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倒靨][도엽]

痘形陷伏倒靨者 白

其內傷氣虛而不能起發謂之 陷伏

當溫中托裏 宜內托散方見上 起脹三朝 保元湯方見上 通治.

自其外感及觸穢而言 謂之 倒靨 當溫散寒邪 宜調解散

若觸穢則辟穢散方見上 𧟄法 解之.

구슬의 모양이 함복(陷伏)과 도엽()이 되는 때가 있다.

내상(內傷)으로 기가 허하여 잘 내돋지 못하는 것을 함복이라고 한다.

이때는 반드시 속을 덮게 하고 탁리(托裏)해야 하는데

내탁산, 보원탕(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고

풍한(風寒)을 받았거나 더러운 기운에 오염되어 구슬에 딱지가 잘 앉지 않는 것을 도엽이라고 한다.

이때는 한사를 덥게 하여 흩어지게 해야 하는데 조해산이 좋다.

만약 더러운 기운에 오염되었으면 벽예산(처방은 위에 있다)을 태워 연기를 쏘인다.

 

當出不出 當脹不脹 當貫不貫 當靨不靨 勻謂之 陷伏倒靨.

반드시 내돋아야 할 때 돋지 않고 고름이 잡혀야 할 때 고름이 잡히지 않으며

딱지가 앉아야 할 때 딱지가 앉지 않는 것들은 함복, 도엽이라고 한다.

 

痘出 或爲風冷所折 致水硬 宜調解散(入門).

구슬이 내돋을 때 혹 풍한에 상한 탓으로 구슬이 뜬뜬해지면 조해산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痘白色 將靨時如豆殼者 因初起時 飮水多 其靨不齊

俗呼爲倒靨

但服實表之劑 宜保元湯(丹心)

구슬이 희고 딱지가 앉으려 할 때 그것이 콩깍지와 같은 것은

구슬이 처음 돋을 때에 물을 많이 마셨기 때문에 딱지가 일제히 앉지 못하는 것이다.

이것을 민간에서 도엽이라고 한다.

다만 표()를 실하게 하는 약을 먹어야 하는데

이때는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단심].

 

痘出不快及倒靨 宜四聖散 加味四聖散二方並見上 痘瘡治法(錢氏).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는 것과 도엽이 된 데는

사성산, 가미사성산(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전씨].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護眼][호안]  (0) 2023.11.08
[黑陷][흑함]  (0) 2023.10.20
[油醬法][유장법]  (0) 2023.10.17
[便秘][변비]  (0) 2023.10.13
[尿澁][요삽]  (2) 2023.10.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