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虛痢][허리]
氣弱困倦, 穀食難化, 腹微痛, 或大痛, 並無努責[入門].

허리(虛痢)는 기운이 약하여 피곤하며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고 배가 약간 아픈데,

간혹 크게 아프기도 하고 아울러 힘을 쓸 수가 없다(입문).
滑痢與虛痢同, 虛滑不禁, 甚則氣血俱脫.

血虛, 四物湯 加 人蔘 , 白朮, 地楡, 樗白皮.

氣虛, 眞人養藏湯[入門].

활리는 허리와 같은 것으로, 허하여 설사가 줄줄 나는 것을 참을 수가 없고

심하면 기혈(氣血)이 모두 빠져나가게 된다.

혈허에는 사물탕에 인삼, 백출, 지유, 저백피를 넣어 쓰고,

기허에는 진인양장탕을 쓴다(입문).
氣虛, 色白如鼻涕, 凍膠. 理中湯 加 木香, 肉桂, 厚朴, 赤茯苓[入門].

기가 허하여 설사가 콧물이나 엉겨붙은 아교처럼 흰빛을 띠면

이중탕에 목향, 육계, 후박, 적복령을 넣어 쓴다(입문).
如力倦, 自覺氣少惡食, 此爲挾虛證, 宜用補氣血之藥, 虛廻而痢自止[丹心].

피곤하고 기운이 없다고 느끼고 먹기 싫어하는 것은

허증을 겸한 것으로, 이런 데는 기혈을 보하는 약을 쓴다.

허한 것이 회복되면 이질은 저절로 그친다(단심).
痢疾日久, 氣血虛弱, 宜用八物湯 方見虛勞, 補中益氣湯 方見內傷[回春].

이질이 오래되어 기혈이 허약해지면 팔물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쓴다(회춘).
痢稍久者不可下, 胃虛故也.

調中理氣湯, 加味香連丸, 擇用之[醫鑑].

이질이 오래될수록 설사시키지 말아야 하는데, 이는 위(胃)가 허해지기 때문이다.

조중이기탕, 가미향련환 중에서 골라 쓴다(의감).
久痢五虛證, 危困者, 宜大斷下丸.

五虛者, 脈細, 皮寒, 氣少, 泄利前後, 飮食不入, 是也.

如漿粥入胃泄注止, 則虛者活矣[得效].

오래된 이질에 다섯 가지 허한 증으로 위태롭고 피곤한 데는 대단하환을 쓴다.

다섯 가지 허증이란 맥이 세(細)한 것, 피부가 찬 것[皮寒], 숨쉬는 기운이 약한 것[氣少],

설사를 하면서 오줌이 함께 나오는 것[泄利前後],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飮食不入]이다.

미음이나 죽이 위에 들어가 설사가 멈추면 허하더라도 살 수 있다(득효).
虛寒痢脫肛, 宜訶子皮散[東垣].
허리와 한리(寒痢)로 항문이 빠져나온 데는 가자피산을 쓴다(동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久痢][구리]   (0) 2019.12.27
[積痢][적리]  (0) 2019.12.27
[氣痢][기리]  (0) 2019.12.27
[熱痢][열리]   (0) 2019.12.27
[濕痢][습리]   (0) 2019.12.27

[氣痢][기리]
氣痢, 狀如蟹渤, 拘急獨甚, 宜茱連丸 方見上, 氣痢丸, 牛乳湯.
기리는 게거품[蟹渤]과 같은 것을 설사하는데, 속이 당기고 대변이 급한 것이 유독 심하다.
수련환(처방은 앞에 있다), 기리환, 우유탕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積痢][적리]  (0) 2019.12.27
[虛痢][허리]  (0) 2019.12.27
[熱痢][열리]   (0) 2019.12.27
[濕痢][습리]   (0) 2019.12.27
[寒痢][한리]   (0) 2019.12.27

[熱痢][열리]
熱痢與暑痢同. 大凡痢疾, 多因伏暑而得, 但背寒面垢,

或面如塗油, 齒乾煩寃, 燥渴引飮, 皆暑證也.

不宜輕用附子等熱藥, 宜酒蒸黃連丸 方見血門[得效]
열리는 서리(暑痢)와 같은 것이다.

대개 이질은 여름철에 더위를 먹어서[伏暑] 생기는 경우가 많다.

다만 등이 차고 얼굴에 때가 낀 것 같거나 기름을 바른 것 같으며,

이가 마르고 가슴이 답답하고 번거로우며 목이 몹시 말라 물을 자꾸 마시는 것이

모두 더위를 먹어서 생기는 서증(暑證)이다.

그러므로 부자와 같이 뜨거운 약을 함부로 써서는 안 되고

주증황련환(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쓴다(득효).  
其冷熱蘊積腸胃間, 滑泄垢膩者, 名腸垢, 卽熱痢也[類聚].
냉열(冷熱)이 장위(腸胃) 사이에 쌓여서 때 기름이 낀 설사를 줄줄 하는 것을

장구(腸垢)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열리이다(유취).
偏熱純赤, 見暑證輕者, 黃芩芍藥湯.

重者, 導滯湯. 日久者, 黃連阿膠湯[入門].
열만 나고 새빨간 변이 나오는 것은 서증인데, 가벼운 증상에는 황금작약탕을 쓰고,

중(重)한 증상에는 도체탕, 오래되었으면 황련아교탕을 쓴다(입문).
挾熱下痢者, 身熱口渴, 小便澁少, 大便急痛, 所下黃赤色[入門].
열이 낀 이질은 몸에 열이 나고 갈증이 나며 오줌이 껄끄럽고 잘 나오지 않으며

대변이 급하게 나오면서 아픈데, 누르스름하면서 벌건 설사를 한다(입문).
熱痢, 黃芩芍藥湯最妙[入門].
열리에는 황금작약탕이 가장 좋다(입문).
下痢壯熱, 須用倉廩湯[直指].
이질로 고열이 나는 데는[壯熱] 창름탕을 쓴다(직지).
下痢欲飮水, 有熱故, 宜白頭翁湯 方見寒門[仲景].
이질에 물을 마시려 하는 것은 열이 있기 때문이다.

백두옹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중경).
熱痢, 宜烏梅丸, 寧胃散加當歸 方見下.

열리에는 오매환을 쓰거나 영위산에 당귀를 넣어 쓴다(처방은 뒤에 있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痢][허리]  (0) 2019.12.27
[氣痢][기리]  (0) 2019.12.27
[濕痢][습리]   (0) 2019.12.27
[寒痢][한리]   (0) 2019.12.27
[風痢][풍리]   (0) 2019.12.27

[濕痢][습리]
濕痢, 腹脹身重, 下如黑豆汁, 或赤黑渾濁, 此危證也,

宜當歸和血散 方見後陰, 加味除濕湯, 戊己丸[入門].
습리(濕痢)는 배가 그득하게 불러오고 몸이 무거우며,

설사가 마치 검은콩의 즙과 같거나 검붉은 것이 탁하게 섞여나오는 것인데,

이것은 위급한 증상이다.

이런 데는 당귀화혈산(처방은 후음문에 있다), 가미제습탕, 무기환을 쓴다(입문).
下痢如豆汁者, 濕也.

盖脾胃爲水穀之海, 常兼四藏, 故有五色之相雜, 當先通利, 此迎而奪之之義也[丹心].
이질에 콩즙과 같이 설사하는 것은 습(濕) 때문이다.

비위(脾胃)는 음식물이 모이는 곳으로[水穀之海], 항상 나머지 네 장(臟)[肝, 心, 肺, 腎]의

기운을 끼고 있기 때문에 다섯 가지 색이 서로 뒤섞이게 된다.

이때는 먼저 설사를 시켜야 하는데,

이것은 받아들여서 빼앗는다[迎而奪之]는 의미이다(단심).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痢][기리]  (0) 2019.12.27
[熱痢][열리]   (0) 2019.12.27
[寒痢][한리]   (0) 2019.12.27
[風痢][풍리]   (0) 2019.12.27
[痢疾諸證][이질제증]   (0) 2019.12.26

[寒痢][한리]
寒痢白如鴨溏, 腸鳴, 痛墜不甚, 宜理中湯 方見寒門 加訶子肉豆蔲.

日久者, 黃連補腸湯[入門].
한리는 대변이 집오리 똥처럼 허옇고 배에서 소리가 나고

뒤가 무직하게[痛墜] 아픈데, 심하지는 않다.
이중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에 가자·육두구를 넣어 쓴다.
오래된 한리에는 황련보장탕을 쓴다(입문).
寒痢, 宜赤石脂散.
한리에는 적석지산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熱痢][열리]   (0) 2019.12.27
[濕痢][습리]   (0) 2019.12.27
[風痢][풍리]   (0) 2019.12.27
[痢疾諸證][이질제증]   (0) 2019.12.26
[久泄成痢][구설성리]   (0) 2019.12.26

[風痢][풍리]
風痢, 惡風鼻塞, 身重色靑, 或純下淸水.

宜蒼朮防風湯 方見上[入門].
풍리는 바람을 싫어하고 코가 막히고 몸이 무거우며

대변의 색이 푸르거나 멀건 물만 나오는[純下淸水] 것인데,

창출방풍탕(처방은 앞에 있다)을 쓴다(입문).
風痢所下, 似痢非痢, 似血非血.

宜倉廩湯方見上[得效].
풍리로 하는 설사는 이질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며,

피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한데, 창름탕(처방은 앞에 있다)을 쓴다(득효).
風痢, 宜胃風湯 方見上, 露宿湯.
풍리에는 위풍탕(처방은 앞에 있다), 노숙탕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濕痢][습리]   (0) 2019.12.27
[寒痢][한리]   (0) 2019.12.27
[痢疾諸證][이질제증]   (0) 2019.12.26
[久泄成痢][구설성리]   (0) 2019.12.26
[瀉與痢不同][사여이부동]   (0) 2019.12.26

[痢疾諸證][이질제증]
滯下之證, 內經所載, 有血溢血泄血便注下, 古方則有淸膿血及泄下,

近世並呼爲痢疾, 其實一也[三因].
이질의 병증으로 내경에는 혈일, 혈설, 혈변, 주하가 실려 있고,

고방(古方)에는 청농혈, 설하가 있으며,

요즈음에 와서야 이 모든 것을 이질이라 부르게 되었는데, 실질적으로는 하나이다(삼인).
痢有 赤痢, 白痢, 赤白痢, 水穀痢 , 膿血痢, 噤口痢, 休息痢, 風痢, 寒痢, 濕痢, 熱痢,

氣痢, 虛痢, 滑痢, 積痢, 久痢, 疫痢, 蠱疰痢, 五色痢.
이질에는 적리, 백리, 적백리, 수곡리, 농혈리, 금구리, 휴식리, 풍리, 한리, 습리, 열리,

기리, 허리, 활리, 적리, 구리, 역리, 고주리, 오색리가 있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痢][한리]   (0) 2019.12.27
[風痢][풍리]   (0) 2019.12.27
[久泄成痢][구설성리]   (0) 2019.12.26
[瀉與痢不同][사여이부동]   (0) 2019.12.26
[泄瀉宜用升陽之藥]설사의용승양지약]  (0) 2019.12.26

[久泄成痢][구설성리]
太陰經受濕, 而爲水泄虛滑, 身重微滿, 不知穀味, 久則傳變而爲膿血痢[機要].

태음경이 습사(濕邪)를 받아서 물 같은 설사[水泄]가 힘없이 줄줄 나오면

몸이 무겁고 뱃속이 약간 그득하며 밥맛을 모르는데, 오래되면 변하여 농혈리가 된다(기요).
夫痢者, 皆由榮衛不和, 腸胃虛弱, 冷熱之氣乘虛, 客於腸胃之間, 泄而爲痢也[類聚].

이질은 영위(榮衛)가 고르지 못하고 장위(腸胃)가 허약하여 생기는데,

냉기나 열기가 그 허한 틈을 타 장위로 침입하게 되면 설사를 하여 이질이 된다(유취).
飮食不節, 起居不時, 損其胃氣, 則上乘精微之氣反下降, 是爲飱泄,

久則太陰傳少陰而爲腸澼[東垣].

음식을 먹는데 절도가 없고 생활이 불규칙하여 위기를 손상하게 되면

위로 올라가야 할 정미로운 기운이 도리어 아래로 내려가서 손설(飱泄)이 된다.

이것이 오래되면 태음(太陰)에서 소음(少陰)으로 전해져 장벽(腸澼)이 된다(동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痢][풍리]   (0) 2019.12.27
[痢疾諸證][이질제증]   (0) 2019.12.26
[瀉與痢不同][사여이부동]   (0) 2019.12.26
[泄瀉宜用升陽之藥]설사의용승양지약]  (0) 2019.12.26
[久泄][구설]  (0) 2019.12.25

[瀉與痢不同][사여이부동]
泄瀉之證, 水穀或化或不化, 幷無努責, 惟覺困倦.

若滯下則不然, 或膿或血, 或膿血相雜, 或腸垢, 或無糟粕, 或糟粕相雜,

雖有痛不痛之異, 而皆裏急後重, 逼迫惱人, 赤白交下爲異[丹心].
설사의 병증은 음식물이 소화가 되었거나 소화가 되지 않았거나

설사를 할 때 힘들이지 않고 나오면서 피곤함과 나른함만 느낀다.

그러나 이질[滯下]은 그렇지 않아서 이질에 고름[膿]이나 피, 피고름이 섞여나오며

혹은 점액 같은 곱이 나오기도 하고,

혹은 설사에 찌꺼기가 없거나 찌꺼기가 섞여나오기도 하고,

아프기도 하고 아프지 않기도 한 차이는 있지만,

이질은 모두 아랫배가 무지근하고 뒤가 무직하며

자꾸 대변을 보고 싶어 괴롭고 피고름이 번갈아 나오는 점이 다르다(단심).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痢疾諸證][이질제증]   (0) 2019.12.26
[久泄成痢][구설성리]   (0) 2019.12.26
[泄瀉宜用升陽之藥]설사의용승양지약]  (0) 2019.12.26
[久泄][구설]  (0) 2019.12.25
[暴泄][폭설]   (0) 2019.12.25

[泄瀉宜用升陽之藥]설사의용승양지약]
暑月霖雨時, 人多病泄瀉, 乃濕多成五泄故也.

內經曰, 在下者, 引而竭之.

又曰, 治濕不利小便, 非其治也.

法當以淡滲之劑利之, 然客邪寒濕之勝, 自外入裏而甚暴,

若用利小便之藥, 則是降之又降, 復益其陰, 而重竭其陽也.

以升陽之藥, 是爲宜耳.
羌活, 獨活, 升麻 各一錢半, 防風, 甘草 灸 各一錢.
右剉, 水煎服, 卽愈.

大法曰, 寒濕之勝, 助風以平之.

又曰, 下者擧之. 正謂此也[東垣].
여름 장마철에 사람들이 설사를 많이 하는 것은 습(濕)이 많아서 오설(五泄)이 생기기 때문이다.

내경에서는 "아래에 있는 것은 끌어올려 말려야 한다"고 하였고,

또 "습(濕)을 치료하였는데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 올바른 치료 방법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따라서 올바른 치료 방법은 마땅히 삼습(滲濕)하는 약으로 오줌을 잘 나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습(寒濕)의 왕성한 사기가 침입하여 밖에서 안으로 들어와서 설사가 갑자기

심하게 날 때 오줌을 잘 나가게 하는 약을 쓰면 이것은 내려가는 것을 더욱 내려보내고

음(陰)을 다시 더하여 양(陽)을 더욱 마르게 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양(陽)을 끌어올리는[升陽] 약을 쓰는 것이 마땅하다.
강활·독활·승마 각 한 돈 반, 방풍, 감초(구운 것)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물에 달여 먹으면 바로 낫는다.

대법에서 "한습(寒濕)이 왕성할 때는 풍(風)을 도와주어 한습을 다스려야 한다"고

한 것과 "내려간 것은 끌어올려야 한다"고 한 것이 바로 이 말이다(동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久泄成痢][구설성리]   (0) 2019.12.26
[瀉與痢不同][사여이부동]   (0) 2019.12.26
[久泄][구설]  (0) 2019.12.25
[暴泄][폭설]   (0) 2019.12.25
[腎泄][신설]  (0) 2019.1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