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調解散][조해산]

靑皮, 陳皮, 桔梗, 枳殼, 當歸, 紫蘇葉, 半夏, 川芎, 紫草茸, 木通, 乾葛, 甘草 各三分

人參一分半

右犫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入門]

청피, 진피, 길경, 지각, 당귀, 자소엽, 반하, 천궁, 자초용, 목통, 갈근, 감초 각각 1.2g, 인삼 0.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祥丸][백상환]  (2) 2023.10.24
[四齒散][사치산]  (2) 2023.10.23
[蜜皂丸][밀조환]  (0) 2023.10.16
[當歸丸][당귀환]  (2) 2023.10.15
[紫草木通湯][자초목통탕]  (0) 2023.10.12

[倒靨][도엽]

痘形陷伏倒靨者 白

其內傷氣虛而不能起發謂之 陷伏

當溫中托裏 宜內托散方見上 起脹三朝 保元湯方見上 通治.

自其外感及觸穢而言 謂之 倒靨 當溫散寒邪 宜調解散

若觸穢則辟穢散方見上 𧟄法 解之.

구슬의 모양이 함복(陷伏)과 도엽()이 되는 때가 있다.

내상(內傷)으로 기가 허하여 잘 내돋지 못하는 것을 함복이라고 한다.

이때는 반드시 속을 덮게 하고 탁리(托裏)해야 하는데

내탁산, 보원탕(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고

풍한(風寒)을 받았거나 더러운 기운에 오염되어 구슬에 딱지가 잘 앉지 않는 것을 도엽이라고 한다.

이때는 한사를 덥게 하여 흩어지게 해야 하는데 조해산이 좋다.

만약 더러운 기운에 오염되었으면 벽예산(처방은 위에 있다)을 태워 연기를 쏘인다.

 

當出不出 當脹不脹 當貫不貫 當靨不靨 勻謂之 陷伏倒靨.

반드시 내돋아야 할 때 돋지 않고 고름이 잡혀야 할 때 고름이 잡히지 않으며

딱지가 앉아야 할 때 딱지가 앉지 않는 것들은 함복, 도엽이라고 한다.

 

痘出 或爲風冷所折 致水硬 宜調解散(入門).

구슬이 내돋을 때 혹 풍한에 상한 탓으로 구슬이 뜬뜬해지면 조해산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痘白色 將靨時如豆殼者 因初起時 飮水多 其靨不齊

俗呼爲倒靨

但服實表之劑 宜保元湯(丹心)

구슬이 희고 딱지가 앉으려 할 때 그것이 콩깍지와 같은 것은

구슬이 처음 돋을 때에 물을 많이 마셨기 때문에 딱지가 일제히 앉지 못하는 것이다.

이것을 민간에서 도엽이라고 한다.

다만 표()를 실하게 하는 약을 먹어야 하는데

이때는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단심].

 

痘出不快及倒靨 宜四聖散 加味四聖散二方並見上 痘瘡治法(錢氏).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는 것과 도엽이 된 데는

사성산, 가미사성산(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전씨].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護眼][호안]  (0) 2023.11.08
[黑陷][흑함]  (0) 2023.10.20
[油醬法][유장법]  (0) 2023.10.17
[便秘][변비]  (0) 2023.10.13
[尿澁][요삽]  (2) 2023.10.11

[油醬法][유장법]

治大便久不通

香油, 淸醬 各一合 攪令十分和勻

以小竹筒 揷入肛門內 取油醬 灌入竹筒內 令人吹之 令漸入 或以物推入肛內 卽通[俗方]

대변이 오랫동안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향유, 청장 각각 1홉을 섞어서

작은 대롱이나 관장기로 항문에 밀어 넣으면 곧 통한다[속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陷][흑함]  (0) 2023.10.20
[倒靨][도엽]  (0) 2023.10.18
[便秘][변비]  (0) 2023.10.13
[尿澁][요삽]  (2) 2023.10.11
[失血][실혈]  (0) 2023.10.10

[蜜皂丸][밀조환]

蜜二三兩 熬如飴糖入爣角末二錢

和勻 捻作小鋌子 納穀道中

今用熬蜜入猪膽汁爣角末和均 作錠 用之 尤速效[醫鑑]

80-120g을 달여 엿처럼 된 데다 주염열매가루(조각말) 8g을 넣어 반죽한 다음

비벼서 작은 심지를 만들어 항문에 꽂아 넣는다.

요즘 졸인 꿀에 저담즙과 주염열매가루를 넣어 고루 섞어서 심지를 만들어 써 보니 효과가 더 빨랐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齒散][사치산]  (2) 2023.10.23
[調解散][조해산]  (2) 2023.10.19
[當歸丸][당귀환]  (2) 2023.10.15
[紫草木通湯][자초목통탕]  (0) 2023.10.12
[加味宣風散][가미선풍산]  (0) 2023.10.09

[當歸丸][당귀환]

治痘瘡 大便秘結

當歸五錢

甘草二錢半

黃連, 大黃 各一錢半

右各爲末 先將當歸熬膏了 乃入三味末和勻 作丸菉豆大

米飮呑下五七丸 漸加服 以利爲度[海藏]

마마 때 변비가 생겨 잘 나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20g, 감초 10g, 황련, 대황 각각 6g.

위의 약들을 각각 가루를 낸다. 먼저 당귀를 달여 만든 고약에 3가지 약가루를 두고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7알씩 미음으로 먹이되 점차 양을 늘여서 설사가 날 때까지 먹인다[해장].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調解散][조해산]  (2) 2023.10.19
[蜜皂丸][밀조환]  (0) 2023.10.16
[紫草木通湯][자초목통탕]  (0) 2023.10.12
[加味宣風散][가미선풍산]  (0) 2023.10.09
[大承氣湯][대승기탕]  (0) 2023.10.08

[便秘][변비]

痘疹用藥 固有權度 大小二便 不可不通

一有秘結則 腸胃壅遏 脈結氣滯 無從發說

目閉聲啞 肌肉黧黑 不旋踵而變矣(正傳).

마마와 홍역 때에 쓰는 약은 증상에 따라 변통성이 있게 써야 한다.

대소변을 나가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만일 변비가 있으면 장위(腸胃)가 막히고 기혈이 잘 돌지 못하여 독기가 빠져 나가지 못하므로

눈이 감기고 목이 쉬며 살이 검어지면서 손쓸 사이 없이 여러 가지 병이 생긴다[정전].

 

大便二日 一便者 爲順 三四日不便 爲秘 一日三四便 爲利(入門).

대변을 2일에 한번씩 보는 것은 순조로운 것이고 3-4일 동안 보지 못하는 것은 변비이다.

대변을 하루에 서너번 보는 것은 설사라고 한다[입문].

 

[錢氏]雖云 瘡疹腮腫不可下 若有裏證 及大便結者 安得不下

當歸丸 棗變百祥丸方見下 四順淸凉飮方見火門 選而用之(海藏).

전씨(錢氏)는 창진(瘡疹)에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설사시키지 못한다고 하였지만

만일 이증(裏證)이 있거나 대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 어찌 설사를 시키지 않겠는가.

그러자면 당귀환, 조변백상환(처방은 아래에 있다), 사순청량음(처방은 화문에 있다) 등에서 골라 쓸 것이다[해장].

 

痘熱壅盛 便閉不通 蜜皂丸導之 或用油醬法 潤之(醫鑒).

마마 때 열이 성하여 대변이 막힌 데는

밀조환(蜜 丸)을 항문에 꽂아 넣어 대변을 보게 하고 유장법(油醬法)을 써서 눅여 준다[의감].

 

四五日 不大便 可用肥嫩猪肉 白水煮熟 與兒食之 令藏府滋潤

大便自通 瘡痂亦易落 最妙(丹心).

4-5일 동안 대변을 보지 못하는 데는 맹물에 삶은 물렁한 돼지고기를 먹여 56부를 눅여 주면

대변이 저절로 나오고 구슬에 딱지도 쉽게 떨어지는 데 아주 좋다[단심].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倒靨][도엽]  (0) 2023.10.18
[油醬法][유장법]  (0) 2023.10.17
[尿澁][요삽]  (2) 2023.10.11
[失血][실혈]  (0) 2023.10.10
[咬牙][교아]  (0) 2023.10.07

[紫草木通湯][자초목통탕]

痘瘡不快 煩躁咬牙 尿澁

紫草茸 木通 人參 赤茯苓 糯米 各2g 甘草1g

爲剉 水煎服(入門).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고 번조해 하며 이를 갈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데

자초용, 으름덩굴(목통),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찹쌀 각각 1.6g, 감초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蜜皂丸][밀조환]  (0) 2023.10.16
[當歸丸][당귀환]  (2) 2023.10.15
[加味宣風散][가미선풍산]  (0) 2023.10.09
[大承氣湯][대승기탕]  (0) 2023.10.08
[白龍散][백룡산]  (2) 2023.10.05

[尿澁][요삽]

痘疹 小便澁者 宜導赤散方見五藏 方見上 夜啼(海藏).

마마와 홍역 때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데는

도적산(처방은 5장문에 있다)이 좋다[해장].

 

痘毒內鬱 當消息 大小便如何?

如小便澁則 通小便 宜大連翹飮方見上 諸瘡大便秘則通

四順淸凉飮方見火門方見上 收靨三朝(丹心).

마마독이 속에 몰렸을 때에는 대소변이 어떤가를 살펴서

만일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 오줌을 잘 나오게 해야 한다.

이때는 대연교음(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고 대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

대변을 통하게 해야 한다.

이때는 사순청량음(처방은 화문에 있다)이 좋다[단심].

 

痘瘡不快 煩躁咬牙 尿澁 宜人參蟬脫散 紫草木通湯(綱目).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고 번조해 하며 이를 갈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데는

인삼선태산(人蔘蟬 散)과 자초목통탕(紫草木通湯)이 좋다[강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油醬法][유장법]  (0) 2023.10.17
[便秘][변비]  (0) 2023.10.13
[失血][실혈]  (0) 2023.10.10
[咬牙][교아]  (0) 2023.10.07
[寒戰][한전]  (0) 2023.10.06

[失血][실혈]

痘疹熱盛 吐衄 便尿失血 並宜犀角地黃湯方見血門 方見上 丹毒條

마마와 홍역 때 열이 심하여 피를 토하고 코피를 흘리며

대소변으로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서각지황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出痘時 口鼻及耳血不止者 死, 吐利不止 二便下血者 亦死(醫鑒).

구슬이 내돋을 때에 입과 코, 귀에서 계속 피가 흐르는 것은 죽을 수 있다.

또는 계속 토하고 설사하며 대소변으로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은 죽을 수 있다(의감).

 

痘爛煩痛 小便澁而下血者 中壞也 不治(海藏).

구슬이 짓무르고 답답해 하며 아파하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피가 나오는 것은 속이 상한 것이므로 치료하지 못한다[해장].

 

起脹 貫膿時 便血而痘壞 無膿 者死 九竅流血者 亦死(入門).

구슬이 부풀어 오르고 고름이 잡힐 때에 대변으로 피가 섞여 나오며

구슬이 헤져도 고름이 없는 것은 죽을 수 있다.

또는 9()로 피가 흐르는 것도 죽을 수 있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便秘][변비]  (0) 2023.10.13
[尿澁][요삽]  (2) 2023.10.11
[咬牙][교아]  (0) 2023.10.07
[寒戰][한전]  (0) 2023.10.06
[斑爛][반란]  (0) 2023.10.02

[加味宣風散][가미선풍산]

卽宣風散 加靑皮10g

先下黑糞 次下褐糞 後以

[四君子湯] 加 厚朴 木香 糯米煎服 和胃,

良久 糞黃 瘡自微出 又以[] 噴身 卽發起(得效).

선풍산에 선귤껍질(靑皮) 10g을 더 넣은 것이다.

먼저 검은 똥을 누게 한 다음 갈색빛의 똥을 누게 한 뒤에

사군자탕에 후박, 목향, 찹쌀 등을 더 넣어 달여 먹여 위를 편안하게 하면

조금 있다가 대변이 누렇게 되고 구슬이 저절로 약간 내돋는다.

또는 호유주를 몸에 뿜어 주면 꺼져 들어갔던 것이 곧 부풀어 오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丸][당귀환]  (2) 2023.10.15
[紫草木通湯][자초목통탕]  (0) 2023.10.12
[大承氣湯][대승기탕]  (0) 2023.10.08
[白龍散][백룡산]  (2) 2023.10.05
[硝膽膏][초담고]  (0) 2023.10.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