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前草][차전초 / 질경이] 

 
治熱泄. 取莖葉擣,

取汁一盞, 入蜜一合, 溫分二服[本草].
열로 인한 설사를 치료한다. 차전초의 줄기와 잎을 찧어 나온 즙 한 잔에

꿀 한 홉을 넣고 따뜻하게 하여 2번에 나누어 먹는다(본초).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목향]  (0) 2020.01.03
[車前子][차전자]  (0) 2020.01.03
[白朮][백출]   (0) 2020.01.01
[蒼朮][창출]   (0) 2020.01.01
[百草霜][백초상]   (0) 2020.01.01

[白朮][백출 / 창출뿌리 껍질 벗긴 것] 

 
治一切泄瀉.
煎服末服丸服並佳.
或合白芍藥, 白茯苓同煎服, 止泄尤佳[湯液].
모든 설사를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
백작약, 백복령과 함께 달여 먹으면 설사를 그치게 하는 데 더욱 좋다(탕액).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車前子][차전자]  (0) 2020.01.03
[車前草][차전초]  (0) 2020.01.03
[蒼朮][창출]   (0) 2020.01.01
[百草霜][백초상]   (0) 2020.01.01
[好黃土][호황토]  (0) 2020.01.01

[蒼朮][창출] 

 
治傷濕泄瀉.

或合茯苓或合芍藥, 每五錢, 水煎服之.

若傷風泄瀉, 合防風, 水煎服之[湯液].
습(濕)에 상하여 설사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복령이나 작약과 함께 쓰기도 하는데, 한 번에 다섯 돈씩 물에 달여 먹는다.
풍(風)에 상하여 나는 설사는 방풍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車前草][차전초]  (0) 2020.01.03
[白朮][백출]   (0) 2020.01.01
[百草霜][백초상]   (0) 2020.01.01
[好黃土][호황토]  (0) 2020.01.01
[焰硝][염초]   (0) 2020.01.01

[百草霜][백초상 / 솥 밑에 붙어 있는 그을음 덩어리]


治暴瀉痢.
取細末二錢, 米飮調下[本草].
갑작스런 설사와 이질을 치료한다.
백초상을 곱게 가루내어 두 돈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본초).
久瀉不止.

百草霜末粥丸, 白湯呑下[綱目].
설사가 오래되어 멈추지 않는 데는

백초상가루로 쑨 죽으로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끓인 물로 먹는다(강목).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백출]   (0) 2020.01.01
[蒼朮][창출]   (0) 2020.01.01
[好黃土][호황토]  (0) 2020.01.01
[焰硝][염초]   (0) 2020.01.01
[硫黃][유황]   (0) 2020.01.01

[好黃土][호황토 / 세 자 이상의 깊이에서 파낸 황토] 

 
治泄痢赤白, 腹痛下血.

好黃土, 水煮三五沸, 去滓, 煖服一二升[本草].
벌겋고 허연 설사[赤白痢]와 이질로 배가 아프고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좋은 황토를 물에 넣고 끓이는데,

3번에서 5번 정도 끓어오르면 찌꺼기를 버리고 한 되나 두 되를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본초).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백출]   (0) 2020.01.01
[蒼朮][창출]   (0) 2020.01.01
[百草霜][백초상]   (0) 2020.01.01
[焰硝][염초]   (0) 2020.01.01
[硫黃][유황]   (0) 2020.01.01

[焰硝][염초] 

 
治關格大小便不通.

蜜一鍾硝二錢白湯一鍾, 空心, 調服卽通[回春].
관격(關格)이 되어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꿀 한 종과 염초 두 돈을 끓인 물 한 종지에 타서 빈속에 먹으면 대소변이 나온다(회춘).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백출]   (0) 2020.01.01
[蒼朮][창출]   (0) 2020.01.01
[百草霜][백초상]   (0) 2020.01.01
[好黃土][호황토]  (0) 2020.01.01
[硫黃][유황]   (0) 2020.01.01

[硫黃][유황] 

 
治冷瀉暴瀉, 所下如水.

硫黃滑石等分爲末, 溫水調下三錢, 立止[得效].
속이 차서 생긴 설사와 갑작스런 설사가 물이 쏟아지듯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유황과 활석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따뜻한 물에 서 돈씩 타서 먹으면 곧 그친다(득효).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백출]   (0) 2020.01.01
[蒼朮][창출]   (0) 2020.01.01
[百草霜][백초상]   (0) 2020.01.01
[好黃土][호황토]  (0) 2020.01.01
[焰硝][염초]   (0) 2020.01.01

[導便法][도변법]
諸大便不通, 老人虛人不可用藥者, 用蜜熬, 入皂角末少許, 捻作錠子, 納肛門, 卽通[丹心].
대변이 나오지 않는데, 노인이거나 허약한 사람이라서 약을 쓸 수 없는 여러 경우에는

꿀을 끓여 조각가루를 조금 넣고 손으로 비벼서 납작한 알약[錠子]을 만들어,

항문에 넣으면 대변이 바로 나온다(단심).
蜜煎導法.

取蜜七合, 微火煎如飴, 捻作錠如棗核樣, 納穀道中, 用手按住, 欲大便時去之[仲景].
밀전도법[꿀 달인 것으로 대변을 나오게 하는 방법].

꿀 일곱 홉을 약한 불에 엿처럼 졸여 손으로 비벼 대추씨만 하게 납작한 알약을 만들어

항문에 넣고 손으로 누르고 있다가 대변을 보려고 하면 손을 뗀다(중경).
治大便不通. 取大猪膽一箇瀉汁, 和醋少許, 灌入穀道中, 須臾大便自通[仲景].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큰 돼지 쓸개 한 개에서 짜낸 즙에 식초를 조금 넣고

항문 속에 넣으면 잠시 후에 대변이 저절로 나온다(중경).
蜜兌法.

治大便不通. 蜜三合, 入猪膽汁兩枚, 煎如飴候凝, 捻作小指頭大, 沈冷水中,

取納肛門, 立通. 一方, 入皂角末和勻作錠, 尤好.

入薄荷末亦佳[得效].
밀태법[꿀로 대변을 통하게 하는 방법].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꿀 세 홉에 돼지 쓸개 두 개분의 즙을 넣고 엿처럼 엉기도록 고아,

이것을 비벼서 새끼손가락 끝마디만 한 크기로 만든 다음 찬물에 담갔다가 항문에 넣으면

대변이 바로 나온다.

다른 처방에서는 조각가루를 넣고 골고루 섞어서 납작한 알약을 만드는데, 더욱 좋다.

박하가루를 넣어도 좋다(득효).
熏方.

治大便不通. 皂角, 用椀燒置桶內, 熏下部, 自通[得效].
훈방[약을 태워 연기를 쏘이는 방법].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조각을 사발에 담아 태운 다음 나무통 속에 옮겨놓고

항문에 연기를 쬐면 대변이 저절로 나온다(득효).
蜜導法.

火煉蜜稠厚黃色, 傾入冷水中, 急捻如指大,

隨用 皂角末麝香共爲衣, 將油塗抹大腸內, 納入穀道, 大便卽通[回春].
밀도법[꿀로 대변을 나오게 하는 방법].

꿀을 걸쭉하고 진한 누런빛이 나도록 졸여서 찬물에 쏟은 다음

빨리 비벼서 손가락 크기만 하게 만들어 조각가루와 사향으로 옷을 입힌다.

항문 속에 기름을 바르고 이것을 넣으면 대변이 곧 나온다(회춘).
猪膽汁導法.

猪膽一箇, 傾去汁少許, 入醋在內, 用竹管相接,

套入穀道中, 以手指撚之, 令膽汁直射入內, 少時卽通[回春].
저담즙도법[돼지 쓸개즙으로 대변을 나오게 하는 방법].

돼지 쓸개 한 개를 즙을 조금 쏟아버리고 그만큼의 식초를 속에 넣는다.

대나무 대롱을 쓸개에 꽂아 다른 한쪽을 항문에 집어넣고 손가락으로 쓸개를 짜서

담즙을 항문 속으로 직접 들어가게 하면 잠시 후 대변이 나온다(회춘).
香油導法.

用竹管蘸葱汁, 深入大腸內, 以香油一半溫水一半,

同入猪尿脬內, 撚入竹管, 將病人倒放, 脚向上, 半時立通[回春].
향유도법[참기름으로 대변을 나오게 하는 방법].

대나무 대롱에 파즙을 묻혀 항문 속에 깊숙이 넣는다.

참기름과 따뜻한 물을 절반씩 섞어서 돼지 오줌통 속에 넣고

오줌통의 액체를 대롱에 짜넣는데, 환자를 물구나무세워 다리를 위로 올리게 한다.

그러면 한 시간쯤 지나 대변이 바로 나온다(회춘).
大便不通多日, 百方不效, 令人口含香油, 以小竹筒一箇,

套入肛門, 吹油入肛內, 病者自覺其油如蚯蚓漸漸上行, 片時下黑糞而安[正傳].

대변이 오랫동안 나오지 않아 여러 가지 방법을 썼으나 효과가 없을 때는

다른 사람이 입에 참기름을 머금고 있다가,

작은 대나무 대롱을 환자의 항문에 꽂은 다음 항문 속으로 참기름을 뿜어넣는다.

그러면 환자는 그 기름이 마치 지렁이가 점점 올라오는 것처럼 느끼게 되는데,

잠시 후 검은 대변이 나오고 낫는다(정전).
俗方以淸醬香油相和, 灌肛內卽通.

或以生桔梗浸油醬, 挿入肛內, 亦通.
蜜導, 非皂角則不通[入門].

민간에서 쓰는 처방으로 간장[淸醬]과 참기름을 섞어 항문에 넣으면 대변이 나온다.

또는 생도라지를 참기름이나 간장에 담갔다가 항문에 넣어도 대변이 나온다.
밀도법을 할 때 조각을 쓰지 않으면 대변이 나오지 않는다(입문).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罨臍法][엄제법]   (0) 2020.01.01
[大小便不通][대소변불통]   (0) 2020.01.01
[大便不通][대변불통]  (0) 2020.01.01
[脾約證][비약증]   (0) 2019.12.30
[老人秘結][노인비결]   (0) 2019.12.30

[罨臍法][엄제법]
治大小便不通. 以白礬末一匙, 安臍中, 冷水滴之, 令冷透腹內卽通[丹心].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백반가루 한 숟가락을 배꼽 위에 놓고 찬물을 한 방울씩 떨어뜨려

찬 기운이 뱃속에 들어가게 하면 대소변이 나온다(단심).

治大小便不通. 連根葱一二莖, 帶土生薑一塊, 淡豆豉二十一粒, 鹽二匙,

同硏作餠, 烘熱掩臍中, 以帛繫定, 良久氣透自通, 不通再換一餠[丹溪].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뿌리가 달린 파 한두 뿌리와 흙이 묻은 생강 한 덩어리, 담두시 스물한 알, 소금 한 숟가락을

함께 갈아 떡을 만들어 뜨겁게 한 다음 배꼽 가운데에 붙이고 비단으로 싸서 묶는다.

한참 지나서 기가 뱃속으로 들어가면 [대소변이] 저절로 나오는데,

그래도 나오지 않으면 다른 떡을 갈아 붙인다(단심).

治大便閉結至極, 昏不省人.

生大田螺一二枚, 鹽一匙, 和殼生擣, 置病人臍下一寸三分, 用帛包繫, 卽大通[得效].

대변이 꽉 막혀 심하게 되면 정신이 없어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데, 이를 치료한다.

살아 있는 큰 우렁이 한두 개를 소금 한 숟가락과 함께 껍질째 찧어 환자의 배꼽 아래

한 치 서 푼 위에 올려놓고 비단으로 싸서 묶어두면 곧 대소변이 나온다(득효).

又方, 田螺連殼擣爛, 入麝少許, 貼臍中以手揉按, 立通[入門].

또 다른 처방으로는 우렁이를 껍질째 짓찧어 사향을 조금 넣고

배꼽 위에 붙이고 손으로 부드럽게 문지르면 곧 대변이 나온다(입문).

治大小便不通. 巴豆肉杏仁皂角, 右爲末作餠, 掩臍上火灸, 自通[綱目].

대소변을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파두육, 행인, 조각을 가루내어 떡을 만들어 배꼽을 덮고

뜸을 뜨면 대소변이 저절로 나온다(강목).

蝸牛膏治大小便不通.

蝸牛三枚, 連殼擣爲泥, 加麝香少許, 貼臍中, 以手揉按之, 立通.

無蝸牛, 則用田螺, 歷試殊效[回春].

와우고는 대소변을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와우[달팽이] 세 개를 껍질째 진흙처럼 짓찧어

사향을 조금 넣어 배꼽에 붙이고 손으로 문지르면 대소변이 바로 나온다.

달팽이가 없을 때는 우렁이를 쓰는데, 여러 번 써보니 뛰어난 효과가 있었다(회춘).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導便法][도변법]   (0) 2020.01.01
[大小便不通][대소변불통]   (0) 2020.01.01
[大便不通][대변불통]  (0) 2020.01.01
[脾約證][비약증]   (0) 2019.12.30
[老人秘結][노인비결]   (0) 2019.12.30

[大小便不通][대소변불통]
凡大小便不通, 內經謂之三焦約, 約者, 不行也.

又曰, 大小便不通者, 陰陽關格, 乃三焦約之病也[病源].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내경에서는 삼초약(三焦約)이라고 하였다.

약(約)이라는 것은 잘 돌지 않는다[不行]는 말이다.

또한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은 음양(陰陽)이 관격(關格)된 것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삼초약이라는 병이다(병원).
三焦約, 大小便不通, 宜枳殼丸, 方見五藏 推氣丸.
삼초약으로 대소변을 보지 못하는 데는 지각환(처방은 오장문에 있다)과 추기환을 쓴다.
大小便不通, 宜三一承氣湯, 車狗散, 鐵脚丸, 顚倒散, 倒換散, 蜣蜋散, 甘遂散, 貼臍膏.
대소변을 보지 못하는 데는

삼일승기탕, 거구산, 철각환, 전도산, 도환산, 강랑산, 감수산, 첩제고를 쓴다.
外治 宜廻生神膏, 丁香散, 掩臍法, 導便法.
외용으로는 회생신고, 정향산, 엄제법, 도변법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導便法][도변법]   (0) 2020.01.01
[罨臍法][엄제법]   (0) 2020.01.01
[大便不通][대변불통]  (0) 2020.01.01
[脾約證][비약증]   (0) 2019.12.30
[老人秘結][노인비결]   (0) 2019.12.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