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免屎湯][토시탕]

治 痘後 生瞖障

兎屎焙爲末 每一錢 茶淸調下 最妙[入門]

마마를 앓은 뒤에 예막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토시를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4g씩 차 달인 물에 타 먹이면 아주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消毒湯][소독탕]  (0) 2023.12.04
[四皮飮][사피음]  (1) 2023.12.02
[吹雲散][취운산]  (0) 2023.12.01
[通明散][통명산]  (0) 2023.11.30
[羗菊散][강국산]  (2) 2023.11.29

[吹雲散][취운산]

治痘後 生瞖膜

黃丹水飛一錢, 輕粉三分, 龍腦一釐

右爲末 以鵝翎 管吹入耳內

如左眼病吹入右耳

右眼病吹入左耳

一日三次 兼服通明散

宜早治之 久則難治[醫鑑]

마마후에 생긴 예막을 치료한다.

황단(수비한 것) 4g, 경분 1.2g, 용뇌 0.0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거위깃으로 만든 대롱을 귀 안에 대고 약을 불어넣되

왼쪽 눈에 병이 있으면 오른쪽 귀에 불어넣고

오른쪽 눈에 병이 있으면 왼쪽 귀에 불어넣는다.

이렇게 하루 세번 불어넣고 겸하여 통명산을 먹인다.

일찍이 치료해야 한다. 오래되면 치료하기 어렵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皮飮][사피음]  (1) 2023.12.02
[免屎湯][토시탕]  (3) 2023.12.02
[通明散][통명산]  (0) 2023.11.30
[羗菊散][강국산]  (2) 2023.11.29
[蟬菊散][선국산]  (0) 2023.11.28

[通明散][통명산]

治 痘後 生瞖膜

當歸, 川芎, 赤芍藥, 生地黃, 防風,

乾葛, 甘菊, 天花粉, 蟬殼 各二分半

穀精草五分

右犫作一貼 水煎服[醫鑑]

마마후 예막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함박꽃뿌리(적작약), 생지황, 방풍,

칡뿌리(갈근), 단국화(감국), 하늘타리뿌리(천화분), 매미허물(선각) 각각 1g,

곡정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免屎湯][토시탕]  (3) 2023.12.02
[吹雲散][취운산]  (0) 2023.12.01
[羗菊散][강국산]  (2) 2023.11.29
[蟬菊散][선국산]  (0) 2023.11.28
[決明元][결명원]  (2) 2023.11.27

[羗菊散][강국산]

治痘後 生次膜疼痛 羞明

羌活 蟬殼 蛇砡 防風 甘菊 穀精草

木賊 梔子 白珰藜 大黃 黃連 甘草 各等分

右爲末 每一錢 淸米厹調下[得效]

마마를 앓은 뒤에 예막이 생겨서 아프며 눈이 부셔뜨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매미허물(선각), 뱀허물(사태), 방풍, 단국화(감국), 곡정초,

속새(목적), 산치자, 남가새열매(백질려), 대황, 황련,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쌀 씻은 맑은 물에 타 먹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吹雲散][취운산]  (0) 2023.12.01
[通明散][통명산]  (0) 2023.11.30
[蟬菊散][선국산]  (0) 2023.11.28
[決明元][결명원]  (2) 2023.11.27
[二仙散][이선산]  (4) 2023.11.26

[蟬菊散][선국산]

治痘後 生瞖障

蟬殼 白菊花 各一錢

右入蜜 少許 水煎服之[得效]

마마 후 눈에 백태끼는 것을 치료한다.

매미허물(선각), 흰국화(白菊花) 각각 4g

꿀을 조금 넣어 물에 달여 먹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明散][통명산]  (0) 2023.11.30
[羗菊散][강국산]  (2) 2023.11.29
[決明元][결명원]  (2) 2023.11.27
[二仙散][이선산]  (4) 2023.11.26
[地黃散][지황산]  (0) 2023.11.25

[決明元][결명원]

治痘瘡入眼 雖赤白障瞖膜 遮漫黑睛 但瞳子 不陷者 可治

石決明禭 川芎 黃栢 各一兩

蒼朮 五錢

右爲末 以兎肝和丸 菉豆大 米厹下三十丸 無兎肝 代以羊肝[得效]

마마후 안구 뾰류지, 붉은 백내장 딱지, 눈동자는 괜찬은 검은눈을 치료한다.

전복껍질(석결명, 달군 것), 궁궁이(천궁), 황백 각각 40g,

삽주(창출)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토끼간과 같이 짓찧어 녹두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쌀 씻은 물로 먹인다.

토끼간이 없으면 양의 간을 쓴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羗菊散][강국산]  (2) 2023.11.29
[蟬菊散][선국산]  (0) 2023.11.28
[二仙散][이선산]  (4) 2023.11.26
[地黃散][지황산]  (0) 2023.11.25
[蟬猪散][선저산]  (2) 2023.11.24

[二仙散][이선산]

治食毒物 睛凸出

仙靈脾 威靈仙 各一錢

右犫作一貼 水煎服[入門]

독이 있는 음식을 먹고 눈동자가 볼록해진 것을 치료한다.

팔파리(음양곽), 으아리(위령선)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蟬菊散][선국산]  (0) 2023.11.28
[決明元][결명원]  (2) 2023.11.27
[地黃散][지황산]  (0) 2023.11.25
[蟬猪散][선저산]  (2) 2023.11.24
[通聖散][통성산]  (2) 2023.11.23

[地黃散][지황산]

治暴遮黑睛 多致失明

生地黃 熟地黃 當歸 防風 羌活 蟬殼 犀角 木賊 穀精草 白珰藜 大黃 各一錢

玄參五分 木通 甘草 各二分半

右爲末 每取五分 以羊肝煮汁調服[入門]

눈동자를 가리는 검은 막으로 실명에 되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숙지황, 당귀, 방풍, 강활, 선각, 서각, 목적, 곡정초, 백질려, 대황 각각 4g,

현삼 2g, 으름덩굴(목통), 감초 각각 1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씩 양의 간을 달인 물에 타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決明元][결명원]  (2) 2023.11.27
[二仙散][이선산]  (4) 2023.11.26
[蟬猪散][선저산]  (2) 2023.11.24
[通聖散][통성산]  (2) 2023.11.23
[密蒙花散][밀몽화산]  (2) 2023.11.22

[蟬猪散][선저산]

蟬殼一兩

猪懸蹄甲二兩入罐內鹽泥固濟燒存性

羚羊角屑二錢半

右爲細末 一歲兒取三分 三歲兒五分 漿水調服 日三夜一[錢乙]

매미허물(선각) 40g,

돼지발뒤꿈치발톱(약탕관에 넣고 소금을 두고 이긴 진흙으로 잘 싸 바른 다음 약성이 남게 태운다) 80g,

영양각가루 1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1살 난 어린이에게는 1.2g, 3살 난 어린이에게는 2g

신좁쌀죽웃물에 타 먹이되 낮에는 세번, 밤에는 한번 먹인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仙散][이선산]  (4) 2023.11.26
[地黃散][지황산]  (0) 2023.11.25
[通聖散][통성산]  (2) 2023.11.23
[密蒙花散][밀몽화산]  (2) 2023.11.22
[瀉靑丸][사청환]  (4) 2023.11.21

[通聖散][통성산]

白菊花, 菉豆皮, 穀精草 各等分

右爲末 取一錢 乾栉一箇

米厹一盞同煎 候厹盡 只取枾食之 日三[活人]

흰국화(白菊花), 녹두껍질, 곡정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4g씩 곶감 1개와 함께

쌀 씻은 물 1잔에 넣고 달여서 물이 다 줄면 곶감만을 먹는데 하루 세번씩 먹인다[활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地黃散][지황산]  (0) 2023.11.25
[蟬猪散][선저산]  (2) 2023.11.24
[密蒙花散][밀몽화산]  (2) 2023.11.22
[瀉靑丸][사청환]  (4) 2023.11.21
[三豆飮][삼두음]  (1) 2023.11.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