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火泄][화설]
卽熱泄也. 口乾喜冷, 痛一陣瀉一陣, 其來暴速, 稠粘.

宜黃連香薷散 方見暑門 合四苓散加白芍藥梔子炒[入門].
화설은 곧 열설(熱泄)이다.

입이 마르고 찬 것을 좋아하며, 배가 한 번 아플 때마다 한 번씩 설사를 하는데

설사하는 것이 갑작스럽고 끈적끈적[粘稠]하다.

황련향유산(처방은 서문에 있다)에 사령산을 합방하고,

백작약, 치자(볶은 것)를 더 넣어 쓴다(입문).
腹中痛, 痛一陣瀉一陣, 所下如湯, 後重如滯,

瀉下赤色, 小便赤澁, 煩渴脈數, 宜萬病四苓散[回春].
배가 아프며 아플 때마다 설사를 한 번씩 하는데,

물을 쏟는 듯하고 뒤가 막힌 것처럼 무직하며 설사한 변의 색이 붉고,

오줌은 붉으면서 껄끄러우며 갈증이 심하고 맥삭(脈數)한 데는 만병사령산을 쓴다(회춘).
腹痛瀉水腸鳴, 痛一陣瀉一陣者, 是火, 四苓散加木通滑石黃芩梔子[丹心].
배가 아프면서 물 설사를 하고 뱃속에서 꾸룩꾸룩 소리가 나며,

배가 한 번 아플 때마다 한 번씩 설사를 하는 것은 화(火) 때문이다.

사령산에 목통·활석·황금·치자를 넣어 쓴다(단심).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滑泄][활설]   (0) 2019.12.24
[虛泄][허설]   (0) 2019.12.24
[暑泄][서설]   (0) 2019.12.24
[寒泄][한설]   (0) 2019.12.24
[風泄][풍설]  (0) 2019.12.24

[暑泄][서설]
煩渴尿赤, 暴瀉如水, 宜薷苓湯加白芍藥車前子, 或桂苓甘露飮[入門].

갈증이 심하게 나고 오줌이 붉으며 갑자기 물 같은 설사를 하는 데는

유령탕에 백작약·차전자를 더 넣어 쓰거나 계령감로음을 쓴다(입문).

夏月暴瀉如水, 面垢脈虛, 煩渴自汗, 香薷散 方見暑門

合異功散 方見五藏 加白芍藥車前子入陳米炒百粒烏梅一箇燈心一團同煎服[回春].

여름철에 갑자기 물과 같은 설사를 하고

얼굴에 때가 낀 것 같으며 맥이 허하고

심한 갈증이 나며 저절로 땀이 나는 데는

향유산(처방은 서문에 있다)에

이공산(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을 합방하고

백작약, 차전자와 묵은쌀(볶은 것) 백 알, 오매 한 개,

등심 한 움큼을 더 넣어 같이 달여 먹는다(회춘).

暑泄, 宜麴朮元, 淸六丸, 通苓散, 益元散, 六和湯, 淸暑益氣湯 三方並見暑門. 

서설에는 국출원, 청륙환, 통령산, 익원산, 육화탕,

청서익기탕(이 세 가지 처방은 모두 서문(暑門)에 있다)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泄][허설]   (0) 2019.12.24
[火泄][화설]   (0) 2019.12.24
[寒泄][한설]   (0) 2019.12.24
[風泄][풍설]  (0) 2019.12.24
[濕泄][습설]  (0) 2019.12.24

[寒泄][한설]
惡寒身重, 腹脹切痛, 雷鳴鴨溏, 淸冷完穀不化, 宜理中湯加赤茯苓厚朴.

或治中湯 方見寒門 加縮砂[入門].

한설은 오한이 나고 몸이 무거우며, 배가 불러오르면서 끊어지듯 아프고,

꾸룩꾸룩 소리가 나고 거위 똥 같은 묽은 변을 보며 속이 차서 소화가 되지 않은 변이 나오는데,

이중탕에 적복령, 후박을 넣어 쓰거나,

치중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축사를 넣어 쓴다(입문).

寒自利不渴, 曰鴨溏, 亦曰鶩溏.

所下淸白, 如鴨屎狀也[入門].

한사(寒邪)가 들어와 설사가 나면서 갈증이 없는 것을 압당이라고 하는데,

목당이라고도 한다.

이 설사는 묽고 허연 것이 오리 똥[鴨屎] 모양 같다(입문).

寒泄, 一名鶩溏, 大便如水,

宜附子溫中湯, 或平胃散 方見五藏 合理中湯[入門].

한설(寒泄)은 목당이라고도 하는데, 대변이 물 같다.

부자온중탕이나 평위산(처방은 오장문에 있다)에 이중탕을 합방하여 쓴다(입문).

寒泄, 宜四柱散, 六柱散.

한설에는 사주산, 육주산을 쓴다.

寒泄, 須早晩服藥.

盖平朝服煖藥, 到夜藥力已盡, 無以敵一夜陰氣, 所以無效, 故臨臥再服, 可也[丹心].

한설에는 반드시 아침과 저녁 늦게 약을 먹어야 한다.

왜냐하면 아침에 따뜻한 약을 먹은 것이 밤이 되면 약 기운이 다하여

한밤의 음기를 당해내지 못하기 때문에 효과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잠잘 무렵에 또 먹어야 한다(단심).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火泄][화설]   (0) 2019.12.24
[暑泄][서설]   (0) 2019.12.24
[風泄][풍설]  (0) 2019.12.24
[濕泄][습설]  (0) 2019.12.24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風泄][풍설]
惡風自汗, 或帶淸血.

由春傷風夏感濕而發動, 故其瀉暴[入門].

풍설은 바람을 싫어하고 저절로 땀이 나며 가끔 대변에 선명한 피[鮮血]가 섞여나온다.

봄에 풍사(風邪)에 상하였던 것이

여름에 습사(濕邪)를 받아 발병하기 때문에 설사를 하는 것이 급작스럽다(입문).

風邪入於腸胃, 故大便不聚而瀉[直指].

풍사가 장위(腸胃)에 들어갔기 때문에 대변이 뭉쳐지지 않고 설사를 하는 것이다(직지).

瀉而便帶淸血, 宜胃風湯[回春].

설사를 하면서 변에 선혈[淸血]이 섞여 있을 때는 위풍탕을 쓴다(회춘).

風邪內縮, 宜桂枝麻黃湯汗之 方見寒門[綱目].

풍사가 몸 안에 움츠리고 있을 때는 계지마황탕으로 땀을 내야 한다(처방은 한문에 있다)(강목).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暑泄][서설]   (0) 2019.12.24
[寒泄][한설]   (0) 2019.12.24
[濕泄][습설]  (0) 2019.12.24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0) 2019.12.24

[濕泄][습설]
卽濡泄也, 亦名洞泄.

其證如水傾下, 腸鳴身重, 腹不痛[入門].

습설은 바로 유설(濡泄)인데, 통설(洞泄)이라고도 한다.

그 증상은 물이 쏟아지듯 설사를 하고 배에서 소리가 나며 몸이 무거운데,

배는 아프지 않다(입문).

左傳曰, 雨淫腹疾是也.

춘추좌씨전에서 "습[雨]이 지나치면 배에 병이 생긴다"고 한 것이 이것이다.

寒濕傷於脾胃, 不能腐熟水穀, 故洞泄如水, 謂之濡泄.

胃苓湯加草豆蔲主之[綱目].

한습(寒濕)에 비위가 상하면 음식물을 소화시킬 수 없기 때문에

물과 같은 설사[洞泄]를 하게 되는데, 이를 유설이라고 한다.

위령탕에 초두구를 더 넣은 것이 주치한다(강목).

濕瀉身痛, 五苓散加羌活蒼朮[得效].

습사로 몸이 아픈 데는 오령산에 강활과 창출을 더 넣어 쓴다(득효).

水穀不化, 淸濁不分, 是濕泄也[回春].

음식물을 소화시키지 못하여 대소변[淸濁]이 나눠지지 않는 것이 습설(濕泄)이다(회춘).

凡瀉水腹不痛, 是濕泄.

宜麴芎丸[本事].

물 설사[瀉水]가 나지만 배가 아프지 않는 것은 습설이다.

국궁환을 쓴다(본사방).

大渴引飮, 因致水穀一時倂下.

宜五苓散[易老].

목이 몹시 마를 때 물을 들이키게 되면 물과 음식이 한꺼번에 나오는 설사가 생긴다.

오령산을 쓴다(역로).

洞泄, 宜瀉濕湯, 衛生湯, 萬病五苓散.

통설에는 사습탕, 위생탕, 만병오령산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泄][한설]   (0) 2019.12.24
[風泄][풍설]  (0) 2019.12.24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0) 2019.12.24
[脉法][맥법]   (0) 2019.12.24

[泄瀉諸證][설사제증]
有 濕泄, 濡泄, 風泄, 寒泄, 暑泄, 火泄, 熱泄, 虛泄, 滑泄, 飱泄, 酒泄, 痰泄,

食積泄, 脾泄, 腎泄, 脾腎泄, 瀼泄, 暴泄, 洞泄, 久泄.

설사에는 습설, 유설, 풍설, 한설, 서설, 화설, 열설, 허설, 활설, 손설, 주설, 담설,

식적설, 비설, 신설, 비신설, 양설, 폭설, 통설, 구설이 있다.

凡泄皆兼濕, 初宜分利中焦, 滲利下焦, 久則升擧. 必滑脫不禁, 然後用澁藥止之[入門].

대개 설사는 습(濕)을 끼게 되는데, 초기에는 중초(中焦)에서 대소변이 잘 나눠지게 하고,

하초에서 잘 나가게 하여야 하며, 오래된 설사는 기를 끌어올려야 한다[升擧].

반드시 설사를 막을 수 없을 때만 삽제를 써서 그치게 하여야 한다(입문).

治泄補虛, 不可純用甘溫太甘, 甘則生濕.

淸熱亦不可太苦, 苦則傷脾. 惟淡劑利竅爲妙[入門]

설사 치료는 허한 것을 보하여야 하고,

달고[甘] 따뜻한 약이나 지나치게 단 약만을 써서는 안 된다.

단것은 습을 생기게 하기 때문이다.

열을 내리는 것 또한 너무 쓴 약을 쓰지 말아야 한다.

쓴맛은 비(脾)를 상하게 하기 때문이다.

오직 맛이 담담한 약[淡劑]으로 오줌을 잘 나가게 하는 것이 좋다(입문).

治瀉之法, 先當分利水穀, 車前子煎湯調五苓散方見寒門,

次則理正中焦, 理中湯治中湯 方見寒門. 理中治不效, 然後方可斷下, 固腸丸是也[濟生].

설사를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오줌과 대변이 잘 나뉘게 하는데,

차전자 달인 물에 오령산(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타서 먹는다.

다음으로 중초를 가지런히 다스리는데, 이중탕이나 치중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

중초를 다스려도 효과가 없는 경우에만 설사를 멎게 하여야 하는데,

고장환이 바로 이런 처방이다(제생).

治瀉須先中焦, 理中湯丸是也.

次分利水穀, 五苓散是也.

治中不效, 然後斷下, 赤石脂禹餘粮湯 方見寒門.

설사를 치료할 때 먼저 중초를 다스려야 하는데, 이중탕이나 이중환이 바로 이런 처방이다.

다음으로는 오줌과 대변을 잘 나누어야 하는데, 오령산이 바로 이런 처방이다.

중초를 다스리고도 효과가 없는 경우에만 설사를 멎게 하는

적석지우여량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
治泄瀉諸藥, 多作丸子服之[正傳].

설사를 치료하는 약은 대개 알약으로 만들어 복용한다(정전).

凡泄瀉, 小便淸白不澁爲寒, 赤澁爲熱[原病].

설사를 할 때 오줌이 맑으면서[淸白] 껄끄럽지 않으면[不澁] 한(寒) 때문이고,

오줌이 붉으면서 껄끄러우면[赤澁] 열(熱) 때문이다(원병).

手足寒爲冷證, 手足溫爲熱證[直指].

손발이 찬 것은 냉증(冷證)이고, 손발이 더운 것은 열증(熱證)이다(직지).

大便完穀不化而色不變, 吐利腥穢, 小便淸白不澁, 身冷不渴, 脈微細而遲者, 皆寒證也.

凡穀肉消化, 無問色及他證, 便斷爲熱. 夫寒泄而穀消化者, 未之有也[原病].

삭지 않은 대변이 나오면서도 색은 변하지 않으며, 토하고 설사한 것에서 비린내가 나고,

오줌이 맑으면서 껄끄럽지 않고, 몸이 차면서 목은 마르지 않으며,

맥이 미세(微細)하면서 지(遲)한 것은 모두 한증(寒證)이다.

곡물과 고기가 잘 소화되면 대변의 색이나 다른 증상을 살펴보지 않아도

바로 열증으로 판단한다.

한설(寒泄)인데 소화가 잘 되는 경우는 없다(원병).

或火性急速, 傳化失常, 完穀不化而爲飱泄者, 亦有之.

仲景曰, 邪熱不殺穀, 然熱得濕則爲飱泄也[原病].

화(火)의 성질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전화(傳化)하는 기능을 잃게 되면

소화가 잘 되지 않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장기(張機)는 "열사[邪熱]는 곡식을 삭히지 못하므로 열이 습을 만나면

삭지 않은 설사를 하게 된다"고 하였다(원병).

暴瀉非陽, 久瀉非陰[機要].

갑자기 설사하는 것[暴瀉]은 양증(陽證)이 아니고,

오랫동안 설사하는 것[久瀉]은 음증(陰證)이 아니다(기요).

通治用三白湯, 燥濕湯, 益元散 方見暑門.

설사에는 삼백탕, 조습탕, 익원산(처방은 서문(暑門)에 있다)을 두루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泄][풍설]  (0) 2019.12.24
[濕泄][습설]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0) 2019.12.24
[脉法][맥법]   (0) 2019.12.24
[辨便色][변변색]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有胃泄脾泄大腸泄小腸泄大瘕泄.
설사에는 위설(胃泄), 비설(脾泄), 대장설(大腸泄), 소장설(小腸泄), 대가설(大瘕泄)이 있다.
胃泄者, 飮食不化, 色黃, 宜胃風湯.

위설은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고 설사의 색이 누런 것인데, 위풍탕을 쓴다.
脾泄者, 腹脹滿泄注, 食則吐逆, 宜胃苓湯.

비설은 배가 불러 그득하고 설사를 하며 먹으면 토하는 것인데, 위령탕을 쓴다.
大腸泄者, 食已窘迫, 大便色白, 腸鳴切痛, 宜五苓散 方見寒門.

대장설은 음식을 먹고 나면 바로 대변을 누고 싶으며 대변의 빛이 허옇고

배에서 소리가 나면서 몹시 아픈데, 오령산(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
小腸泄者, 溲澁而便膿血, 小腹痛, 宜芍藥湯.

소장설은 오줌이 껄끄럽게 나오고 대변에 피고름이 섞여나오면서 아랫배가 아픈 것인데,

작약탕을 쓴다.
大瘕泄者, 裏急後重, 數至圊而不能便, 莖中痛, 宜大黃湯[醫林].

대가설은 뱃속이 당기듯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하여 화장실에 자주 가도

대변이 나오지 않으며 음경 속이 아픈데, 대황탕을 쓴다(의림).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濕泄][습설]  (0) 2019.12.24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脉法][맥법]   (0) 2019.12.24
[辨便色][변변색]   (0) 2019.12.24
[大便病因][대변병인]   (0) 2019.12.24

[脉法][맥법]
泄瀉, 脈緩時小結者生, 浮大數者死[正傳].
설사할 때 맥이 완(緩)하면서 때때로 소결(小結)하면 살고, 부대삭(浮大數)하면 죽는다(정전).
病泄脈洪而大爲逆[靈樞].

설사병에 맥이 홍(洪)하면서 대(大)한 것은 역증이다(영추).
泄而脫血脈實者難治[內經].

설사를 하면서 피를 몹시 흘렸는데 맥이 실(實)하면 치료하기가 어렵다(내경).
泄瀉脈多沈, 傷風則浮, 傷寒則沈細, 傷暑則沈微, 傷濕則沈緩[醫鑑].

설사의 맥은 대개 침(沈)하다.

그러나 풍(風)에 상한 맥은 부(浮)하고 한(寒)에 상한 맥은 침세(沈細)하며

더위[暑]에 상한 맥은 침미(沈微)하며 습(濕)에 상한 맥은 침완(沈緩)하다(의감).
瀉脈自沈, 沈遲寒侵, 沈數火熱, 沈虛滑脫, 暑濕緩弱, 多在夏月[回春].

설사 맥은 침(沈)한데, 침하면서 지(遲)하면 한(寒)의 침범을 받은 것이고,

침하면서 삭(數)하면 화열(火熱)의 침범을 받은 것이고,

침허활탈(沈虛滑脫)하면 더위와 습에 상한 것이다.

완약(緩弱)한 맥은 대개 여름철 설사에 나타난다(회춘).
腸澼下膿血, 脈沈小留連者生, 數疾且大有熱者死[脈經].

장벽(腸澼)으로 피고름이 나오는데,

맥이 침소(沈小)하지만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지면 살고,

맥이 삭질(數疾)하면서 대(大)하고 열이 있으면 죽는다(맥경).
下痢, 脈微弱數者爲欲自止, 雖發熱不死[仲景].

이질[下痢]에 맥이 미약(微弱)하면서 삭(數)한 것은

병이 저절로 나으려고 하는 것으로, 몸에 열이 있어도 죽지 않는다(중경).
下痢, 脈大者爲未止[仲景].

이질 맥이 대(大)하면 이질이 그치질 않는다(중경).
下痢日十餘行, 脈反實者死[仲景].

이질을 하루에 10여 차례 하였는데 맥이 도리어 실(實)하면 죽는다(중경).
下痢宜微小, 不宜洪大[得效].

이질 맥은 미소(微小)하여야지 홍대(洪大)하면 안 된다(득효).
下痢微小, 却爲生. 脈大浮洪, 無差日[脈訣].

이질에 맥이 미소하면 오히려 살 수 있지만, 맥이 대부홍(大浮洪)하면 낫지 않는다(맥결).
無積不痢, 脈宜滑大, 浮弦急死, 沈細無害[脈訣].

적(積)이 없으면 이질은 생기지 않는다. 

맥은 활대(滑大)하여야 하는데,

맥이 부현(浮弦)하면 갑자기 죽게 되고 침세(沈細)한 맥이면 괜찮다(맥결).
凡痢, 身凉脈細者生, 身熱脈大者死[丹心].

대체로 이질에 몸이 싸늘하고[身凉] 맥이 세(細)하면 살 수 있지만,

몸에 열이 있고 맥이 대(大)하면 죽는다(단심).
下痢, 脈微小吉, 浮洪者難治[濟生].

이질에 맥이 미소(微小)하면 좋지만 부홍(浮洪)하면 치료하기 어렵다(제생).
大便閉結, 脾脈沈數, 下連於尺爲陽結.

二尺脈虛, 或沈細而遲爲陰結.

右尺脈浮爲風結[醫鑑].

대변이 막혔을 때 비맥(脾脈)이 침삭(沈數)하면서

아래쪽의 척(尺) 부위까지 이어지면 양결(陽結)이고,

양쪽의 척맥이 허(虛)하거나 침세(沈細)하면서 지(遲)하면 음결(陰結)이고,

오른쪽 척 부위의 맥이 부(浮)한 것은 풍결(風結)이다(의감).
燥結之脈, 沈伏勿疑, 熱結沈數, 虛結沈遲, 若是風燥, 右尺浮肥[回春].

조결(燥結) 맥은 확실히 침복(沈伏)하며, 열결(熱結) 맥은 침삭(沈數)하며,

허결(虛結)하면 맥이 침지(沈遲)하다.

만약 풍조가 있으면 오른쪽 척맥이 부(浮)하면서 두툼하게[肥] 온다(회춘).
老人虛人閉結, 脈雀啄者, 不治[醫鑑].

노인이나 허약한 사람이 대변이 막혔을 때 작탁맥(雀啄脈)이 나타나면 치료 할 수 없다(의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0) 2019.12.24
[辨便色][변변색]   (0) 2019.12.24
[大便病因][대변병인]   (0) 2019.12.24
[大便原委][대변원위]   (0) 2017.05.19

[辨便色][변변색]
腸中寒, 則腸鳴飱泄.

腸中熱, 則出黃如糜[靈樞].

장(腸) 속이 차면 장에서 소리가 나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하며,

장 속에 열이 있으면 누런 죽과 같은 변이 나온다(영추).

瀉白爲寒, 靑黃紅赤黑皆爲熱也.

或以痢色靑爲寒者, 誤也.

傷寒少陰病, 下痢純靑水者, 熱在裏也.

小兒急驚, 利色多靑, 爲熱明矣.

痢色黃者, 脾熱也.

痢色紅者, 爲熱, 心火之色.

或赤者, 熱之甚也.

色黑者, 由火熱亢極, 則反兼水化, 故色黑也[原病].

허연 것을 설사하면 속이 차기 때문이며,

푸르거나 누렇거나 붉거나 검은 것은 모두 열 때문이다.

설사가 푸른 것은 속이 차기 때문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틀린 것이다.

상한 소음병에 퍼런 물 설사를 하는 것은 속에 열이 있기 때문이며,

어린아이가 갑자기 경풍(驚風)이 생겨 설사를 하면 대개 푸른빛인데,

이는 열 때문에 생긴 것이 분명하다.

설사가 누런색이면 비(脾)에 열이 있는 것이고, 설사가 붉은색[紅]이면 열 때문인데,

이는 심화(心火)의 색이다.

때로 짙은 뻘건색[赤]이 나는 것은 열이 심하기 때문이다.

검은색은 화열(火熱)이 극심하여 도리어 수(水)로 변하였기 때문에 검은빛을 띠는 것이다(원병).

血寒則凝, 痢色必紫黑成塊, 或雜膿血. 盖膿爲陳積也, 血爲新積也[入門].

혈(血)이 차면 뭉치므로 설사의 색은 반드시 검고 자주색이면서 덩어리가 지며

때로는 피고름이 섞여나온다.

이때 고름은 오랫동안 쌓여 있던 것이고, 혈은 쌓인 지 얼마 안 된 것이다(입문).

濕多成五泄如水傾下[入門].

습이 많으면 다섯 가지 설사[五泄]를 하는데 마치 물이 쏟아지듯 한다(입문).

熱痢紫黑色, 寒痢白如鴨溏, 濕痢下如黑豆汁,

風痢純下靑水, 氣痢狀如蟹浡, 積痢色黃或如魚腦,

虛痢色白如鼻涕凍膠, 蠱疰痢黑如雞肝[入門].

열리(熱痢)는 검고 자주색이며,

한리(寒痢)는 흰 것이 오리 똥 같으며,

습리(濕痢)는 검은콩의 즙같이 나오고,

풍리(風痢)는 퍼런 물 설사를 하며,

기리(氣痢)는 게거품 같고,

적리(積痢)는 누렇거나 물고기의 골과 같으며,

허리(虛痢)는 색이 하얀데 콧물이나 엉긴 풀 같고,

고주리(蠱疰痢)는 검은데 닭의 간 색과 같다(입문).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0) 2019.12.24
[脉法][맥법]   (0) 2019.12.24
[大便病因][대변병인]   (0) 2019.12.24
[大便原委][대변원위]   (0) 2017.05.19

[大便病因][대변병인]
犯賊風虛邪者, 陽受之.

食飮不節起居不時者, 陰受之.

陽受之則入六府, 陰受之則入五藏.

入六府則身熱不時臥, 上爲喘呼.

入五藏則滿閉塞, 下爲飱泄, 久爲腸澼 腸澼謂痢疾[內經].

허사적풍(虛邪賊風)이 침범하면 양(陽)이 이를 받게 되고,

음식에 절도가 없거나 생활이 때에 맞지 않으면 음(陰)이 사기를 받게 된다.

양이 받게 되면 사기가 육부(六腑)로 들어가고, 음이 받게 되면 오장(五臟)으로 들어간다.

사기가 육부로 들어가면 몸에 열이 나고 때도 없이 눕기를 좋아하고

위로 밭은기침이 나와 숨이 차게 된다.

사기가 오장으로 들어가면 배가 그득히 차서 막히게 되어 아래로 삭지 않은 설사를 하는데,

오래되면 장벽(腸澼, 이질을 말한다)이 된다(내경).

春傷於風夏必飱泄.

봄에 풍(風)에 상하면 여름에 반드시 손설(飱泄)이 생긴다.

春傷於風, 邪氣留連, 乃爲洞泄.

봄에 풍에 상하면 사기가 머물러 있다가 물 설사[洞泄]를 하게 된다.

久風入中, 則爲腸風飱泄.

풍이 몸에 들어와 오래되면 장풍(腸風)이나 손설이 된다.

淸氣在下則生飱泄.

청기(淸氣)가 하초에 있으면 손설이 된다.

濕勝則濡泄.

註曰, 濕勝則內攻於脾胃, 脾胃受濕則水穀不分, 故大腸傳導而注瀉也[內經].

습(濕)이 지나치게 왕성하면 물 설사[濡泄]를 한다.

주에서는 "습이 지나치게 왕성하면 안으로 비위를 공격하는데,

비위가 습사(濕邪)를 받으면 수곡(水穀)이 제대로 나뉘지 못하기 때문에

대장이 전달하여 설사를 하게 된다"라고 하였다(내경).

倉廩不藏者, 是門戶不要也.

註曰, 是大腸之門戶不得斂也[內經].

창고에 저장할 수 없는 것은 그 문이 닫히지 않기 때문이다.

주에서는 "이것은 대장의 문[門戶]이 단속(團束)되지 못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내경).
大腸有寒則多鶩溏,

有熱則便腸垢[仲景].

대장에 찬 기운이 있으면 대개 묽은 설사[鶩溏]가 나고,

열이 있으면 장구(腸垢)가 된다(중경).

腸垢者, 腸間積汁垢膩也.

亦曰滯下, 言濕火滯於腸中, 故謂之滯下[入門].

장구는 장(腸) 사이에 쌓여 있는 즙 같은 기름때이다.

체하(滯下)라고도 하는데, 이는 습(濕)과 화(火)가 장(腸) 속에서 막혀[滯]

설사[下]를 하는 것이므로 '체하'라고 한 것이다(입문).

痢因有二. 一者暑月煩渴, 恣食生冷.

二者夜臥失被, 風濕外侵.

二者皆令水穀不化, 鬱而生熱, 熱與濕合,

傷氣分則成白痢, 傷血分則成赤痢, 氣血俱傷則成赤白痢[丹心].

이질의 원인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여름에 갈증이 난다고 날것과 찬 것을 함부로 먹어서 생기며,

두 번째는 밤에 잠을 잘 때 이불을 덮지 않아 풍사와 습사가 침입하여 생긴다.

두 가지 원인 모두 소화가 되지 않고 음식이 쌓이고 뭉쳐서 열을 생기게 하는데,

열과 습이 합쳐져 기분(氣分)을 상하면 백리(白痢)가 되고,

혈분(血分)을 상하면 적리(赤痢)가 되며,

기분과 혈분모두가 상하면 적백리(赤白痢)가 된다(단심).

古人云, 無積不成痢.

皆由暑月多食生冷, 不能剋化, 飮食積滯而成痢也[類聚]

옛사람들은 "쌓인 것이 없으면 이질은 생기지 않는다.

이질은 모두 여름철에 날것과 찬 것을 지나치게 먹어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하여

음식이 쌓이고 기가 막혀 있다가 이질이 된다"고 하였다(유취).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0) 2019.12.24
[脉法][맥법]   (0) 2019.12.24
[辨便色][변변색]   (0) 2019.12.24
[大便原委][대변원위]   (0) 2017.05.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