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熱痢][열리]
熱痢與暑痢同. 大凡痢疾, 多因伏暑而得, 但背寒面垢,
或面如塗油, 齒乾煩寃, 燥渴引飮, 皆暑證也.
不宜輕用附子等熱藥, 宜酒蒸黃連丸 方見血門[得效].
열리는 서리(暑痢)와 같은 것이다.
대개 이질은 여름철에 더위를 먹어서[伏暑] 생기는 경우가 많다.
다만 등이 차고 얼굴에 때가 낀 것 같거나 기름을 바른 것 같으며,
이가 마르고 가슴이 답답하고 번거로우며 목이 몹시 말라 물을 자꾸 마시는 것이
모두 더위를 먹어서 생기는 서증(暑證)이다.
그러므로 부자와 같이 뜨거운 약을 함부로 써서는 안 되고
주증황련환(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쓴다(득효).
其冷熱蘊積腸胃間, 滑泄垢膩者, 名腸垢, 卽熱痢也[類聚].
냉열(冷熱)이 장위(腸胃) 사이에 쌓여서 때 기름이 낀 설사를 줄줄 하는 것을
장구(腸垢)라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열리이다(유취).
偏熱純赤, 見暑證輕者, 黃芩芍藥湯.
重者, 導滯湯. 日久者, 黃連阿膠湯[入門].
열만 나고 새빨간 변이 나오는 것은 서증인데, 가벼운 증상에는 황금작약탕을 쓰고,
중(重)한 증상에는 도체탕, 오래되었으면 황련아교탕을 쓴다(입문).
挾熱下痢者, 身熱口渴, 小便澁少, 大便急痛, 所下黃赤色[入門].
열이 낀 이질은 몸에 열이 나고 갈증이 나며 오줌이 껄끄럽고 잘 나오지 않으며
대변이 급하게 나오면서 아픈데, 누르스름하면서 벌건 설사를 한다(입문).
熱痢, 黃芩芍藥湯最妙[入門].
열리에는 황금작약탕이 가장 좋다(입문).
下痢壯熱, 須用倉廩湯[直指].
이질로 고열이 나는 데는[壯熱] 창름탕을 쓴다(직지).
下痢欲飮水, 有熱故, 宜白頭翁湯 方見寒門[仲景].
이질에 물을 마시려 하는 것은 열이 있기 때문이다.
백두옹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중경).
熱痢, 宜烏梅丸, 寧胃散加當歸 方見下.
열리에는 오매환을 쓰거나 영위산에 당귀를 넣어 쓴다(처방은 뒤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