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含膏丸][함고환]
通治喘嗽
정력子40g
膈紙熬令黑 知母 貝母 各40g
同爲末 以棗肉20g, 別消砂糖60g
和勻 爲丸如彈子大 新綿裹一丸 含之 徐徐嚥津 甚者 不過3丸 效(本草).
천식과 기침을 두루 치료한다.
꽃다지씨(정력자) 40g(종이 위에 놓고 거멓게 되도록 닦은 것),
지모, 패모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대추살 20g과 함께 따로 사탕 60g을 녹인 데 넣고
고루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새 천에 싸서 머금고 천천히 녹여 먹는다.
병이 심하여도 3알을 쓰지 않아 낫는다[본초].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蛤粉丸][합분환]   (0) 2019.02.07
[蛤蚧丸][합개환]   (0) 2019.02.07
[瘧母丸][학모환]  (0) 2019.02.07
[下蟲丸][하충환]   (0) 2019.02.07
[何首烏丸][하수오환]   (0) 2019.02.07

[鱉甲丸][별갑환]
治痎瘧 有瘧母 久不差
鱉甲醋煮40g
三菱 蓬朮 香附子 靑皮 桃仁 紅花 神麴 麥芽 海粉 各20g
爲末 醋糊丸梧子大 白湯下 50~70丸(入門).
一名, [瘧母丸] (丹心).
加 芎歸 赤芍藥 治夜發瘧 名 [陰瘧丸] (入門).
해학( )에 학모까지 있어서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식초에 달인 것) 40g,
삼릉, 봉출, 향부자, 선귤껍질(靑皮),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조가비가루(海粉)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일명 학모환( 母丸)이라고도 한다[단심].
여기에 궁궁이(천궁), 당귀, 함박꽃뿌리(적작약)를 넣어서
밤에 발작하는 학질을 치료하는데 이것을 음학환(陰瘧丸)이라고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蛤蚧丸][합개환]   (0) 2019.02.07
[含膏丸][함고환]  (0) 2019.02.07
[下蟲丸][하충환]   (0) 2019.02.07
[何首烏丸][하수오환]   (0) 2019.02.07
[蓽澄茄丸][필징가환]   (0) 2019.02.07

[下蟲丸][하충환]
治蛔疳
乾蝦蟆灰12g 苦練根皮
貫衆 木香 桃仁 蕪荑 檳榔 各8g
鶴蝨4g, 輕粉2g, 使君子肉50箇
爲末 糊丸 麻子大 每10~20丸 肉汁下(得效).
회감을 치료한다.
두꺼비(하마, 말린 것을 태워 가루낸 것) 12g,
멀구슬나무뿌리껍질(고련근피), 쇠고비(관중), 목향, 복숭아씨(도인),
참느릅나무열매(무이), 빈랑 각각 8g,
담배풀열매(학슬) 4g, 경분 2g, 사군자육 50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고기 삶은 물로 먹인다[득효].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含膏丸][함고환]  (0) 2019.02.07
[瘧母丸][학모환]  (0) 2019.02.07
[何首烏丸][하수오환]   (0) 2019.02.07
[蓽澄茄丸][필징가환]   (0) 2019.02.07
[風疳丸][풍감환]   (0) 2019.02.07

[何首烏丸][하수오환]
延年益壽
取一斤 泔浸 晒乾 切片 以初男乳汁
拌 晒一二次 搗末 棗肉和丸 梧子大 初服二十丸
日加十丸 毋過百丸 空心 溫酒 鹽湯 下
此藥非陽虛甚者 不可單服(入門).
하수오환(何首烏丸)은 오래 살게 한다.
600g을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잘게 썰어서
첫아들을 낳은 어머니의 젖에 버무려 햇볕에 말리기를 한두번 한다.
이것을 가루내어 대추살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첫날에는 20알을 먹고 그 다음부터는
날마다 10알씩 더 먹되 100알 이상은 먹지 말아야 한다.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이 약은 양기가 몹시 허한 사람이 아니면 한 가지 약으로만 먹지 못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瘧母丸][학모환]  (0) 2019.02.07
[下蟲丸][하충환]   (0) 2019.02.07
[蓽澄茄丸][필징가환]   (0) 2019.02.07
[風疳丸][풍감환]   (0) 2019.02.07
[抱甕丸][포옹환]   (0) 2019.02.07

[蓽澄茄丸][필징가환]
治鼻塞不通.
薄荷葉 三錢,
荊芥穗 一錢半,
蓽澄茄 五分.
右末蜜丸, 櫻桃大, 常含化[綱目].
코가 막혀서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박하엽 서 돈,
형개수 한 돈 반,
필징가 닷 푼.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하여
앵도대의 알약을 만들어 늘 입에 머금어 녹여 먹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蟲丸][하충환]   (0) 2019.02.07
[何首烏丸][하수오환]   (0) 2019.02.07
[風疳丸][풍감환]   (0) 2019.02.07
[抱甕丸][포옹환]   (0) 2019.02.07
[抱龍丸][포룡환]   (0) 2019.02.07

[風疳丸][풍감환]
治小兒肝疳雀目.
靑黛, 黃連, 天麻, 五靈脂, 夜明砂, 川芎, 蘆薈 各二錢,
草龍膽, 防風, 蟬殼 各一錢半,
全蝎 二枚,
乾蟾頭 三錢.
右爲末, 猪膽汁浸糕和丸麻子大. 薄荷湯下十丸[入門].
어린아이가 간감(肝疳)으로 작목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청대, 황련, 천마, 오령지, 야명사, 천궁, 노회 각 두 돈,
용담초, 방풍, 선각 각 한 돈 반,
전갈 두 마리,
섬두(마른 것) 서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돼지 쓸개즙에 담가 불린 떡으로 반죽하여
마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열 알씩 박하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何首烏丸][하수오환]   (0) 2019.02.07
[蓽澄茄丸][필징가환]   (0) 2019.02.07
[抱甕丸][포옹환]   (0) 2019.02.07
[抱龍丸][포룡환]   (0) 2019.02.07
[布袋丸][포대환]   (0) 2019.02.06

[抱甕丸][포옹환]
治血蠱 及婦人鬼胎 如抱一甕
芫花 吳茱萸 川烏 秦艽 柴胡 白疆蠶 巴戟 巴豆 各等分
爲末 蜜丸梧子大 每7丸 蜜酒呑下 惡物立出而愈(入門).
혈고와 부인이 귀태(鬼胎)로 배가 독을 안고 있는 것만하게 된 것을 치료한다.
원화, 오수유, 오두, 진교, 시호, 백강잠, 파극, 파두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봉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알씩 꿀을 탄 술로 먹으면 궂은 것이 곧 나오고 낫는다[입문].
輕者 去 洑花 巴豆 巴戟 三味 名曰 [斬鬼丹][丹心]
경(輕)한 데는 원화, 파두, 파극(巴戟) 등 3가지를 빼고 쓰는데
이것을 참귀단(斬鬼丹)이라고도 한다[단심].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蓽澄茄丸][필징가환]   (0) 2019.02.07
[風疳丸][풍감환]   (0) 2019.02.07
[抱龍丸][포룡환]   (0) 2019.02.07
[布袋丸][포대환]   (0) 2019.02.06
[抱膽丸][포담환]  (0) 2019.02.06

[抱龍丸][포룡환]
治驚風 潮搐 身熱 昏睡 能下痰熱 乃心肺肝藥也
牛膽製南星40g(無膽星則只取生者)
剉炒熟用之 天竺黃20g
雄黃 朱砂各10g 麝香4g 爲末 煮甘草膏和
丸皂莢子大[一云芡實大] 溫水化下 100日內兒 1丸 作三次服
五歲兒 1~2丸服 臘雪水煮甘草和藥 尤佳(錢乙).
경풍으로 일정한 시간에 경련이 일고 몸에 열이 나고
혼곤해서 잠만 자는 것을 치료한다.
담열을 없애는데 심, 폐, 간의 병에 쓰는 약이다.
우담남성 40g (우담남성이 없으면 천남성 생것을 썰어서 볶아 익혀서 쓴다),
천축황 20g, 석웅황(웅황), 주사 각각 10g, 사향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감초를 달여 고약처럼 된 것으로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만하게(가시연밥만하게 한 데도 있다) 알약을 만든다.
100일 전의 어린이에게는 1알씩 세번 따뜻한 물에 풀어 먹이고
5살 난 어린이에게는 1-2알씩 먹인다.
납설수(臘雪水)에 감초를 넣고 달여 고약을 만들어 반죽하면 더욱 좋다[전을].
抱者 保也 龍者 肝也
肝爲母 心爲子 母安則子安 況心臟神 肝藏魂 神昏旣定 驚從何生(丹心)
포(抱)는 보호하는 뜻이고 용(龍)은 간(肝)을 말한 것이다.
간은 어머니격이고 심(心)은 아들격이므로 어머니가 편안하면 아들도 편안하다.
심은 신(神)을 간직하고 간은 혼(魂)을 간직하는데
신과 혼이 편안하면 경풍이 생기지 않게 된다[단심].

[牛黃抱龍丸][우황포룡환]
治急慢驚風 痰嗽潮搐 能鎭驚安神
牛膽南星40g, 天竺黃20g
雄黃 辰砂 各10g
麝香 眞珠 琥珀 各4g
牛黃2g, 金箔10片
爲細末 水煮甘草膏和 丸芡實大 金箔爲衣
每三歲兒服一丸 五歲二丸 十歲服3~5丸
薄荷湯化下.
此方 與上急驚風鎭驚丸 同而錢數異(醫鑒).
급경풍과 만경풍으로 담이 있는 기침을 하며
일정한 시간에 경련이 이는 것을 치료한다.
경풍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우담남성 40g, 천축황 20g,
석웅황(웅황), 주사 각각 10g,
사향, 진주, 호박 각각 4g,
우황 2g, 금박 10장.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감초를 물에 두고
달여 고약처럼 만든 것으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금박으로 옷을 입힌다.
3살 난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1알씩,
5살 난 어린이에게는 2알씩, 10살 난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3-5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의감].
이 처방은 위의 진경환(鎭驚丸)과 같으나 용량이 다르다[의감].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疳丸][풍감환]   (0) 2019.02.07
[抱甕丸][포옹환]   (0) 2019.02.07
[布袋丸][포대환]   (0) 2019.02.06
[抱膽丸][포담환]  (0) 2019.02.06
[肺風丸][폐풍환]  (0) 2019.02.06

[布袋丸][포대환]
治丁奚 哺露 無辜疳
夜明砂 蕪荑 使君子 各80g
蘆薈 人蔘 白朮 白茯苓 甘草 各20g
爲末 湯浸蒸餠和 丸彈子大 每一丸 用絹袋盛之 次用精猪肉80g同煮
候肉爛熟 起藥掛 風前陰乾 只用肉和汁與兒食之 次日依前者 服藥盡爲度(入門).
정해감, 포로감, 무고감 등을 치료한다.
야명사, 참느릅나무열매(무이), 사군자 각각 80g,
노회,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끓는 물에 담근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비단주머니에 넣은 다음 돼지살코기 80g과 같이 달여
고기가 푹 물렀으면 약을 꺼낸다.
이것을 그늘진 바람받이에 매달아서 말린 다음
고기만을 국물에 넣어 아이에게 먹인다.
다음날도 먼저와 같이 달여 먹이되 약이 다 없어질 때까지 먹인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抱甕丸][포옹환]   (0) 2019.02.07
[抱龍丸][포룡환]   (0) 2019.02.07
[抱膽丸][포담환]  (0) 2019.02.06
[肺風丸][폐풍환]  (0) 2019.02.06
[平즉丸][평즉환]   (0) 2019.02.06

[抱膽丸][포담환]
治一切癲癎風狂, 或因驚怖所致.
先將黑鉛二兩半入銚熔化, 次下水銀二兩,

候結成砂子, 再下朱砂乳香末各一兩, 乘熱用柳木槌硏勻, 丸如芡實大.

每一丸, 空心井水呑下, 病者得睡, 切莫驚動, 覺來卽安. 再服一丸, 可除根.
여러 전간과 풍광(風狂), 혹은 놀라고 두려워하여 생긴 병을 치료한다.
먼저 흑연 두 냥 반을 쇠그릇에 넣어 녹인 다음 수은 두 냥을 넣는다.
수은이 모래알같이 뭉치면 다시 주사와 유향가루를 한 냥씩 넣고 뜨거울 때

버드나무 방망이로 고르게 갈아서 감실대의 알약을 만들어, 한 알씩 빈속에 정화수로 먹는다.
환자가 잠이 들면 놀라거나 시끄럽게 하여서는 안 된다.

잠에서 깨면 편안해지는데, 다시 한 알을 더 먹으면 병의 뿌리까지 뽑을 수 있다.
昔忠懿王之子得心疾, 合此藥, 偶有一風犬, 飼之卽甦,

因破犬腹視之, 則其藥抱犬膽, 故因名之[經驗方].
옛날에 충의왕의 아들이 심(心)에 병이 있었는데, 이 약이 그 병에 맞았다.
그런데 마침 미친개[風犬]가 있어 이 약을 먹였더니 나았는데, 개의 배를 열어보니

약이 개의 쓸개[膽]를 싸고[抱] 있었기 때문에 약의 이름을 포담환이라고 한 것이다(경험방).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抱龍丸][포룡환]   (0) 2019.02.07
[布袋丸][포대환]   (0) 2019.02.06
[肺風丸][폐풍환]  (0) 2019.02.06
[平즉丸][평즉환]   (0) 2019.02.06
[平補枳朮丸][평보지출환]   (0) 2019.02.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