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雄雌散][웅자산]

齒久不生

烏鷄 雄雌糞 各畜收之舊麻鞋底 三物燒存性 爲末

入麝糝之 一月生齒

一名, [雄雌散](千金).

치아가 나지않는 것을 치료한다.

검정닭 수컷과 암컷을 따로 길러서 계시( )를 받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를 낸다.

다음 사향을 조금 섞어서 뿌리면 한 달이 지나서 이빨이 나온다.

일명 웅자산(雄雌散)이라고 한다[천금].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枳殼丸][지각환]  (0) 2023.04.18
[松蘂丹][송예단]  (0) 2023.04.18
[芎黃散][궁황산]  (2) 2023.04.16
[蓯蓉元][종용원]  (0) 2023.04.16
[調元散][조원산]  (0) 2023.04.15

[芎黃散][궁황산]

治齒不生

川芎, 生乾地黃, 當歸, 山藥, 白芍藥 各一兩

沈香五錢, 甘草三錢

右爲末 白湯調服半錢

因將乾末 敄擦齒厇上 日二次[得效]

치아가 나지않는 것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생건지황, 당귀, (산약),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0g,

침향 20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끓인 물에 타서 먹이고

이어 마른 가루를 잇몸에 문지르는데 하루에 두번씩 한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蘂丹][송예단]  (0) 2023.04.18
[雄雌散][웅자산]  (0) 2023.04.17
[蓯蓉元][종용원]  (0) 2023.04.16
[調元散][조원산]  (0) 2023.04.15
[五加皮散][오가피산]  (0) 2023.04.15

[蓯蓉元][종용원]

治髮不生

當歸, 生乾地黃, 肉瘴蓉, 白芍藥 各一兩, 胡粉五錢

右爲末 蜜丸 黍米大

每十丸 黑豆湯 呑下 兼磨化二三十丸 塗擦頭上[得效]

머리털이 나지않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생건지황, 육종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0g, 호분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검정콩(흑두) 달인 물로 먹이고 20-30알씩 풀어서 머리에 바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雄雌散][웅자산]  (0) 2023.04.17
[芎黃散][궁황산]  (2) 2023.04.16
[調元散][조원산]  (0) 2023.04.15
[五加皮散][오가피산]  (0) 2023.04.15
[虎骨丸][호골환]  (0) 2023.04.14

[髮不生 齒不生][발불생 치불생]    [머리털이 나지 않고 이가 나오지 않는 것]

 

髮不生者 因稟受血氣不足 不能榮於髮 宜服蓯蓉元.

머리털이 나지 않는 것은 기혈이 부족한 체질이 머리털을 영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종용원을 먹이는 것이 좋다.

 

齒不生者 由齒者骨之所終 髓之所養 禀氣不足 則髓不能充於骨 故齒久不生 宜芎黃散(得效).

이가 나오지 않는 것은 이는 뼈의 끝부분이고 골수가 영양하는 것인데

타고난 원기가 부족하면 골수가 뼈에 충만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가 오래도록 나오지 않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궁황산(芎黃散)을 먹이는 것이 좋다[득효].

 

齒久不生 用雄雌散方見齒門.

이가 오래도록 나오지 않는 데는 웅자산(처방은 이빨문에 있다)을 쓴다.

 

長齒生牙賴 雄鼠之骨末

取大老鼠去肉 取脊骨 爲末 擦牙齦上 日二次效(本草).

이를 자라게 하고 나오게 하려면 숫쥐뼈가 좋다.

크고 늙은 숫쥐를 잡아서 고기는 버리고 등뼈만을 가루내어 하루 두번 잇몸을 문지르면 효과가 난다[본초].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滯頤] [체이]  (2) 2023.04.19
[龜背 龜胸][구배 구흉]  (2) 2023.04.17
[語遲 行遲][어지 행지]  (0) 2023.04.13
[顖塡 顖陷][신전 신함]  (2) 2023.04.12
[解顱][해로]  (0) 2023.04.10

[調元散][조원산]

治行遲

山藥五分, 甘草一分半, 石菖蒲一分

白朮, 白芍藥, 熟地黃, 當歸, 川芎, 黃妉蜜炒各二分半

人參, 白茯巔, 茯神 各二分

右犫作一貼薑三棗二水煎服[回春]

걸음발을 더디게 타는 것을 치료한다.

(산약) 2g. 감초 0.6g, 석창포 0.4g.

백출, 백작약, 숙지황, 당귀, 천궁, 황기(꿀물로 축여 볶은 것) 각각 1g,

인삼, 백복령, 복신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黃散][궁황산]  (2) 2023.04.16
[蓯蓉元][종용원]  (0) 2023.04.16
[五加皮散][오가피산]  (0) 2023.04.15
[虎骨丸][호골환]  (0) 2023.04.14
[雞頭丸][계두환]  (0) 2023.04.14

[五加皮散][오가피산]

治三歲 不能行

五加皮二錢半, 牛膝, 木瓜 各一錢二分半

右末 每一錢 米飮調下[得效]

3살이 되어도 걷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오갈피(오가피) 10g, 쇠무릎(우슬), 모과 각각 5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미음에 타먹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蓯蓉元][종용원]  (0) 2023.04.16
[調元散][조원산]  (0) 2023.04.15
[虎骨丸][호골환]  (0) 2023.04.14
[雞頭丸][계두환]  (0) 2023.04.14
[菖蒲丸][창포환]  (0) 2023.04.14

[虎骨丸][호골환]

治行遲

虎脛骨, 生乾地黃, 酸棗仁, 白茯巔, 肉桂, 防風, 當歸, 川芎, 牛膝, 黃妉 各等分

右爲末 蜜丸 麻子大 木瓜湯下 五丸或十丸[得效]

걸음발을 더디게 타는 것을 치료한다.

범정강이뼈, 생건지황, 산조인, 백복령, 육계, 당귀, 천궁, 우슬, 황기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10알씩 모과 달인 물로 먹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調元散][조원산]  (0) 2023.04.15
[五加皮散][오가피산]  (0) 2023.04.15
[雞頭丸][계두환]  (0) 2023.04.14
[菖蒲丸][창포환]  (0) 2023.04.14
[天南星散][천남성산]  (0) 2023.04.12

[雞頭丸][계두환]

治小兒諸病後 不能言

雄鷄頭灸一箇, 鳴蟬灸焦三箇,

大黃氖, 甘草灸 各一兩

當歸, 川芎, 遠志, 麥門冬 各七錢半

木通, 黃妉 各五錢

右爲末 蜜丸 菉豆大 空心米飮下 五丸 日三四服[錢氏]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을 앓은 뒤에 말을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수탉의 대가리(雄 頭, 구운 것) 1, 매미(鳴蟬, 눋도록 구운 것) 3,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0g,

당귀, 궁궁이(천궁), 원지, 맥문동 각각 30g,

으름덩굴(목통), 단너삼(황기)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알씩 하루 서너번 미음으로 빈속에 먹인다[전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加皮散][오가피산]  (0) 2023.04.15
[虎骨丸][호골환]  (0) 2023.04.14
[菖蒲丸][창포환]  (0) 2023.04.14
[天南星散][천남성산]  (0) 2023.04.12
[三辛散][삼신산]  (0) 2023.04.12

[菖蒲丸][창포환]

治心氣不足 五六歲不能言

石菖蒲, 人參, 麥門冬, 遠志, 川芎, 當歸 各二錢

乳香, 朱砂 各一錢

右爲末 蜜丸 麻子大 米飮下 十丸至二十丸 日三服[入門]

심기가 부족하여 5-6살이 되도록 말을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석창포, 인삼, 맥문동, 원지,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8g,

유향, 주사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하루 세번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虎骨丸][호골환]  (0) 2023.04.14
[雞頭丸][계두환]  (0) 2023.04.14
[天南星散][천남성산]  (0) 2023.04.12
[三辛散][삼신산]  (0) 2023.04.12
[黃妉十補湯][황기십보탕]  (0) 2023.04.12

[語遲 行遲][어지 행지] [말을 늦게 하고 걸음발을 늦게 타는 것]

語遲者 五軟中 口軟是也.

兒在胎時 母有驚怖 驚氣入於心包絡 使心神不足 舌本不通 宜服菖蒲丸(錢乙).

말을 늦게 하는 것은 5연 가운데서 구연(口軟)을 말한 것이다.

태아가 뱃속에 있을 때에 어머니가 놀라면 놀란 기운이 심포락(心包絡)에 들어가서

심신이 부족해지고 혀에 기가 잘 통하지 못하기 때문에 말을 늦게 한다.

이런 때에는 창포환(菖蒲丸)을 먹이는 것이 좋다[전을].

 

小兒諸病後 不能言 宜雞頭丸(錢乙).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을 앓고 나서 말을 못하는 데는 계두환이 좋다[전을].

 

一小兒五歲 不能言咸 而爲廢人 用六味地黃元方見上

五味子 鹿茸 補中益氣湯 方見上

將半年始發一二言 至一年 始言語如常(回春).

어떤 어린이가 5살이 되도록 말을 못하였는데 사람들이 모두 병신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어린이에게 육미지황원(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오미자와 녹용을 더 넣은 것과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먹였는데

반 년 안에 처음 한두 마디씩 말을 하였고 1년 만에는 제대로 말을 하였다[회춘].

 

行遲者 脚軟是也.

氣血不充 骨髓不滿 軟弱不能行 或肝腎俱虛

肝主筋 筋弱不能束骨

六味地黃元方見上 肝主風 鹿茸 牛膝 五味子 五加皮 久服之

虎骨丸亦佳 或用五加皮散(得效).

걸음발을 더디게 타는 것은 각연(脚軟)을 말한 것이다.

이것은 기혈이 충실치 못하고 골수가 충만되어 있지 못하여

힘이 없어서 걷지 못하거나 간()과 신()이 다 허하기 때문이다.

간은 힘줄을 주관하므로 힘줄이 약하면 뼈마디를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것이다.

이때는 육미지황원에 녹용, 쇠우슬, 오미자, 오가피를 더 넣어 오랫동안 먹인다.

호골환(虎骨丸)도 좋고 오가피산(五加皮散)도 쓴다[득효].

 

凡小兒行遲 齒遲 解顱 五軟 鶴膝 睛白多愁 皆因稟受腎氣不足

宜以六味地黃元 鹿茸補之 或用調元散(回春).

대개 어린이가 걸음발을 더디게 타고 이가 더디게 나오고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과 5, 학슬풍(鶴膝風), 눈알이 희고 근심이 많은 것은

다 타고난 체질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육미지황원에 녹용을 더 넣어 보하거나 조원산(調元散)을 쓴다[회춘].

 

小兒鶴膝者 由稟受不足 血氣不充

故肌肉瘦瘠 骨節呈露 如瘧之膝 乃腎虛得之

宜六味地黃元當歸 牛膝 鹿茸 久服

仍以大南星炮 爲末 醋調 烘熱 貼之 甚良(回春).

어린이의 학슬풍은 타고난 체질이 부족하고 혈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살이 빠지고 뼈마디가 드러나서 학의 무릎같이 된다.

이것은 신()이 허하여 생긴 것이다.

이때는 육미지황원에 당귀, 쇠무릎(우슬), 녹용 등을 더 넣어 오랫동안 먹이고

이어 천남성(큰 것을 싸서 구운 것)을 가루내어 식초로 개어 불에 쪼인 다음

따뜻하게 해서 붙이면 매우 좋다[회춘].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龜背 龜胸][구배 구흉]  (2) 2023.04.17
[髮不生 齒不生][발불생 치불생]  (2) 2023.04.16
[顖塡 顖陷][신전 신함]  (2) 2023.04.12
[解顱][해로]  (0) 2023.04.10
[五軟 五硬][오연 오경]  (0) 2023.04.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