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伏龍肝][복룡간]

治小兒赤遊丹毒

行於身上下至心卽死

取爲細末 芭蕉汁或雞子白 或井水調塗(本草)

어린이의 적유단독(赤遊丹毒)을 치료한다.

이것이 온몸으로 퍼지다가 속으로 들어가면 죽을 수 있다.

복룡간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파초즙이나 달걀 흰자위나 우물물로 개어 발라 준다[본초].

'[雜病篇] > [小兒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焰硝][염초]  (0) 2023.12.16
[臘雪水][납설수]  (0) 2023.12.15
[胡粉][호분]  (0) 2023.12.14
[白礬][백반]  (0) 2023.12.12
[化䘌丸][ 화닉환]  (0) 2023.02.12

[白礬][백반]

小兒臍瘡 又臍中汁出不止 枯白礬末糝之.

初生小兒 有皮膜如石榴膜 裹舌 可以指爪刺破 令血出以枯白礬末 敷之

若不摘去兒必瘂.

어린이의 배꼽이 헐거나 배꼽에서 진물이 계속 나오는 데는 고백반가루를 뿌려 준다.

갓난아이에게 석류막 같은 막이 혀에 덮여 있는 데는

손톱으로 터뜨려 피를 내고 고백반가루를 뿌려 준다.

만일 그것을 그대로 두면 벙어리가 될 수 있다[본초].

'[雜病篇] > [小兒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焰硝][염초]  (0) 2023.12.16
[臘雪水][납설수]  (0) 2023.12.15
[胡粉][호분]  (0) 2023.12.14
[伏龍肝][복룡간]  (0) 2023.12.13
[化䘌丸][ 화닉환]  (0) 2023.02.12

[葛根麥門冬散][갈근맥문동산]

石膏一錢

葛根, 麥門冬 各六分

人參, 升麻, 赤茯巔, 赤芍藥, 甘草 各三分

右犫 水煎服[丹心]

석고 4g,

칡뿌리(갈근), 맥문동 각각 2.4g,

인삼, 승마, 벌건솔풍령(적복령), 함박꽃뿌리(적작약),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인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葱白湯][총백탕]  (0) 2023.12.11
[蘇葛湯][소갈탕]  (0) 2023.12.11
[安胎散][안태산]  (0) 2023.12.10
[罩胎散][조태산]  (2) 2023.12.09
[薤白湯][해백탕]  (4) 2023.12.08

[葱白湯][총백탕]

生瘳去靑葉 取白根連鬚 不拘多少 水煎 取汁服[醫鑑]

생파(푸른 잎을 버리고 흰밑에 뿌리가 달린 것) 적당한 양을 물에 달여 먹인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葛根麥門冬散][갈근맥문동산]  (0) 2023.12.12
[蘇葛湯][소갈탕]  (0) 2023.12.11
[安胎散][안태산]  (0) 2023.12.10
[罩胎散][조태산]  (2) 2023.12.09
[薤白湯][해백탕]  (4) 2023.12.08

[蘇葛湯][소갈탕]

紫蘇葉, 乾葛, 甘草 各二錢

白芍藥一錢半

陳皮, 縮砂硏 各五分

右犫 入瘳白二莖 生薑三片 水煎服[醫鑑]

차조기잎(자소엽), 칡뿌리(갈근), 감초 각각 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6g,

귤껍질(陳皮), 사인(가루를 낸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파밑(총백) 2,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葛根麥門冬散][갈근맥문동산]  (0) 2023.12.12
[葱白湯][총백탕]  (0) 2023.12.11
[安胎散][안태산]  (0) 2023.12.10
[罩胎散][조태산]  (2) 2023.12.09
[薤白湯][해백탕]  (4) 2023.12.08

[癍疹][반진[반과 진을 덧붙임]  

 

有色點而無顆粒者 曰癍 浮小而有顆粒者 曰疹(正傳).

빛깔만 다르게 나타나고 싸락알갱이 같은 것이 돋지 않은 것을 반[]이라 하고

작은 싸락알갱이 같은 것이 돋는 것은 진()이라고 한다[정전].

 

癍紅痕如錦紋 或如蚊跡 熱極 則發疹者

如粟米 微紅隱隱皮膚 不出作痒 全無腫痛.

반은 비단무늬나 모기에 물린 자리 같기도 한데 열이 아주 심해지면 생긴다.

그러나 진은 좁쌀 같은 것이 돋는데 약간 붉으며 은은히 피부로 내돋지 않으면 가렵고 붓고 아프지는 않다.

 

麻子最小 隱隱如麻子 頂平軟不碍指 卽有淸水

痘多挾疹同出 麻亦多挾疹同出 故曰痘疹 麻疹

홍역의 꽃은 제일 작을 뿐 아니라 은은히 나타나고 삼씨와 같고 꼭대기가 평평하고

부드러워서 손가락으로 만져도 거치적거리지 않고 속에 맑은 물이 있다.

마마 때 구슬은 대개 진과 함께 돋고 홍역 때 꽃도 대개 진과 함께 나오기 때문에 두진(痘疹), 마진(麻疹)이라고 했다.

 

痘屬五藏爲陰 難出難靨 麻屬六府爲陽 易出而靨.

마마는 5장에 속하고 음증이기 때문에 구슬이 돋기 어렵고 딱지도 앉기 어렵다.

홍역은 6부에 속하고 양증이기 때문에 쉽게 꽃이 돋고 쉽게 없어지기도 한다.

 

麻毒 原來只肺胃 紅癍五六日 方出 狀如麻子 遍身無空處

初熱三日 發出起脹 共三日出 而又沒 沒而又出 出沒一周時許

重者 遍身繃脹 眼亦封閉有赤白 微黃色 不同 仍要紅活 最嫌黑陷.

홍역의 독은 원래 폐위(肺胃)와 관련되므로 붉은 꽃이 5-6일 만에 내돋는데

그 모양이 삼씨 같고 온몸에 돋지 않는 곳이 없다.

3일 동안은 열이 나고 3일 동안은 꽃이 돋으면서 물이 실리는데 먼저 돋은 것은 사라지고

또 한쪽으로는 돋는데 이렇게 돋았다 사라졌다 하기를 한돌림[一周時] 한다.

중한 것은 온몸이 부은 것 같고 눈을 뜨지 못하기도 하며 빛이 붉고 희며 약간 누른 것이 하나 같지 않다.

불그스름하고 윤택한 것이 제일 좋고 검고 속으로 꺼져 들어가는 것이 제일 좋지 않다.

 

麻疹雜證 與痘瘡大同 但始終 藥宜淸凉.

홍역 때의 잡증(雜證)이 대체로 마마 때와 비슷하다.

다만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약들 쓰되 성질이 서늘하고 찬 것을 쓰는 것이 좋다.

 

麻疹 以升麻葛根湯方見寒門 方見上 發熱三朝 加葱白 紫蘇葉 乃麻疹初起之神方也

或用蘇葛湯 亦佳 或以加味敗毒散方見上 發熱三朝 表之 汗後身凉 紅痕自滅.

홍역에는 승마갈근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파밑(총백)과 차조기잎(자소엽)을 더 넣어 쓰는데 홍역 초기에 좋은 처방이다.

혹 소갈탕(蘇葛湯)을 써도 좋으며 혹 가미패독산(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서

해표(解表)해서 땀을 내면 후에 몸이 서늘하고 붉은 꽃이 절로 사라진다.

 

麻不出而喘者死

變成黑癍者 亦死(入門).

홍역 때에 꽃이 내돋지 않고 숨이 차면 죽을 수 있다.

꽃이 검어져도 죽을 수 있다[입문].

 

麻疹 當以葱白湯飮之 其麻自出 如渴只宜 葱白湯

以滋其渴 使毛竅中常微汗 潤澤可也.

過三日不沒者 內有實熱 犀角地黃湯方見血門 方見上 丹毒解之(醫鑒).

홍역 때 총백탕을 먹이면 꽃이 절로 내돋으며 만일 갈증이 있으면 다만 총백탕을

먹여서 갈증을 눅여 주며 털구멍으로 약간의 땀이 늘 축축하게 나오도록 하는 것이 좋다.

3일이 지나도 꽃이 사라지지 않는 것은 속에 실열이 있는 것이므로

서각지황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으로 풀어 준다[의감].

 

癍駁 疹毒之病 是肺胃熱毒 熏發於皮膚 狀如蚊蚤所咬 故謂之 赤癍

今俗謂之 紅疫 毒疫 宜用葛根麥門冬散(丹心).

얼굴얼룩하게 내돋은 반진독의 병은 폐와 위에 있는 열독이 피부로 나와서 생긴 것인데 그 모양이 마치 모기나 벼룩에게 물린 자리 같기 때문에 적반[赤癍]이라고 한다.

지금 민간에서는 홍역(紅疫), 독역(毒疫)이라 하는데 갈근맥문동산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孕婦痘瘡][부잉부두창]  (3) 2023.12.08
[痘後痢疾][두후이질]  (2) 2023.12.07
[痘後癰癤][두후옹절]  (2) 2023.12.03
[治痘後瞖膜 點法][치두후예막 점법]  (3) 2023.12.03
[痘後瞖膜][두후예막]  (4) 2023.11.20

[安胎散][안태산]

人參, 陳皮, 大腹皮, 白朮, 當歸, 川芎, 白芍藥,

香附子, 童便炒縮砂, 紫蘇葉, 赤茯巔, 甘草 各三分

右犫作一貼 入燈心七莖 姎米百粒 同煎服[正傳]

인삼, 귤껍질(陳皮), 대복피, 흰삽주(백출),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향부자(동변으로 축여 볶은 것), 사인, 차조기잎(자소엽),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초) 7줄기, 찹쌀 100알과 함께 달여 먹인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葱白湯][총백탕]  (0) 2023.12.11
[蘇葛湯][소갈탕]  (0) 2023.12.11
[罩胎散][조태산]  (2) 2023.12.09
[薤白湯][해백탕]  (4) 2023.12.08
[必勝膏][필승고]  (2) 2023.12.07

[罩胎散][조태산]

赤茯巔, 白朮, 當歸, 赤芍藥, 柴胡, 乾葛,

人參, 桔梗, 條芩, 防風, 陳皮, 荊芥, 枳殼, 紫草,

阿膠, 白芷, 川芎, 縮砂, 甘草 各三分

右犫作一貼 入姎米百粒 枾疴七箇, 苧根七寸 瓜疵一箇

以銀器用荷葉盖覆 水煎空心服 無銀器 以砂罐煎之 荷葉雖無不妨[正傳]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당귀, 함박꽃뿌리(작약), 시호, 칡뿌리(갈근),

인삼, 도라지(길경), 속썩은풀(황금), 방풍, 귤껍질(陳皮), 형개, 지각, 지치,

갖풀(아교), 구릿대(백지), 궁궁이(천궁), 사인,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100, 감꼭지 7, 모시뿌리 7, 참외꼭지 1개와

함께 은그릇에 넣고 연잎을 덮은 다음 물에 달여 빈속에 먹인다.

은그릇이 없으면 사기그릇에 넣어 달인다.

연잎이 없어도 괜찮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蘇葛湯][소갈탕]  (0) 2023.12.11
[安胎散][안태산]  (0) 2023.12.10
[薤白湯][해백탕]  (4) 2023.12.08
[必勝膏][필승고]  (2) 2023.12.07
[綿繭散][면견산]  (2) 2023.12.06

[孕婦痘瘡][부잉부두창]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

孕婦發痘瘡 宜罩胎散

熱甚 宜參蘇飮方見寒門 方見上 搐搦 瘈瘲輕重 瘡稠密

內托散方見上 起脹三朝 倍芍藥 當歸 去桂 加香附 烏藥,

胎動 宜安胎散(正傳).

임신부에게 마마가 생긴 데는 조태산이 좋다.

열이 심하면 삼소음(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 좋고 구슬이 배게 돋은 데[稠密]

내탁산(처방은 위에 있다)에 집함박꽃뿌리(백작약)와 당귀를 곱절 넣고

계피는 빼고 향부자와 오약을 더 넣어 쓴다.

태동(胎動)이 있으면 안태산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 癍疹][부 반진]  (2) 2023.12.10
[痘後痢疾][두후이질]  (2) 2023.12.07
[痘後癰癤][두후옹절]  (2) 2023.12.03
[治痘後瞖膜 點法][치두후예막 점법]  (3) 2023.12.03
[痘後瞖膜][두후예막]  (4) 2023.11.20

[薤白湯][해백탕]

穧白切半盞 豆栥一盞 山梔子十枚去皮

右水煮 穧白爛 去滓 溫服[入門]

염교흰밑(썬 것) 반잔, 약전국 1, 산치자(껍질을 버린 것) 10.

위의 약들을 물에 달이되 염교가 푹 물렀으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安胎散][안태산]  (0) 2023.12.10
[罩胎散][조태산]  (2) 2023.12.09
[必勝膏][필승고]  (2) 2023.12.07
[綿繭散][면견산]  (2) 2023.12.06
[雄黃散][웅황산]  (1) 2023.12.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