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痘後雜病][두후잡병]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

痘疹 愈而再發 或氣虛禀弱 坐臥振搖者 宜用保元湯方見上 方見上 通治

마마가 나았다가 도지거나 타고난 체질이 약한 탓으로

앉으나 누우나 몸이 떨리는 데는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愈後 忽遍身靑黑 口噤搐搦 此氣虛感風 宜用消風散方見頭門.

마마가 나은 뒤에 갑자기 온몸이 검푸르고 이를 악물며 경련이 일어나는 것은

기가 허한 데다 풍에 상한 것이므로 소풍산(처방은 두부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愈後 非時發搐 目竄面赤 乃心熱挾痰 宜用抱龍丸方見上 急驚風(入門).

마마가 나은 뒤에 갑자기 경련이 일고 눈을 치뜨며 얼굴이 붉은 것은

()에 열이 있는 데다 담을 겸한 것이므로 포룡환(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愈後 餘瘡 塞鼻中 不得睡臥 宜用木筆花散(得效).

마마가 나은 뒤에 남은 열로 코 안이 헐고 코가 메어 누워 자지 못하는 데는

목필화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痘愈後 心痛 不可忍 此餘毒歸心 急服乳香散(丹心).

마마가 나은 뒤에 가슴이 아파서 견딜 수 없는 것은 여독이 심()에 들어간 것이다.

빨리 유향산을 먹여야 한다[단심].

 

痘愈後 失音 宜用天花散(正傳).

마마가 나은 뒤에 목이 쉰 데는 천화산(天花散)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痘愈後餘毒 成走馬疳 牙齦爛 宜付搽牙散.

마마가 나은 뒤에 여독으로 주마감아(走馬疳牙)가 되어 잇몸이 짓무른 데는

다아산을 바르는 것이 좋다.

 

痘愈後咽喉腫痛 宜服七味甘桔湯(醫鑒).

마마가 나은 뒤에 목구멍이 붓고 아픈 데는 칠미감길탕을 먹이는 것이 좋다[의감].

 

痘餘毒 肝虛則入眼目 肺虛則爲疥癬

或爲癰癤 而發在骨節 腎之虛也. 發在肌肉 脾之虛也

或在筋或在頭 或在面或牙齒疳蝕 或咽喉腫痛

宜服解毒藥 消毒飮方見上 痘瘡治法 三豆飮二方見上之類(海藏).

마마의 여독으로 간()이 허하면 그것이 눈에 들어가고 폐()가 허하면 옴이 된다.

혹 옹절(癰癤)이 뼈마디에 생긴 것은 신()이 허한 것이고 살에 생긴 것은 비()가 허한 것이다.

힘줄이나 머리 혹은 얼굴에 생겼거나 이가 삭았거나 목구멍이 부어 아픈 데는

독을 푸는 약인 소독음, 삼두음(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먹이는 것이 좋다[해장].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痘後瞖膜][두후예막]  (4) 2023.11.20
[痘後諸疾][두후제질]  (0) 2023.11.20
[滅癍][멸반]  (2) 2023.11.12
[護眼][호안]  (0) 2023.11.11
[脂膏][지고]  (0) 2023.11.09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六月上伏日 採葫蘆嫩蔓 數十根陰乾遇

正月初一日 五更勿令人知將葫蘆蔓

安鍋內燒湯一盆洗未 出痘小孩

兒渾身頭面 上下無處

不洗到方可 此後卽不出痘[唐人秘傳]

음력 6월 상복일에 호로파의 연한 뿌리를 수십 개 캐어 그늘에 말려 두었다가

음력 정월 초에 그릇에 넣고 끓인다.

마마를 앓지 않은 어린이를 씻어 주되 온몸을 다 씻어 주면

그후부터 마마에 걸리지 않는다(당인비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乳香散][유향산]  (0) 2023.11.17
[木筆花散][목필화산]  (2) 2023.11.16
[稀痘湯][희두탕]  (0) 2023.11.14
[蜆子水][현자수]  (0) 2023.11.13
[滅瘢散][멸반산]  (0) 2023.11.13

[稀痘湯][희두탕]

卽 秘傳稀痘湯也

凡痘收櫏時 取此湯 微溫 洗面則無瘢痕

洗半面 則半面無瘢痕 神效(方見上)[俗方]

즉 비전희두탕(秘傳稀痘湯)이다.

대개 구슬에 딱지가 앉을 때에 이 약물을 약간 따뜻하게 데워서 얼굴을 씻으면 허물이 없어진다.

얼굴 한쪽만 씻으면 한쪽만 허물이 없어지는 것이 묘하다[속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筆花散][목필화산]  (2) 2023.11.16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0) 2023.11.14
[蜆子水][현자수]  (0) 2023.11.13
[滅瘢散][멸반산]  (0) 2023.11.13
[臙脂膏][연지고]  (0) 2023.11.11

[蜆子水][현자수] [가막조개물]

痘後 以此洗面 漸生肌肉 無瘢痕

取活竗子 不以多少 以水養五日 每日取此水 常洗手面[入門]

마마를 앓은 뒤에 이 약으로 얼굴을 씻으면 살이 점점 살아 나와서 허물이 없어진다.

산 가막조개 적당한 양을 5일 동안 물에 넣어 두었다가 그 물로 매일 손과 얼굴을 씻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0) 2023.11.14
[稀痘湯][희두탕]  (0) 2023.11.14
[滅瘢散][멸반산]  (0) 2023.11.13
[臙脂膏][연지고]  (0) 2023.11.11
[黃栢膏][황백고]  (0) 2023.11.10

[滅瘢散][멸반산]

韶粉一兩(卽檝粉), 輕粉二分半

右硏細 煉猪油 調和塗瘢上 日三次[綱目]

연분 40g, 경분 1g.

위의 약들을 잘 갈아서 졸인 돼지기름으로 개어 딱지가 떨어진 자리에 매일 세번씩 발라 준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稀痘湯][희두탕]  (0) 2023.11.14
[蜆子水][현자수]  (0) 2023.11.13
[臙脂膏][연지고]  (0) 2023.11.11
[黃栢膏][황백고]  (0) 2023.11.10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0) 2023.11.07

[滅癍][멸반]   [흠집을 없애는 법]

痘纔着痂 卽用菜子油卽蔓菁子 不住潤之 可揭則揭

若不潤及遲 揭則瘡痂硬 必隱成瘢痕(錢乙).

구슬에 딱지가 앉으면 곧 순무씨 기름으로 끊임없이 눅여 주고 떨어지게 된 것은 떼버린다.

만일 눅여 주지 않거나 더디게 떼면 딱지가 굳어서 반드시 허물이 생긴다[전을].

 

痘成痂 頻以酥油 白蜜潤之 可揭卽揭 血出無妨

若乾硬必成瘢痕.

구슬에 딱지가 앉을 때에는 자주 연유나 흰 꿀로 눅여 주고

떨어지게 된 때는 곧 떼버리는데 피가 나와도 해롭지 않다.

만일 딱지가 말라서 굳어지면 반드시 허물이 생긴다.

 

痘將葉 乾硬而痛 宜以眞酥潤之 無酥則猪脂煎汁代之(得效).

구슬에 딱지가 앉으려 할 때에 마르고 굳어져서 아픈 데는 연유로 눅여 주는 것이 좋다.

연유가 없으면 대용으로 돼지기름을 졸여서 쓴다[득효].

 

痘痂雖落 其瘢痕猶黯 肉起而或凹或凸 當用滅瘢散 蜆子水(綱目).

구슬에 딱지가 떨어졌더라도 그 허물이 오히려 검거나 살이 울퉁불퉁하면

멸반산(滅瘢散), 가막조개물을 늘 쓰는 것이 좋다[강목].

 

痘落後 宜用滅瘢痕方 羊骨同骨髓40g煉一二沸 輕粉4g 爲硏如膏 每日塗瘡上.

구슬에 딱지가 떨어진 후 허물을 없애는 약을 쓰는 것이 좋다.

이때는 양의 정강이뼈 속의 골수 40g을 한두 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경분 4g을 넣는다.

이것을 잘 개어서 고약을 만들어 날마다 허물에 바른다.

 

或用 稀痘湯(綱目).

혹 희두탕(稀痘湯)을 쓰기도 한다[강목].

 

密陀僧末 臨臥塗面 明朝洗去(本草).

밀타승가루를 잠잘 무렵 얼굴에 바르고 다음날 아침에 씻어 버린다[본초].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痘後諸疾][두후제질]  (0) 2023.11.20
[痘後雜病][두후잡병]  (2) 2023.11.15
[護眼][호안]  (0) 2023.11.11
[脂膏][지고]  (0) 2023.11.09
[護眼][호안]  (0) 2023.11.08

[痘初出 護眼一方][두초출 호안일방]

鼠粘子 爲末 水調 貼顖門上 則痘不入眼(蘭氏).

구슬이 처음 내돋을 때에 우엉씨(서점자)를 가루내어

물로 갠 다음 숫구멍에 붙이면 구슬이 눈에 돋지 않는다[소씨].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痘後雜病][두후잡병]  (2) 2023.11.15
[滅癍][멸반]  (2) 2023.11.12
[脂膏][지고]  (0) 2023.11.09
[護眼][호안]  (0) 2023.11.08
[黑陷][흑함]  (0) 2023.10.20

[臙脂膏][연지고]

乾檎脂 蜜調塗兩眼圏則 痘不入眼[丹心]

마른 연지를 꿀로 개어 두 눈두덩에 발라 주면 구슬이 눈에 돋지 않는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蜆子水][현자수]  (0) 2023.11.13
[滅瘢散][멸반산]  (0) 2023.11.13
[黃栢膏][황백고]  (0) 2023.11.10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0) 2023.11.07
[麻黃湯][마황탕]  (0) 2023.11.06

[黃栢膏][황백고]

一名, 護眼膏.

一名, 神應膏.

黃栢一兩, 甘草四兩, 紅花二兩, 菉豆粉一兩半

右爲末 淸油調 從耳前至于兩眼四畔 厚塗之[錢乙]

일명 호안고(護眼膏) 또는 신응고(神應膏)라고도 한다.

황백 40g, 감초 160g, 잇꽃(홍화) 80g, 녹두가루 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참기름으로 개어 귀 앞에서부터 두 눈의 주위까지 두텁게 발라 준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滅瘢散][멸반산]  (0) 2023.11.13
[臙脂膏][연지고]  (0) 2023.11.11
[牛黃淸心元][우황청심원]  (0) 2023.11.07
[麻黃湯][마황탕]  (0) 2023.11.06
[周天散][주천산]  (0) 2023.11.05

[脂膏][지고]

回漿時 眼腫不能開者

以水濕絹巾拭去 膿屎

略用手指 攀開眼皮 透一點風 則不致生瞖膜.

물이 실릴 때에 눈이 부어서 뜨지 못하는 데는

비단수건을 물에 적셔서 눈꼽과 고름을 닦아내고

손가락으로 가볍게 눈꺼풀을 뒤집어서 바람을 좀 통하게 하면 예막이 생기지 않는다.

 

眼角出膿太甚 必損雙目

宜淸解內毒 以預防 用消毒飮 犀角地黃湯方見上 丹毒(入門).

눈귀[眼角]에서 고름이 몹시 나오면 반드시 두 눈을 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속에 있는 독을 풀고 또 예방하기 위해 소독음, 서각지황탕(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滅癍][멸반]  (2) 2023.11.12
[護眼][호안]  (0) 2023.11.11
[護眼][호안]  (0) 2023.11.08
[黑陷][흑함]  (0) 2023.10.20
[倒靨][도엽]  (0) 2023.10.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