氣丸)이라고 한다[중경].
又治老年水火俱虧腎氣虛乏下元冷憊腰痛脚軟夜多昖尿
面黑口乾耳焦枯[入門]
늙은이가 수화(水火)가 다 부족하고 신기(腎氣)가 몹시 허하며
하초(下焦)가 허랭하여 허리가 아프고 다리에 힘이 없으며
밤에 오줌을 많이 누고 얼굴빛이 검으며 입이 마르고
귀가 몹시 마르는 것[焦枯]도 치료한다[입문].

[加減八味丸][가감팔미환]
專補腎水 兼補命門火.
熟地黃75g
山藥微炒 山茱萸 各37.5g
澤瀉酒蒸 牧丹皮 白茯苓 各30g
五味子略炒56.5g
肉桂18.75g.
爲末 蜜丸梧子大 五更初未言語時 塩湯 或溫酒下五七十丸.
又晩間空腹再服.
或以此材 細剉煎服.
名曰, [加減八味湯]
주로 신수를 보하는 데 겸해서 명문의 화(火)도 보한다.
찐지황(숙지황) 80g,
마(서여, 약간 닦은 것), 산수유 각각 40g,
택사(술에 축여 찐 것), 모란껍질(목단피),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32g,
오미자(약간 닦은 것) 60g,
육계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이른 새벽 말하기 전에
먹은 다음 저녁 빈속에 또 한번 먹는다[득효].
혹은 이 약재를 잘게 썰어서 달여 먹기도 하는데
그것을 가감팔미탕(加減八味湯)이라고 한다.


[八味理中丸][팔미이중환]
治脾胃虛冷 飮食不消 或腹脹嘔泄
白朮80g, 甘草60g
人參 乾薑 縮砂 白茯苓 神麯 麥芽 各40g.
爲末 蜜和 每40g分作8丸 每一丸 薑湯嚼下(丹心).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80g, 감초 60g,
인삼, 건강, 사인, 흰솔풍령(백복령),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각각 40g.
만드는 방법과 먹는 법은 위와 같다[단심].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貝母丸][패모환]   (0) 2019.02.06
[八味丸][팔미환]  (0) 2019.02.06
[八味補腎丸][팔미보신환]   (0) 2019.02.06
[破積導飮丸][파적도음환]   (0) 2019.02.06
[巴豆丸][파두환]   (0) 2019.02.06

[八味補腎丸][팔미보신환]
治虛勞 補腎 滋陰
熟地黃 兎絲子 各320g
當歸身150g, 肉蓯蓉200g, 山茱萸100g
黃栢 知母並酒炒 各40g
破故紙酒炒20g
爲末 酒糊和 丸梧子大 溫酒 或塩酒 呑下50~70丸(丹心).
허로를 치료하는데 신을 보하고 음을 불쿠어 준다.
찐지황(숙지황), 새삼씨(토사자) 각각 300g,
당귀 140g, 육종용 200g, 산수유 100g,
황백, 지모(다 술로 축여 볶은 것) 각각 40g,
파고지(술로 축여 볶은 것)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을 둔 술로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八味丸][팔미환]  (0) 2019.02.06
[八味理中丸][팔미이중환]  (0) 2019.02.06
[破積導飮丸][파적도음환]   (0) 2019.02.06
[巴豆丸][파두환]   (0) 2019.02.06
[巴豆三稜丸][파두삼릉환]  (0) 2019.02.06

[破積導飮丸][파적도음환]
治水積痰飮積
木香 檳榔 陳皮 靑皮 枳實 枳殼 蓬朮
三菱 半夏 神麴 麥芽 茯苓 乾薑 澤瀉 甘草 各20g
白丑頭末24g, 巴豆30粒去皮心膜油
爲末 薑汁糊和 丸梧子大 薑湯下30~50丸(綱目).
수적과 담음으로 생긴 적을 치료한다.
목향, 빈랑, 귤껍질(陳皮), 선귤껍질(청피), 지실, 지각, 봉출, 삼릉,
끼무릇(반하),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흰솔풍령(적복령), 건강,
택사, 감초 각각 20g,
나팔꽃흰씨(견우자, 맏물가루) 24g,
파두(껍질과 심과 막을 버리고 기름을 뺀다) 30알.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생강즙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八味理中丸][팔미이중환]  (0) 2019.02.06
[八味補腎丸][팔미보신환]   (0) 2019.02.06
[巴豆丸][파두환]   (0) 2019.02.06
[巴豆三稜丸][파두삼릉환]  (0) 2019.02.06
[巴豆三稜丸][파두삼능환]   (0) 2019.02.06

[巴豆丸][파두환]
治卒中風痰塞垂死
巴豆2枚去皮膜 白礬如拇指大一塊
爲末 二味 瓦上煆 令豆焦赤爲度 蜜丸芡實大 每1丸
綿裹 放患人口中 近喉處 良久 吐痰立愈(本事).
갑자기 풍을 맞아서 담(痰)이 막혀 위급해진 것을 치료한다.
파두(껍질을 버린 것) 2알, 백반(엄지손가락만한 것) 1덩이.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기와 위에 놓고 파두가 벌겋게 될 때까지
볶아서 꿀에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솜에 싸서 목구멍 가까이에 넣으면
조금 있다가 담을 토하고 낫는다[본사].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八味補腎丸][팔미보신환]   (0) 2019.02.06
[破積導飮丸][파적도음환]   (0) 2019.02.06
[巴豆三稜丸][파두삼릉환]  (0) 2019.02.06
[巴豆三稜丸][파두삼능환]   (0) 2019.02.06
[巴戟丸][파극환]  (0) 2019.02.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