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月][임신 3개월]   

手心主心包絡脈養胎,

又三九二十七日 卽三月數

百日間 變成男女形影 如淸鼻涕中 有白絨相似 成人形鼻

與雌雄二器 先就分明 其諸全體 隱然可悉斯

謂之胎 乃太極之乾道 成男 坤道 成女也.

此時 胎 最易動 芩朮丸 頻服最妙(入門).

수심주(手心主, 心包絡) 맥이 태아를 기른다.

또 27일이 지나면 임신 3개월이다.

임신 100일이 되는 사이에 남녀의 구별이 생기면서

마치 멀건 콧물 속에 흰 베천 비슷한 것이 사람의 모양으로 되며

코와 남녀의 생식기가 먼저 뚜렷이 구별되며 몸체가 은연히 알리게[悉] 된다.

이것을 태(胎)라고 한다.

태극의 건도(乾道)는 남자가 되고 곤도(坤道)는 여자가 되는 것이다.

이때 유산하기 쉬우므로 금출환(芩朮丸)을 자주 먹는 것이 아주 좋다[입문].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月][임신 5개월]  (0) 2021.08.21
[四月][임신 4개월]  (0) 2021.08.20
[二月][이월]  (0) 2021.07.20
[一月][일월]  (0) 2021.07.19
[十月養胎][십월양태]  (0) 2021.07.18

[二月][이월] [임신 2개월]

足少陽脈養胎

又三九二十七日 卽二月數 此露珠變成赤色 如桃花瓣子

乃太極靜而生陰地二生火 謂之腪 此月腹中或動或不動,

猶可狐疑 若吐逆思酸 名曰 惡阻, 有孕明矣.

或偏嗜一物 乃一藏之虛 如愛酸物

乃肝藏正能養血而虛也(入門).

족소양경맥(足少陽經脈)이 태아를 기른다.

27일이 지나면 임신 2개월이 되므로

이슬방울 같은 것이 붉은 빛으로 변하여 복숭아꽃술 같이 된다.

이것은 태극이 정하여 음을 생한 것이며 땅이 두번째로 화를 낸 것이다.

그러므로 운이라고 한다.

이 달에는 뱃속에서 혹 움직이기도 하고

혹 움직이지 않기도 하므로 임신을 의심하게 된다.

만일 토하고 구역이 나며 신 것을 먹고 싶어하면,

이것을 임신 오조(惡阻)라고 하는데, 임신된 것이 확실하다.

한 가지 음식만을 치우쳐 먹기를 좋아하면 이것은 한 장기가 허약해진 것이다.

가령 신 것을 좋아하는 것은 간()이 태아에게 혈을 영양하여 허해졌기 때문이다[입문].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月][임신 4개월]  (0) 2021.08.20
[三月][임신 3개월]  (0) 2021.08.19
[一月][일월]  (0) 2021.07.19
[十月養胎][십월양태]  (0) 2021.07.18
[陰陽交合避忌][음양교합피기]  (0) 2021.07.17

[一月][일월]   [임신 첫달]

足厥陰脈養胎

夫人之有生也 母之血室方開 父之精潮適至 陰幕旣翕 如布袋

絞紐而精血 乘衝氣 自然旋轉不息 如蜣蜋之滾 糞呑啖含 受成一團圓璇璣

九日一息不停 然後陰陽大定 玄黃相包外 似纏絲 瑪瑙

其中自然 虛成一竅 空洞虛圓 與雞子黃中一穴 相似而團圓之外

氣自凝結爲胞衣 初薄漸厚 如彼米飮豆漿 面上自結二皮中竅

日生從無 入有精血 日化從有 入無九日之後 次九又九.

凡二十七日卽成 一月之數竅 自然凝成一粒 如露珠 然 乃太極動而生陽

天一生水 謂之胚 此月經閉 無潮無痛 飮食稍異 平日不可觸犯 及輕率服藥(入門).

족궐음경맥(足厥陰經脈)이 태아를 기른다.

대체로 사람이 생기는 것은 어머니의 자궁이 열릴 때

아버지의 정액이 들어가서 합치면 음막(陰幕)이 둘러싸는 것이 주머니끈을 졸라매는 것처럼 된다.

또 정혈(精血)이 충맥(衝脈)의 기운에 의하여 자연히 쉬지 않고 돌면서

말똥구리가 말똥을 굴리듯이 굴려서 자그마한 구슬 같은 것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9일 동안 잠시도 쉬지 않고 음과 양이 화합되고

검은 것과 누른 것이 서로 싸여서 겉보기에는 마노(瑪瑙)에 실을 감은 것같이 된다.

그 속은 자연히 비면서 한 개의 구멍이 생기는데

그 구멍이 달걀 노른자위에 생긴 한 개의 구멍과 비슷하다.

둥글게 생긴 겉에는 기가 엉키고 뭉쳐서 태반이 되는데

처음에는 엷으나 점차 두터워져서 미음이나 콩죽 같은 것이 위에 덮이면서 두 겹의 막이 생긴다.

그 속에 구멍이 없던 것이 있게 되고 정혈이 날로 변화하여 있던 것이 없어지면서 9일이 지나고

9일이 지나고 다시 9일이 지나 모두 27일 즉 한 달이라는 날짜가 지나면

구멍이 자연히 엉켜서 한 개의 이슬방울처럼 된다.

그 후 태극(太極)이 동하여 양이 생긴다.

하늘이 처음 물을 낸 것이므로 이것을 배()라고 한다.

이렇게 첫달에는 월경이 없어지고 아프지도 않으며 음식을 먹는 것이 평상시와 조금 다를 뿐이다.

이때 성생활을 하거나 경솔히 약을 먹어서는 안 된다[입문].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月][임신 3개월]  (0) 2021.08.19
[二月][이월]  (0) 2021.07.20
[十月養胎][십월양태]  (0) 2021.07.18
[陰陽交合避忌][음양교합피기]  (0) 2021.07.17
[胎孕][태잉]  (0) 2021.07.16

[十月養胎][십월양태]

[열 달 동안 태아가 자라는 것]

婦人懷胎 一月之時 足厥陰脈養, 二月 足少陽脈養, 三月 手心主脈養,

四月 手少陽脈養, 五月足太陰脈養, 六月 足陽明脈養,

七月 手少陰脈養, 八月 手陽明脈養, 九月 足少陰脈養, 十月 足太陽脈養.

임신 첫달에는 족궐음경맥(足厥陰經脈)이 태아를 기른다.

임신 2개월에는 족소양경맥(足少陽經脈)이 기른다.

임신 3개월에는 수궐음경맥(手厥陰經脈)이 기른다.

임신 4개월에는 수소양경맥(手少陽經脈)이 기른다.

임신 5개월에는 족태음경맥(足太陰經脈)이 기른다.

임신 6개월에는 족양명경맥(足陽明經脈)이 기른다.

임신 7개월에는 수태음경맥(手太陰經脈)이 기른다.

임신 8개월에는 수양명경맥(手陽明經脈)이 기른다.

임신 9개월에는 족소음경맥(足少陰經脈)이 기른다.

임신 10개월에는 족태양경맥(足太陽經脈)이 기른다.

 

諸陰陽 各養30日 活兒, 手太陽 少陰不養者 下主月水 上爲乳汁 活兒養母.

모든 음양경맥이 각각 30일씩 태아를 기르는데

수태양경맥(手太陽經脈)과 수소음경맥(手少陰經脈)이 기르지 않는 것은

아래로는 월경을 주관하고 위로는 젖을 주관하여 산모와 태아를 기른다.

 

四時之令 始于春木 故胎養 始於肝膽也(良方).

4철의 절기는 봄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처럼

태아를 기르는 것도 간담(肝膽)에서부터 시작된다[양방].

 

姙婦 不可灸刺 其經必墮胎(良方).

임신부는 매 달 주관하는 경락(經絡)에 침이나 뜸을 놓아서는 안된다.

침이나 뜸을 놓으면 반드시 유산한다[양방].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月][이월]  (0) 2021.07.20
[一月][일월]  (0) 2021.07.19
[陰陽交合避忌][음양교합피기]  (0) 2021.07.17
[胎孕][태잉]  (0) 2021.07.16
[脈法][맥법]  (0) 2021.07.15

[陰陽交合避忌][음양교합피기]

[성생활에서 삼가해야 할 것]

凡男女交會 當避丙丁日 及弦望 晦朔 大風 大雨 大霧 大寒 大暑

大雷電 大霹靂 天地晦冥 日月薄蝕 蚢霓地動 則損人神 不吉,

損男百倍 令女得病,

有子 必癲痴 頑愚 瘖瘂 聾聵 攣跛 盲眇 多病 短壽 不孝不仁,

又 避日月星辰 火光之下 神廟 佛寺之中 井竈圊厠之側 塚墓 屍柩之傍 皆所不可,

夫交合如法 則福德 大智 善人降詫胎中 仍令性行調順 家道日隆,

不如法 則薄福愚痴 惡人來詫 胎中令性行凶險 所作不成 家道日否,

禍福之應 有如迎香 可不戒哉(千金).

성생활을 할 때 병일(丙日)과 정일(丁日), 음력 보름과 그믐, 초하루,

바람이 심하고 비가 많이 오며 안개가 자욱하게 끼고 몹시 차거나 더운 날,

번개가 번쩍거리고 우렛소리와 벼락이 치는 날, 날씨가 흐려서 캄캄할 때,

일식, 월식, 무지개가 설 때와 땅이 진동할 때는 피해야 한다.

이러한 때에 성생활을 하면 신기(神氣)가 상해서 좋지 않은데

남자에게 더욱 더 해롭고 여자에게는 병이 생긴다.

만일 임신이 되면 전간(癲癎)과 바보, 미련하거나 벙어리, 귀머거리, 절름발이, 장님이 되거나

그밖에 병이 많이 생겨서 오래 살지 못하고 착하지 못한 자식이 생길 수 있다.

또 해와 달, , 불빛 등의 아래에서나 사당이나 절간에서나 우물, 부엌, 뒷간에서나

무덤이나 송장 곁에서는 다 성생활을 하는 것이 좋지 않다.

성생활 때 위에서 말한 것을 피하면 덕이 있어서 현명한 인물이 태어나서

성품과 행실이 온순하고 단정하여 집안이 날로 융성할 것이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우둔하고 미련하며 악한 자식을 낳게 된다.

혹 임신 중에 성품과 행실이 나쁘고 험악하면 어떤 일이든지 되지 않으며 집안이 날로 몰락한다[천금].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一月][일월]  (0) 2021.07.19
[十月養胎][십월양태]  (0) 2021.07.18
[胎孕][태잉]  (0) 2021.07.16
[脈法][맥법]  (0) 2021.07.15
[相女法][상녀법]  (0) 2021.07.14

[胎孕][태잉]    [임신]   

凡欲求嗣 必先視其婦人之經脈 調否或未調 必以藥而調之,

經脈旣調 宜以人事副之 按其法行之庶不失其候也.

皆婦人月經方絶 金水纔生 次子宮正開乃受精 結胎之候

妙合 太和之時 過此佳期 則子宮閉 而不受胎矣(正傳).

대체로 아이를 낳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그 여자의 월경이 고른가, 고르지 않는가를 보아야 한다. 

혹 고르지 않으면 반드시 약을 써서 고르게 해야 한다. 

월경이 고르게 된 다음에는 성생활을 하는 시기와 방법을 잘 맞추어서

임신이 될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대개 월경이 끝나고 금수(金水, 누런 물)가 생기는데

이때는 자궁이 열려 있으므로 성생활을 하면 임신이 된다. 

이러한 좋은 시기를 놓치면 자궁이 닫혀서 임신하지 못한다[정전].

 

月經行後 一日 三日 五日 交會者 成男,

二日 四日 六日交會者 成女,

過此則不孕矣, 亦要在子時 後方可也(正傳).

월경이 끝난 후 첫날과 제 3일과 5일에 성생활을 하면 남자가 되고

2일과 4일, 6일에 성생활을 하면 여자가 된다.

이 시기가 지나면 임신이 되지 않는다.

또한 자시(밤 11시-1시) 이후에 성생활을 해야 좋다[정전].

 

婦人 經水來時 有兩日半淨者 三日而淨者 亦有女人 血旺氣盛

六七日淨者 但觀寶田經水之 顔色 何如耳 乃以潔白之物

或綿或帛夾之于戶口 取而目之金色者 佳期也,

鮮紅者 未淨 不及也, 淺淡者 大過也,

惟以敗血去淨 新血生, 如金者 爲佳期 此交合 無不成矣(回春).

월경이 2일 반에 끝나는 것도 있고 3일에 끝나는 것도 있으며

또는 부인의 혈기가 왕성하여 6-7일에 끝나는 것도 있는데 다만 월경빛이 어떤가를 보아야 한다.

깨끗하고 흰 솜이나 헝겊으로 음문에 넣었다가 꺼내어 보아

금빛이 나면 임신될 수 있는 좋은 시기이고

선홍색은 아직 깨끗해 지지 못하였으므로 임신하지 못한다.

빛이 연한 것은 때가 늦은 것이다.

그러나 궂은 피가 다 나가고 새로운 피가 금빛 같은 것이 나올 때가 좋은 시기이므로

이때에 성생활을 하면 임신이 되지 않는 일이 없다[회춘].

 

夫人之始生也 血海始淨 一日 二日 三日 精勝其血 則爲男子,

四日 五日 六日 血脈已旺 精不勝血 則爲女子,

乃二物相搏 長先身生 謂之神 又謂之精 道與釋門 謂之本來面目 是也(東垣).

대체로 사람이 처음에 생길 때에는 자궁이 비로소 깨끗해지기 시작하므로

1일과 2일, 3일이 된 때에는 정(精)이 혈(血)을 이기기 때문에 남자가 되고

4일과 5일, 6일에는 정이 혈을 이기지 못해서 여자가 된다.

이것은 두 물질(정과 혈)이 서로 어울릴 때에 언제나 몸보다

먼저 생기는 것을 정신(精神)이라 하며 정(精)이라고도 하는데

도교나 불교에서 말하는 본래의 면목(面目)이라는 것이 이것이다[동원].

 

欲求子者 但待婦人月經絶後

一日 三日 五日 擇其旺相日 如春甲乙 夏丙丁 秋庚申

冬壬癸 以生氣時 夜半後 乃施瀉有子 皆男子 必壽而賢明,

二日 四日 六日 施瀉有子必女 過六日後 勿爲施瀉 可也(得效).

아이를 낳으려면 오직 월경이 끝난 후 1일과 3, 5일 가운데서 그 어느 좋은 날을 택해야 한다.

예를 들면 봄에는 갑일(甲日)과 을일(乙日), 여름에는 병일(丙日)과 정일(丁日),

가을에는 경일(庚日)과 신일(辛日), 겨울에는 임일(壬日)과 계일(癸日)이다.

이러한 날들의 야반(夜半) 이후 생기가 약동할 때에 성생활을 하면

임신되어 반드시 똑똑하고 오래 살 수 있는 아들을 낳을 수 있다.

2일과 4, 6일 가운데서 그 어느 날 성생활을 하여 임신이 되면 반드시 딸을 낳는다.

6일 이후에는 성생활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득효].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月養胎][십월양태]  (0) 2021.07.18
[陰陽交合避忌][음양교합피기]  (0) 2021.07.17
[脈法][맥법]  (0) 2021.07.15
[相女法][상녀법]  (0) 2021.07.14
[求嗣][구사]  (0) 2017.07.16

[脈法][맥법]

求嗣之脈 專責於尺.

임신할 수 있는가, 없는가 하는 것은 주로 척맥(尺脈)을 보고 알 수 있다.

右尺偏旺 火動好色.

左尺偏旺 陰虛非福.

오른쪽 척맥이 치우치게 왕성하면 화()가 동()하여 성생활을 좋아한다.

왼쪽 척맥이 치우치게 왕성하면 음()이 허하여 좋지 않다.

惟沈滑勻 易爲生息.

오직 침활(沈滑)하고 고르게 나타나는 맥이라야 임신하기 쉽다.

微澁 精淸兼遲冷極.

미삽(微澁)한 맥은 정액이 멀건 것인데

여기에 지맥(遲脈)이 겹치면 냉이 매우 심한 것이다.

若見微濡 入房無力.

만일 맥이 미유(微濡)하면 성생활을 할 때 힘이 없다.

女不好生 亦尺脈濇(回春).

임신하지 못하는 여자도 척맥이 색( )하다[회춘].

男子脈微弱而澁 爲無子,

精氣淸冷也(脈經).

남자의 맥이 미약(微弱)하면서 삽()하면 임신할 수 없게 한다.

그것은 정액이 멀겋고 차기 때문이다[맥경].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月養胎][십월양태]  (0) 2021.07.18
[陰陽交合避忌][음양교합피기]  (0) 2021.07.17
[胎孕][태잉]  (0) 2021.07.16
[相女法][상녀법]  (0) 2021.07.14
[求嗣][구사]  (0) 2017.07.16

[相女法][상녀법] [여자를 보는 법]

未笲之婦 陰氣未完,

慾盛之婦 所生多女,

性行和者 調經易 挾性行妬者 月水不勻,

相貌惡者 刑重, 顔容美者 福薄,

太肥脂滿 子宮太瘦 子宮無血 俱不宜子 不可不知(入門).

음기(陰氣)가 완전히 성숙되지 못한

미성년 여자로서 성생활에 대한 생각이 지나치면 딸을 많이 낳는다.

그리고 성질과 품행이 좋은 여자는 월경이 고르고 임신도 잘한다.

성질과 품행이 나쁜 여자는 월경이 고르지 못하다.

또는 얼굴이 험상궂게 생긴 여자는 좋지 못한 일이 많고 얼굴이 곱게 생긴 여자는 복이 적다.

또한 지나치게 몸이 나면 자궁에 지방이 많아지고 너무 여위면 혈(血)이 적어진다.

이런 여자들은 다 임신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입문].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月養胎][십월양태]  (0) 2021.07.18
[陰陽交合避忌][음양교합피기]  (0) 2021.07.17
[胎孕][태잉]  (0) 2021.07.16
[脈法][맥법]  (0) 2021.07.15
[求嗣][구사]  (0) 2017.07.16

[求嗣][구사] 

生人之道 始於求子 求子之法 莫先調經 每見婦人之無子者
其經 必或前或後 或多或少 或將行作病 或行後作痛 或紫或黑
或淡 或凝而不調 不調則血氣乖爭 不能成孕(丹心).
사람이 생겨나는 것은 임신에서부터 시작된다.
임신할 수 있게 하려면 무엇보다 먼저 월경을 고르게 해야 한다.
임신하지 못하는 부인들을 보면 반드시 월경 날짜가 앞당겨지거나 늦어지며
혹 그 양이 많거나 적다.
그리고 월경을 하기 전에 아프거나 월경을 한 뒤에 아프며
혹 월경빛이 짙은 자줏빛이고 혹 멀겋거나 덩이지기도 하면서 고르지 못하다.
이렇게 월경이 고르지 못하면 기혈이 조화되지 못하여 임신할 수 없게 된다[단심].
求嗣之道 婦人要經調 男子要神足,
又 寡慾淸心爲上策 寡慾則不妄交合 積氣儲精 待時而動 故能有子.
是以慾寡則神完 惟多子抑亦多壽(入門).
임신할 수 있게 하자면 여자들은 월경을 고르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남자들은 정기(精氣)를 충실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성욕을 억제하고 마음을 깨끗하게 가지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다.
성욕을 억제하여 함부로 성생활을 하지 말고 정기를 축적하면서
정액을 충실하게 했다가 적당한 시기에 성생활을 해야 임신할 수 있다.
성욕을 억제하면 정기가 충실해지기 때문에 흔히 임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 오래 살 수도 있게 된다[입문].
男子 陽精微薄 則雖遇血海 虛靜流而不能直射 子宮多不成胎,
盖因平時嗜慾不節 施泄太多 宜補精元 兼用靜工存養 無令火動 候陽精充實
依時而合一擧而成矣(入門).
남자의 정액이 멀거면 비록 성생활을 해도 정액이 힘없이 사정되어
자궁으로 곧바로 들어가지 못하므로 흔히 임신이 되지 않는다.
평상시에 성생활을 조절하지 못해서 정액을 너무 많이 배설하였으면
반드시 정(精)을 보하고 겸해서 마음을 안정하여 성욕이 동하지 않게 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정액이 충실할 때에 성생활을 하면 임신을 하게 된다[입문].
男子 陽脫痿弱 精冷而薄
宜[固本健陽丹] [續嗣丹] [溫腎丸] [五子衍宗丸](入門).
남자의 양기가 몹시 약해져서 음경에 힘이 없으며
정액이 차면서 멀거면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속사단(續嗣丹),
온신환(溫腎丸),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男子 脈微弱而澁 爲無子 精氣淸冷也, 宜[陽起石元](脈經).
남자의 맥이 미약(微弱)하면서 삽(澁)하면 임신할 수 없는데
이것은 정액이 멀겋고 차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양기석원(陽起石元)을 쓰는 것이 좋다[맥경].
女 宜鼓動微陽 宜[玉약啓榮丸] [螽斯丸] [煖宮螽斯丸].
여자에게 성욕이 나게 하는 데는 옥약계영환(玉 啓榮丸), 종사환( 斯丸),
난궁종사환(煖宮 斯丸) 등을 쓰는 것이 좋다.
婦人無子 多由血少不能攝精 宜調養經血 宜[百子附歸丸] [琥珀調經丸]
[加味養榮丸] [加味益母丸] [濟陰丹] [勝金丹] [調經種玉湯] [先天歸一湯]
[神仙附益丹] [調經養血元] [溫經湯].
부인이 임신하지 못하는 것은 흔히 혈(血)이 적어서
정액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월경을 고르게 하고 혈을 보하는 것이 좋다.
그러자면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
가미양영환(加味養榮丸), 가미익모환(加味益母丸), 제음단(濟陰丹),
승금단(勝金丹),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선천귀일탕(先天歸一湯),
신선부익단(神仙附益丹),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온경탕(溫經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
婦人 陰血衰弱 雖捉眞精 不能攝入子宮 雖交不孕 雖孕不育
是以男女配合 必當其年(入門).
부인에게 음혈(陰血)이 부족하면 성생활을 해도 자궁에서 정액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므로 임신하지 못하며 혹 임신이 된다 하여도 유지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남자나 여자가 결혼할 때 반드시 나이가 맞아야 한다[입문].
無子婦人 瘦怯者 乃子宮乾澁 宜滋陰養血 [四物湯]方見血門 加香附 黃芩.
肥盛軀脂 滿溢子宮 宜行濕燥痰 南星 半夏 川芎 滑石 防己 羗活
或[導痰湯]方見痰門(丹心).
임신하지 못하는 부인이 여위고 약해지는 것은
자궁에 혈이 부족된 것이므로 음(陰)을 불쿠어 주고 혈(血)을 보해야 한다.
이런 데는 사물탕(四物湯)에 향부자와 속썩은풀(황금)을 더 넣어 쓴다.
임신하지 못하는 부인의 몸이 지나치게 살쪄서 자궁에까지 영향이 있을 때에는
습(濕)과 울담[燥痰]을 헤쳐야 한다.
이런 데는 천남성, 끼무릇(반하), 궁궁이(천궁), 곱돌(활석), 방기,
강호리(강활)나 도담탕(導痰湯)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月養胎][십월양태]  (0) 2021.07.18
[陰陽交合避忌][음양교합피기]  (0) 2021.07.17
[胎孕][태잉]  (0) 2021.07.16
[脈法][맥법]  (0) 2021.07.15
[相女法][상녀법]  (0) 2021.07.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