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語遲 行遲][어지 행지] [말을 늦게 하고 걸음발을 늦게 타는 것]

語遲者 五軟中 口軟是也.

兒在胎時 母有驚怖 驚氣入於心包絡 使心神不足 舌本不通 宜服菖蒲丸(錢乙).

말을 늦게 하는 것은 5연 가운데서 구연(口軟)을 말한 것이다.

태아가 뱃속에 있을 때에 어머니가 놀라면 놀란 기운이 심포락(心包絡)에 들어가서

심신이 부족해지고 혀에 기가 잘 통하지 못하기 때문에 말을 늦게 한다.

이런 때에는 창포환(菖蒲丸)을 먹이는 것이 좋다[전을].

 

小兒諸病後 不能言 宜雞頭丸(錢乙).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을 앓고 나서 말을 못하는 데는 계두환이 좋다[전을].

 

一小兒五歲 不能言咸 而爲廢人 用六味地黃元方見上

五味子 鹿茸 補中益氣湯 方見上

將半年始發一二言 至一年 始言語如常(回春).

어떤 어린이가 5살이 되도록 말을 못하였는데 사람들이 모두 병신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어린이에게 육미지황원(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오미자와 녹용을 더 넣은 것과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먹였는데

반 년 안에 처음 한두 마디씩 말을 하였고 1년 만에는 제대로 말을 하였다[회춘].

 

行遲者 脚軟是也.

氣血不充 骨髓不滿 軟弱不能行 或肝腎俱虛

肝主筋 筋弱不能束骨

六味地黃元方見上 肝主風 鹿茸 牛膝 五味子 五加皮 久服之

虎骨丸亦佳 或用五加皮散(得效).

걸음발을 더디게 타는 것은 각연(脚軟)을 말한 것이다.

이것은 기혈이 충실치 못하고 골수가 충만되어 있지 못하여

힘이 없어서 걷지 못하거나 간()과 신()이 다 허하기 때문이다.

간은 힘줄을 주관하므로 힘줄이 약하면 뼈마디를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것이다.

이때는 육미지황원에 녹용, 쇠우슬, 오미자, 오가피를 더 넣어 오랫동안 먹인다.

호골환(虎骨丸)도 좋고 오가피산(五加皮散)도 쓴다[득효].

 

凡小兒行遲 齒遲 解顱 五軟 鶴膝 睛白多愁 皆因稟受腎氣不足

宜以六味地黃元 鹿茸補之 或用調元散(回春).

대개 어린이가 걸음발을 더디게 타고 이가 더디게 나오고

숫구멍이 아물지 않는 것과 5, 학슬풍(鶴膝風), 눈알이 희고 근심이 많은 것은

다 타고난 체질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육미지황원에 녹용을 더 넣어 보하거나 조원산(調元散)을 쓴다[회춘].

 

小兒鶴膝者 由稟受不足 血氣不充

故肌肉瘦瘠 骨節呈露 如瘧之膝 乃腎虛得之

宜六味地黃元當歸 牛膝 鹿茸 久服

仍以大南星炮 爲末 醋調 烘熱 貼之 甚良(回春).

어린이의 학슬풍은 타고난 체질이 부족하고 혈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살이 빠지고 뼈마디가 드러나서 학의 무릎같이 된다.

이것은 신()이 허하여 생긴 것이다.

이때는 육미지황원에 당귀, 쇠무릎(우슬), 녹용 등을 더 넣어 오랫동안 먹이고

이어 천남성(큰 것을 싸서 구운 것)을 가루내어 식초로 개어 불에 쪼인 다음

따뜻하게 해서 붙이면 매우 좋다[회춘].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龜背 龜胸][구배 구흉]  (2) 2023.04.17
[髮不生 齒不生][발불생 치불생]  (2) 2023.04.16
[顖塡 顖陷][신전 신함]  (2) 2023.04.12
[解顱][해로]  (0) 2023.04.10
[五軟 五硬][오연 오경]  (0) 2023.04.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