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産後風][산후풍]

凡 産後發熱 若舌蹇唇急 手指微動 便急作風痓療之 宜歸荊湯 獨活酒(直指).

해산 후에 열이 나면서 혀가 뻣뻣하고 입술이 조여들며

손가락만 약간 움직일 때에는 풍치로 알고 치료하여야 한다.

이때는 귀형탕(歸荊湯), 독활주(獨活酒) 등을 쓰는 것이 좋다[직지].

 

産後中風 名曰 蓐風 口噤牙緊 手足瘈瘲 欲死 宜愈風散 歸荊湯,

如口噤反張 涎潮者爲痓 宜交加散 豆淋酒 紫湯(入門).

해산 후의 중풍(中風)을 욕풍( )이라고도 하는데

이를 악물고 손발에 경련이 일어 가드라들기도 하고

늘어지기도 하면서 죽을 것 같을 때는

유풍산(愈風散), 귀형탕(歸荊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만일 이를 악물고 몸이 뒤로 젖혀지며 느침을 흘리면 이것은 치병( )이다.

이때에는 교가산(交加散), 두림주(豆淋酒), 자탕(紫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産後痓 血氣大虛 不宜發表 但用防風當歸散 最妙(綱目)

해산 후의 치병은 기혈이 몹시 허약해져서 생기기 때문에

땀을 내는 약을 쓰지 못한다.

다만 방풍당귀산(防風當歸散)을 쓰는 것이 제일 좋다[강목].

 

産後風病 宜用血風湯(丹心).

해산 후의 풍증에는 혈풍탕(血風湯)을 쓴다[단심].

 

産後痓 因虛遇風 挾痰而作 宜服人參 竹瀝之類,

竹瀝1升 頻服大效(千金).

해산 후에 치병이 생기는 것은 허해진 데다 바람을 맞고 담()을 겸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인삼과 참대기름 같은 것을 먹는 것이 좋다.

또는 참대기름 1되를 자주 먹어도 매우 효과가 있다[천금].

 

産後中風 必當大補氣血 然後治痰

切不可作中風治 而用發表出汗之藥

八物湯方見虛勞 方見上 産後見鬼譫語 加減用之 爲可(丹心).

해산 후의 중풍에는 반드시 기혈을 많이 보한 다음 담()을 치료하여야 한다.

중풍으로 알고 표()를 풀어 주거나 땀을 내는 약으로 치료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팔물탕(八物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가감하여 쓰는 것이 좋다[단심].

 

産後汗多 風入成痓者 難治(入門).

해산 후 땀을 많이 내고 바람을 맞아 치병이 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입문].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産後心腹腰脇痛][산후심복요협통]  (0) 2022.06.16
[産後頭痛][산후두통]  (0) 2022.06.15
[鬱冒][울모]  (0) 2022.06.02
[治産後陰脫][치산후음탈]  (0) 2022.06.01
[陰脫治驗][음탈치험]  (0) 2022.05.31

[鬱冒][울모]

婦人 經水適下而發其汗 則鬱冒不知人何也?

師曰 經水下 故爲裏虛而發其汗 則表亦虛 此爲表裏俱虛 故令鬱冒也(脈經).

마침 월경이 있을 때에 땀을 내면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져서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의사가 대답하기를 “월경이 나오면 이(裏)가 허(虛)해지면서 땀이 나는데

땀이 나면 또한 표(表)가 허해지기 때문에 정신이 혼미해 지게 된다”고 하였다[맥경].

 

産後 亡血昏冒不省 移時方悟 名曰鬱冒 亦名血厥

宜用倉公散 搐鼻令嚔, 內服白薇湯二方並見救急門.

해산 후에 피를 많이 흘려서 정신이 혼미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다가

잠시 후에 깨어나는 것을 울모라고 하며 또 혈궐(血厥)이라고도 한다. 

이런 때에는 창공산(倉公散)을 콧구멍에 불어넣어 재채기를 하게 한 다음

백미탕(白薇湯)을 먹이는 것이 좋다(두 가지 처방은 구급문에 있다).

 

婦人 産後亡血 昏冒不省 瞑目無所知 盖因血暴亡 心神無所養 故也.

瞑目合眼之病 悉屬於陰 亡血補血 又何疑焉,

全生活血湯方見胞門主之(東垣).

해산 후에 피를 많이 흘려서 정신을 잃고 눈을 감고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것은

혈이 갑자기 줄어들어서 정신을 영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눈을 감고 뜨지 못하는 병은 모두 음병에 속하므로 혈이 없어진 데는

혈을 보하는 것이 무슨 의심될 것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처방은 포문에 있다)를 주로 쓴다[동원].

 

人平居無疾 忽如死人 身不動搖 黙黙不知人 目閉不能開 口啞不能言

或微知人惡聞人聲 但如眩冒 移時方寤 名 曰鬱冒, 亦名 血厥, 婦人多有之,

白薇湯 倉公散 卽甦(本事).  

울모란 평소에 병 없이 지내다가 갑자기 죽은 사람처럼 몸을 움직이지 못하고

사람도 알아보지 못하며 눈을 감고 뜨지 못하고 말을 하지 못하며

혹시 사람은 약간 알아보아도 말소리를 듣기 싫어하며

머리가 어지럽고 정신이 없다가 옮겨 눕힐 때에야 깨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땀을 지나치게 낸 것으로 하여 혈이 적어지고 기와 혈이 뒤섞여져서

양(陽)이 홀로 위로 올라갔다가 내려오지 못하고 기가 막혀 들지 못해서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죽은 것같이 된다.

그러나 기(氣)가 내려가고 혈(血)이 돌아오면 음양이 다시 통하기 때문에 몸을 옮길 때에 깨어나게 된다.

이것을 울모라고도 하고 혈궐(血厥)이라고도 하는데 부인에게 많이 생긴다.

이런 때에는 백미탕이나 창공산을 써야 곧 깨어난다[본사].

 

 

[治産後陰脫 又法][치산후음탈 우법]

臨産驚動 用力太過 以致肓膜有傷

陰戶中垂出肉線一條 長三四尺 牽引心腹 痛苦欲絶

先服失笑散數貼 仍用生薑1.8kg淨洗 不去皮 搗爛

淸油1.2kg 拌勻炒熟 以油爲度 却用熟絹五尺 摺作數層,

令婦人 輕輕盛起肉線 使之屈曲 作一團 納在水道口

却用絹袋兜裹 油薑 令稍溫 付在肉線上 熏之 覺薑冷.

又用熨斗火熨之 如薑氣已盡

又用新者 如此熏熨一日一夜 其肉已縮一半

再用法 越兩日肉線盡入腹中 其病全安,

却再服 失笑散方見上 産後 兒枕痛 芎歸湯方見上 姙娠通治 調理,

不可切斷肉線 卽不可治矣(得效).

해산할 때 놀라 미리 서두르며 힘을 너무 쓰면 황막이 상해서

음문 속에 길이 3-4자 되는 살줄기가 빠져 나오는 때가 있다.

이렇게 되면 명치 밑이 땅기면서 아파 견딜 수 없으며

약간 움직이기만 해도 아파서 죽을 지경이다.

이런 데는 먼저 실소산(失笑散)을 몇 첩 먹이고 계속해서

생강 1.8kg을 깨끗하게 씻은 다음 껍질째로 짓찧은 데다

참기름 1.2kg을 두고 고루 섞어서 기름이 마를 때까지 불에 볶는다.

그리고 산모가 자궁을 위로 올려서 음문 안으로 밀어 넣고 5자 되는 명주를 익혀서

여러 겹으로 만든 주머니에 생강(기름에 볶은 것)을 넣어 좀 따뜻하게 한 다음 자궁에 대 준다.

식으면 다리미로 다리고 만일 생강 냄새가 없어지면 다시 다른 생강과 바꾼다.

이렇게 하루 동안 찜질하면 자궁이 절반쯤 들어간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2일 동안 계속하면 그것이 제자리로 다 들어가고 완전히 낫는다.

그 다음 다시 실소산과 궁귀탕을 먹어 조리하며 나온 자궁을 절대로 자르지 말아야 한다.

자르면 치료하지 못한다[득효].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産後風眙][산후풍이]  (0) 2022.06.06
[鬱冒][울모]  (0) 2022.06.02
[陰脫治驗][음탈치험]  (0) 2022.05.31
[産後陰脫][산후음탈]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  (0) 2022.05.28
[下乳汁方][하유즙방]  (0) 2022.05.27

[陰脫治驗][음탈치험] [자궁이 탈출된 것을 치료한 경험]

一婦人 産後陰戶中下一物如合鉢狀 有二歧 此子宮也 必氣血弱而下墜

遂用升麻 當歸 黃芪大料 2貼與之,

半日已收 但乾 破一片如掌大 落在席上,其婦恐 腸破 哭泣,

予思之 此非腸胃乃糟粕也. 肌肉破 尙可補完,

若氣血充盛 必可生滿 用補中益氣湯 去柴胡 連進三年後復生子(丹心).

어떤 부인이 해산 후에 음문으로 사발을 마주 엎어 놓은 것같이

두 갈래로 갈라진 것이 나왔는데 그것은 자궁이었다.

이것은 반드시 기혈이 허약하기 때문에 처져 내려온 것이다.

그래서 승마, 당귀, 단너삼(황기) 등 약의 분량을 많이 해서 2첩을 먹였더니

한나절이 지나서 들어갔으나 손바닥만한 것 하나가 말라서 자리 위에 떨어져 있었다.

그 부인은 창자가 떨어진 줄 알고 겁이 나서 울고 있었다.

나는 그것이 창자가 아니라 조박(糟粕)이며

살이 상해 떨어졌다 하더라도 되살아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만일 기혈이 충실해지면 완전히 살아날 수 있다고 보고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에서 시호를 빼고 연거푸 2-3첩을

용량을 많이 해서 먹였더니 잠시 후에 그것이 들어갔다.

그 뒤에 사물탕(四物湯)에 인삼을 더 넣고

100여 첩을 먹였더니 3년 후에 다시 아들을 낳았다[단심].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鬱冒][울모]  (0) 2022.06.02
[治産後陰脫][치산후음탈]  (0) 2022.06.01
[産後陰脫][산후음탈] [해산 후의 자궁탈출이 된 것]  (0) 2022.05.28
[下乳汁方][하유즙방]  (0) 2022.05.27
[下乳汁][하유즙]  (0) 2022.05.22

[産後陰脫][산후음탈]

産後陰門脫出 盖努力太過所致 若脫肛狀 逼迫腫痛 淸水續續 小便淋露

宜用當歸黃芪飮, 外用硫黃 烏賊骨20g 五倍子10g 爲末 付患處 卽效(丹心).

해산 후에 자궁탈출이 된 것은 대개 힘을 너무 써서 생긴다. 

그 모양이 항문이 빠져 나온 것 같고 또 무직하며 부어서 아프고

멀건 진물이 계속 흐르며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진다. 

이때에는 당귀황기음(當歸黃 飮)을 쓰고

외용약으로는 유황, 오징어뼈(오적골) 각각 20g, 오배자 10g을 가루를 내어

빠져 내려온 자궁에 붙이면 효과가 있다[단심].

 

産後生腸不收 八物湯方見虛勞 方見上 産後見鬼譫語 加防風 升麻, 須用

酒炒黃芪爲君 煎服 外以樗根白皮20g 荊芥 升麻 藿香8g 煎湯 熏洗患處 卽入,

枳殼80g煎湯 溫浸 良久 自入(丹心).

해산 후에 장(腸)까지 밀려 나와서 들어가지 않는 데는

팔물탕(八物湯)에 방풍과 승마를 더 넣고 반드시 단너삼(황기, 술로 축여 볶은 것)을 주약으로 하여

달여 먹고 겉은 가죽나무뿌리껍질(저근백피) 20g, 형개, 승마, 곽향 각각 8g을 두고

달인 물로 김을 쏘이면서 씻으면 빠져 내려온 자궁이 곧 들어간다. 

또는 지각 80g을 달인 더운물에 담그고 한참 있으면 저절로 들어간다[단심].

 

産後陰戶脫出 四物湯方見血門 方見上 胎漏 胎動 加龍骨(無則用五倍子)

連用2貼 外以香油和湯洗患處 且取如聖膏方見上 外貼部貼 頂上(入門).

해산 후에 자궁이 탈출된 데는 사물탕(四物湯)에 용골(없으면 오배자를 쓴다)을 더 넣어

연거푸 2첩을 쓰고 겉은 참기름을 탄 더운물로 자궁을 씻고 여성고(如聖膏)를 정수리에 붙인다[입문].

 

産後陰戶兩傍腫痛 手足不能舒伸

四季葱 入乳香末 同搗成餠 安於陰戶兩傍 良久卽愈(入門).

해산 후에 음문 양쪽이 부으면서 아프고 손발을 펴지 못하는 데는

사계총(四季 )에 유향가루를 넣고 짓찧어 떡을 만들어 음문 양쪽에 붙이면 잠시 후에 낫는다[입문].

 

子宮大痛不可忍 五倍子 白礬 等分煎湯 熏洗, 爲末糝之(入門).

자궁이 몹시 아파서 참을 수 없는 데는 오배자와 백반을 각각 같은 양으로 넣어

달인 물에 김을 쏘이면서 씻은 다음 보드라운 가루를 뿌려 주기도 한다[입문].

 

産後玉門不歛 宜用硫黃湯.

해산 후 자궁이 들어가지 않는 데는 유황탕(硫黃湯)을 쓰는 것이 좋다.

 

一法, 香油3kg 煎熱盛盆 坐其中 一食頃 以皂角末 吹鼻 作嚔 卽收(丹心).

또 한 가지 방법은 참기름 3kg을 달여

따뜻한 것을 큰 그릇에 붓고 그 곳에 한참 동안 들어앉아 있게 한다. 

그 다음 주염열매가루를 콧구멍에 불어넣어 재채기를 하게 하면 곧 자궁이 들어간다[단심].

 

又取 大紙撚 蘸油點火 吹滅 以烟熏 産母鼻卽上(良方).

또는 큰 종이 심지에 기름을 묻혀서 불을 붙였다가 불어서 끈 다음

그 연기를 산모의 코에 쏘이면 자궁이 들어간다[양방].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産後陰脫][치산후음탈]  (0) 2022.06.01
[陰脫治驗][음탈치험]  (0) 2022.05.31
[下乳汁方][하유즙방]  (0) 2022.05.27
[下乳汁][하유즙]  (0) 2022.05.22
[産後乳懸證][산후유현증]  (0) 2022.05.21

[下乳汁方][하유즙방] [젖이 나오게 하는 방법]

下乳汁 立效

萵苣子 糯米各1合 爲細硏

水一椀 攪勻入甘草末4g, 頻頻呷服(雲岐).

젖이 나오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추(부루), 찹쌀 각각 1홉 등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1사발에 넣고 고루 저은 다음 감초가루 4g을 타서 달여 자주 먹으면 좋다[운기].

麥門冬末8g酒磨犀角汁一盞 調服.

赤小豆煮汁 飮之 ,

,鯉魚羹食之(本草).

맥문동가루 8g을 술을 두고 간 서각즙 1잔에 타 먹는다.

또는 붉은팥 달인 물을 먹는다. 또는 잉어국을 먹는다[본초].

野豬脂每取一匙 和一盞 溫酒服,

3. 乳卽下 且多可供五兒 臘月脂尤佳(本草).

母酒煮服 良(俗方).

멧돼지기름 1숟가락을 데운 술 1잔에 타서 하루에 세번 먹으면 젖이 곧 나오고

젖이 많이 나와서 5명의 어린이에게 먹일 수 있다.

음력 섣달에 잡은 돼지기름이 더 좋다[본초].

술지게미를 끓여 먹어도 좋다[속방].

[下乳汁][하유즙]   [해산 후에 젖을 나오게 하는 법]

 

産後乳汁不行 有二, 氣血盛而壅閉不行者, 有氣血弱而枯涸不行者,

壅閉則 宜用漏蘆散, 枯涸則 宜用通乳湯二方並見乳門 猪蹄粥(良方).

해산 후에 젖이 나오지 않는 데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기혈이 너무 왕성해서 젖이 몰려서 나오지 않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혈이 약해서 말라 나오지 않는 것이다.

젖이 몰려서 나오지 않는 데는 누로산(漏蘆散)을 쓰는 것이 좋고

말라서 나오지 않는 데는 통유탕(通乳湯, 2가지 처방은 다 유문에 있다),

저제죽(猪蹄粥)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産後乳脈不行 身體壯熱 宜用玉露散(良方).

해산 후에 젖줄이 통하지 못하여 몸에서 열이 몹시 나는 데는

옥로산(玉露散)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下乳汁治法, 當參考 乳部用之.

젖이 나게 하려면 유문(乳門)을 참고하여 치료하여야 한다.

[産後乳懸證][산후유현증]

産後瘀血上攻 忽兩乳伸長 細小如腸直過 小腹痛不可忍 名曰乳懸 危證也.

川芎 當歸各600g濃煎湯 不時溫服

再用1.2kg 遂旋燒烟安 在病人面前 卓子下

令病人曲身低頭 將口鼻及乳 當吸烟氣 未甚縮 再用一料,

猶不復舊則 如聖膏方見上 外貼部 貼頂上.

몸푼 뒤에 어혈(瘀血)이 위로 치밀어서 갑자기 두 젖몸이 길게 늘어져서

아랫배까지 드리워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유현(乳懸)이라고 한다.

이것은 위급한 증상이다.

이때는 궁궁이(천궁)와 당귀를 각각 600g씩 진하게 달여 아무 때나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

재차 위의 약 1.2kg을 태우되 연기가 나면 환자 앞에 있는 탁자 아래에 놓고

그로 하여금 몸을 꼬부리고 머리를 낮추어 입과 코, 병든 젖몸에 연기를 쏘이게 한다.

아주 많이 줄어들지 않았으면 다시 1제를 더한다.

그래도 제대로 되지 않으면 여성고(如聖膏)를 정수리에 붙인다.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乳汁方][하유즙방]  (0) 2022.05.27
[下乳汁][하유즙]  (0) 2022.05.22
[産後發熱 煩渴][산후발열 번갈]  (0) 2022.05.20
[産後發熱][산후발열]  (0) 2022.05.08
[産後見鬼譫語][산후견귀섬어]  (0) 2022.04.27

[産後發熱 煩渴][산후발열 번갈]

生藕汁飮一升 合生地黃汁尤妙(本草).

又 竹瀝飮一盃 甚妙(丹心).

婦人月經水 飮之 最妙(俗方).

해산 후에 열이 나면서 번갈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생연뿌리즙 2홉 반을 먹는다.

생지황즙을 섞어 먹으면 더욱 좋다[본초].

또는 참대기름 1잔을 먹어도 매우 좋다[단심].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乳汁][하유즙]  (0) 2022.05.22
[産後乳懸證][산후유현증]  (0) 2022.05.21
[産後發熱][산후발열]  (0) 2022.05.08
[産後見鬼譫語][산후견귀섬어]  (0) 2022.04.27
[産後不語][산후불어]  (0) 2022.04.23

[産後發熱][산후발열]

産後血虛 熱入血室 以致發熱 煩躁 晝輕夜重 譫語如見鬼

或往來寒熱 宜用柴胡四物湯 凉血地黃湯 牛黃膏(保命).

해산 후에 혈이 허하여 열이 혈실(血室)에 들어가면

열이 나고 번조증이 나는데 낮에는 덜하고 밤이면 심하며

혹 헛것이 보인다고 헛소리하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는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 우황고(牛黃膏) 등을 쓰는 것이 좋다[보명].

 

産後發熱 有五

去血過多者 脈必虛大無力 腹內無痛 宜芎歸調血飮.

惡露不盡者 必大小腹有塊作痛 宜黑神散

傷飮食者 當消導

感風寒者 當發散

蒸乳者 必脹痛 但捏去乳汁 自愈(醫鑒).

해산 후에 열이 나는 데는 다섯 가지가 있다. 피를 너무 많이 흘리면 반드시

맥이 허대(虛大)하면서 힘이 없으며 배가 아프지 않은 것이 있는데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을 쓴다.

오로(惡露)가 다 나오지 않으면 반드시 뱃속에 덩어리가 있어서 아픈 것이다. 

이때는 흑신산(黑神散)을 쓴다.

음식에 상한 것이 있는데 반드시 소화시키는 약을 써야 한다.

풍한에 감촉된 데는 땀을 내야 한다.

증유(蒸乳)㈜가 있는데 이때는 반드시 젖이 불어 오르고 아프다. 

이때는 젖몸을 주물러 젖을 짜버리면 저절로 낫는다[의감].

 

産後因 傷寒熱病 熱入血室 或有瘀血 宜柴胡破瘀湯 柴胡地黃湯.

産後發熱 因風寒則 宜用柴胡防歸湯 竹葉防風湯.

産後發渴 宜熟地黃湯 人參當歸散(入門).

해산 후 상한이나 열병으로 열이 혈실에 들어갔거나 어혈이 있는 데는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 시호지황탕(柴胡地黃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해산 후 풍한에 감촉되어 열이 나는 데는

시호방귀탕(柴胡防歸湯), 죽엽방풍탕(竹葉防風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해산 후 열이 나고 갈증이 나는 데는

숙지황탕(熟地黃湯), 인삼당귀산(人蔘當歸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大小産 熱入血室 小柴胡 加五靈脂 佐以黃連 赤茯苓 淸心凉血 卽效(直指).

해산했거나 유산한 다음에 열이 혈실에 들어간 데는

소시호탕에 오령지를 더 넣고 황련, 벌건솔풍령(적복령)으로써

심(心)을 시원하게 하고 혈의 열을 내리도록 도와주면 곧 낫는다[직지].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産後乳懸證][산후유현증]  (0) 2022.05.21
[産後發熱 煩渴][산후발열 번갈]  (0) 2022.05.20
[産後見鬼譫語][산후견귀섬어]  (0) 2022.04.27
[産後不語][산후불어]  (0) 2022.04.23
[咳逆][해역]  (0) 2022.04.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