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虛痢][허리]
氣弱困倦, 穀食難化, 腹微痛, 或大痛, 並無努責[入門].

허리(虛痢)는 기운이 약하여 피곤하며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고 배가 약간 아픈데,

간혹 크게 아프기도 하고 아울러 힘을 쓸 수가 없다(입문).
滑痢與虛痢同, 虛滑不禁, 甚則氣血俱脫.

血虛, 四物湯 加 人蔘 , 白朮, 地楡, 樗白皮.

氣虛, 眞人養藏湯[入門].

활리는 허리와 같은 것으로, 허하여 설사가 줄줄 나는 것을 참을 수가 없고

심하면 기혈(氣血)이 모두 빠져나가게 된다.

혈허에는 사물탕에 인삼, 백출, 지유, 저백피를 넣어 쓰고,

기허에는 진인양장탕을 쓴다(입문).
氣虛, 色白如鼻涕, 凍膠. 理中湯 加 木香, 肉桂, 厚朴, 赤茯苓[入門].

기가 허하여 설사가 콧물이나 엉겨붙은 아교처럼 흰빛을 띠면

이중탕에 목향, 육계, 후박, 적복령을 넣어 쓴다(입문).
如力倦, 自覺氣少惡食, 此爲挾虛證, 宜用補氣血之藥, 虛廻而痢自止[丹心].

피곤하고 기운이 없다고 느끼고 먹기 싫어하는 것은

허증을 겸한 것으로, 이런 데는 기혈을 보하는 약을 쓴다.

허한 것이 회복되면 이질은 저절로 그친다(단심).
痢疾日久, 氣血虛弱, 宜用八物湯 方見虛勞, 補中益氣湯 方見內傷[回春].

이질이 오래되어 기혈이 허약해지면 팔물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쓴다(회춘).
痢稍久者不可下, 胃虛故也.

調中理氣湯, 加味香連丸, 擇用之[醫鑑].

이질이 오래될수록 설사시키지 말아야 하는데, 이는 위(胃)가 허해지기 때문이다.

조중이기탕, 가미향련환 중에서 골라 쓴다(의감).
久痢五虛證, 危困者, 宜大斷下丸.

五虛者, 脈細, 皮寒, 氣少, 泄利前後, 飮食不入, 是也.

如漿粥入胃泄注止, 則虛者活矣[得效].

오래된 이질에 다섯 가지 허한 증으로 위태롭고 피곤한 데는 대단하환을 쓴다.

다섯 가지 허증이란 맥이 세(細)한 것, 피부가 찬 것[皮寒], 숨쉬는 기운이 약한 것[氣少],

설사를 하면서 오줌이 함께 나오는 것[泄利前後],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飮食不入]이다.

미음이나 죽이 위에 들어가 설사가 멈추면 허하더라도 살 수 있다(득효).
虛寒痢脫肛, 宜訶子皮散[東垣].
허리와 한리(寒痢)로 항문이 빠져나온 데는 가자피산을 쓴다(동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久痢][구리]   (0) 2019.12.27
[積痢][적리]  (0) 2019.12.27
[氣痢][기리]  (0) 2019.12.27
[熱痢][열리]   (0) 2019.12.27
[濕痢][습리]   (0) 2019.12.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