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藏燥證][장조증]

婦人藏燥 悲傷欲哭 象如神靈所作 數欠伸, 甘麥大棗湯主之(仲景).

부인의 장조증(藏燥證)이란 슬피 울기를 잘하며

마치 헛것에 들린 것 같기도 하고 자주 하품하며 기지개를 하는 것이다.

이때는 감맥대조탕(甘麥大棗湯)을 주로 쓴다[중경].

有自哭 自笑者 紅棗燒存性 米飮調服(入門).

공연히 울기도 하고 웃기도 하는 데는

대추를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낸 다음 미음에 타 먹는다[입문].

[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과부사니지병이호처첩]

과부나 여승의 병은 부부생활을 하는 부인들의 병과는 다르다.

[宋 楮澄] 療師尼寡婦 別製方 皆有謂也,

此二種 寡居獨陰無陽 慾心萌而多不遂 是以陰陽交爭 乍寒乍熱 全類溫瘧 久則爲勞.

史記 倉公傳載 濟北王 侍人韓女 病腰背痛寒熱 衆醫多以爲寒熱,

[倉公]曰 病得之 慾男子 不可得也, 何以知之? 診得其脈 肝脈出寸口 是以知之,

盖男子 以精爲主 婦人 以血爲主 男子精盛 以思室 婦人血盛 以懷胎,

如厥陰脈 弦出寸口, 又 上魚際 則陰盛可知 故知楮氏之言 有謂也(寶鑑).

()나라 저씨가 여승과 과부를 치료할 때에

처방을 달리한 것은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이 두 부류의 여자들은 혼자 살기 때문에 음만 있고 양이 없으며 성욕은 있으나

흔히 소원을 이루지 못하는 관계로 몸에 있는 음기와 양기가 서로

상박되기[交爭] 때문에 잠깐 추웠다 잠깐 열이 났다 하는 것이 온학과 같은데,

이것이 오래되면 허로가 된다.

[사기]의 창공전(倉公傳)에 씌어 있기를 제북왕(濟北王)의 시중을 하던

()씨라는 여자가 허리와 잔등이 아파지면서 추웠다 열이 났다.

그래서 여러 의사들이 이것은 한열병(寒熱病)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창공(倉公)이 병은 성생활의 소원을 성취하지 못하여 생긴 병이다.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면 그 맥을 짚어 보니 간맥이 현()할 뿐 아니라

촌구(寸口)까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써 알 수 있다고 하였다.

대체로 남자에게는 정()이 위주가 되고 여자에게는 혈()이 위주가 되는데

남자는 정기가 왕성하면 여자를 생각하게 되고

여자는 혈이 왕성하게 되면 임신을 하게 된다.

만일 족궐음맥(足厥陰脈)이 현()하여 촌구(寸口)까지 나오고

또 어제(魚際)까지 올라간다면 음이 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저씨의 말이 그럴 수 있다는 것이다[보감].

 

寡婦師尼 鬱抑成病 其證 惡風體倦 乍寒乍熱 面赤心煩

或時自汗 肝脈弦長 而出寸口 宜柴胡抑肝湯 芙蓉散 抑陰地黃丸 越麴丸.

과부와 여승들은 성교를 하지 못해서 우울하여 병이 생기는데

증상으로는 바람을 싫어하고 몸이 나른하며 잠깐 추웠다 잠깐 열이 났다 하고

얼굴이 붉으며 가슴이 답답하다.

혹 때로 저절로 땀이 나며 간맥이 현장(弦長)하면서 촌구(寸口)까지 나온다.

이때에는 시호억간탕, 부용산, 억음지황환, 익국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每日上午 神思昏憒 怕見明處 惡聞人聲 至午後 方可 頭昏腹痛

驚惕稍涉勞動 與月經來時 其證尤劇 此不得遂志之 故也,

宜淸神養榮 以四物湯 人蔘 茯神 陳皮 柴胡 羌活 香附子 甘草煎服.

날마다 오전이면 정신이 흐리터분하면서 밝은 곳을 싫어하며

사람의 소리를 듣기 싫어하다가 오후에는 머리가 아찔해지고 배가 아프며

잘 놀라고 걷거나 일을 좀 하거나 월경을 할 때에는 그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

이것은 하고 싶은 일을 뜻대로 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정신을 맑게 하고 영혈(榮穴)을 보해 주어야 한다.

사물탕에 인삼, 복신, 귤껍질, 시호, 강호리, 부자, 감초 등을 더 넣어 달여 먹여야 한다.

 

或有 與鬼交通者 由神不守舍 或時獨笑 或泣 脈遲伏

或如雀? 顔色不變者 宜茯神黃芪湯(入門).

혹 꿈에 헛것과 성교하는 사람은 정신이 제자리를 지키지 못해서 그런 것이다.

혹 혼자서 웃기도 하고 혹 울기도 하며 맥이 지복(遲伏)하고

혹 작탁맥[雀啄]이 나타나면서 얼굴빛이 변하지 않는 데는

복신황기탕(茯神黃 湯)을 쓴다[입문].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臨産預備藥物][임산예비약물]  (0) 2022.08.07
[藏燥證][장조증]  (0) 2022.08.05
[斷産][단산]  (0) 2022.07.26
[産後虛勞][산후허로]  (0) 2022.07.17
[産後脈法][산후맥법]  (0) 2022.07.16

[斷産][단산]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는 것]

婦人産育艱難 或一歲一産

可以此少間之 四物湯 雲臺子 一撮煎 於經行後 空心服(得效)

아이를 낳아 기르기 어렵거나 한 해에 한 번씩 해산하는 데는

이 약으로써 조금씩 사이를 뜨게 할 수 있다. 

이때는 사물탕에 유채씨 한자밤을 더 넣고 달여 월경이 있은 후 빈속에 먹는다[득효].

 

母有宿疾 終不可保胎者 牛膝1.5g 瞿麥 桂心 蟹爪各1g

爲末空心溫酒調服 以下之 免害其母(入門).

임신부가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병으로 태아를 더 보존할 수 없는 데는

쇠무릎(우슬) 1.6g, 패랭이꽃(구맥), 계심, 게발톱(蟹爪) 각각 0.8g 등의 약들을

가루내어 데운 술에 타서 빈속에 먹고 유산시키면 산모가 해를 받지 않는다[입문].

 

姙婦 因疾病 不能安 可下之, 法麴150g 水二大盞

煎取一盞 去滓 分三服 卽下(良方).

임신부가 병으로 태가 편안하지 않을 때에는 유산시켜야 하는데

약누룩(신국, 법제한 것) 160g을 큰 잔으로 물 2잔에 넣고

달여 1잔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세번에 나누어 먹으면 곧 유산한다[양방].

 

又方 麥芽 神曲各半升 和水煮 服之卽下 神效(良方).

또 한 가지 방법은 보리길금(맥아)과 약누룩(신국) 각각 5홉을

물에 달여 먹으면 곧 유산하는 데 효과가 좋다[양방].

 

又方 附子2枚 爲末 醋調 塗母右足 去之 大良(良方).

또 한 가지 처방은 부자 2개를 가루내어 식초로 갠 다음

임신부의 오른쪽 발바닥에 바르면 유산되는 데 효과가 좋다[양방].

 

斷子法 白麪麴1升 好酒5升 打作糊 煮至2升半 以絹濾去渣 作三服

候月經 將來日晩 下吃一服 次日五更 吃一服 天明吃一服 月經卽行 終身絶子(丹心).

아이를 배지 못하게 하는 방법은 흰밀가루 누룩 1되에 좋은 술 5되를 두고

풀을 쑤는데 2되 반이 되면 비단천으로 밭아서 찌꺼기를 버리고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 

월경할 날을 기다렸다가 저녁에 한 번 먹고 이튿날 새벽에 한번 먹으며

날이 다 밝은 다음에 한번 먹으면 월경이 곧 나오고 일생 동안 아이를 배지 않는다[단심].

 

又方 故蠶紙方圓一尺 燒存性 爲末 酒飮調服 終身 不復懷孕(良方).

또 한 가지 처방은 잠퇴지(簪退紙, 사방 1자씩 되는 것을 약성이 남게 태운 것)를

가루를 내어 술에 타 먹으면 일생 동안 다시 임신하지 않는다[양방].

 

又方 油煎水銀 空心服 如棗核大一丸 永斷, 不損人(良方).

또 한 가지 처방은 기름에 수은 넣고 달인 것으로 대추씨만한 것 1알을 만들어

빈속에 먹으면 일생 동안 아이를 배지 않게 되고 사람에게는 해를 주지 않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藏燥證][장조증]  (0) 2022.08.05
[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과부사니지병이호처첩]  (0) 2022.07.27
[産後虛勞][산후허로]  (0) 2022.07.17
[産後脈法][산후맥법]  (0) 2022.07.16
[産後浮腫][산후부종]  (0) 2022.07.08

[産後虛勞][산후허로]

産後未滿月 不宜多用七情 勞倦 行動 或作鍼工

恣食生冷 粘硬之物 及犯觸風寒 當時未覺 厥後卽成蓐勞.

凡産後滿百日 乃可交合 不爾至死 壓羸百病 滋長愼之(良方).

해산 후 1달이 되기 전에 7정(七情)과 정신적 및 육체적 과로, 바느질을 하는 것

혹 날것, 찬 것, 찰진 것, 굳은 것 등을 함부로 먹거나 풍한에 감촉되는 것들은 모두 좋지 않다. 

그 당시에는 별로 느끼지 못하나 그 이후에는 욕로( 勞)가 될 수 있다. 

해산 후 백일이 지난 다음 성생활을 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고 성생활을 하면 죽을 수 있다. 

그리고 허하고 여위어서 온갖 병이 생기게 하므로 주의해야 한다[양방].

 

産後勞傷過度 名曰蓐勞 其證虛羸 乍起乍臥

食不消 時有咳嗽 頭目昏痛 發渴盜汗 寒熱如瘧

十全大補湯方見虛勞去川芎 加續斷 牛膝 鱉甲 桑寄生 桃仁,

爲粗末 先將猪腎一對 薑一片棗三枚 水三盞煎至一盞半 入前藥末12g及葱白三寸

烏梅一箇 荊芥五穗 再煎至70%去滓 空心溫服(入門).

해산 후에 힘겨운 일을 지나치게 하여 생긴 병을 욕로( 勞)라고 한다. 

그 증상으로는 허하고 여위며 좀 나았다 도졌다 하면서 먹은 것이 잘 삭지 않고 때로는 기침하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아프며 목이 마르고 식은땀이 나며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이 학질과 비슷하다. 

이때에는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에서 궁궁이(천궁)는 빼고 속단, 쇠무릎(우슬), 자라등딱지(별갑),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복숭아씨(도인) 등을 더 넣어 거칠게 가루낸다. 

먼저 돼지콩팥 1쌍, 생강 1쪽, 대추 3알을 함께 물 3잔에 넣고 달여 1잔 반이 되면

앞의 약가루 12g과 파밑(총백) 3치, 오매 1개, 형개수 5개를 넣고

다시 달여 7분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産後蓐勞 宜用當歸羊肉湯 當歸建中湯方見虛勞 增損四物湯 人參鱉甲散 熟乾地黃散(諸方).

해산 후의 욕로에는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 증손사물탕(增損四物湯),

인삼별갑산(人蔘鱉甲散), 숙건지황산(熟乾地黃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제방].  

[産後脈法][산후맥법]

婦人産後之脈 洪實不調者 死.

沈微附骨不絶者 生.

해산 후에 맥이 홍실(洪實)하면서 고르지 못하면 죽을 수 있다. 

맥이 침미(沈微)하나 뼈에 닿게 눌러도 끊어지지 않으면 산다.

 

診婦人新産脈 沈小者 生,

實大堅 强急者 死(經脈).

갓 해산한 부인의 맥을 짚어 보아 맥이 침소(沈小)하면 살고

실대(實大)하고 견(堅)하며 몹시 급(急)하면 죽을 수 있다[맥경].

 

新産之脈 緩滑吉, 實大弦急 死來侵,

又云 沈細附骨 不絶者 生(脈訣).

갓 해산했을 때의 맥이 완활(緩滑)한 것은 좋으나 실대(實大)하고 현급(弦急)하면 죽을 수 있다.

어떤 데는 맥이 침세(沈細)하나 뼈에 닿도록 눌러도 끊어지지 않으면 산다고 하였다[맥경].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斷産][단산]  (0) 2022.07.26
[産後虛勞][산후허로]  (0) 2022.07.17
[産後浮腫][산후부종]  (0) 2022.07.08
[産後大便秘結][산후대변비결]  (0) 2022.07.05
[産後淋瀝遺尿][산후임력유뇨]  (0) 2022.06.28

[産後浮腫][산후부종]

産後浮腫 此由敗血 循經流入四肢 故也,

血行腫消 卽愈 或敗血停蓄 血化爲水而浮腫 宜大調經散小調經散 正脾散(良方).

해산 후에 부종(浮腫)이 생기는 것은 궂은 피가 경락을 따라 팔다리에 스며들었기 때문이다. 

혈이 잘 돌아가면 부종이 내리고 낫는다. 혹은 궂은 피가 몰렸다가 물로 변하여 부종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대조경산(大調經散), 소조경산(小調經散), 정비산(正脾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양방].

 

産後浮腫 必大補氣血爲主 四君子湯方見氣門 加蒼朮煎服 忌峻利之劑 或用五味白朮散.

해산 후의 부종은 반드시 기혈을 세게 보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 

사군자탕(四君子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에 삽주(창출)를 더 넣어 달여 먹어야 하며

센 이뇨제를 써서는 안 된다. 

혹은 오미백출산(五味白朮散)을 쓴다.

 

産後風腫 水腫 宜用澤蘭散(丹心).

해산 후의 풍종(風腫)이나 수종(水腫)에는 택란산(澤蘭散)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産後大便秘結][산후대변비결 [해산 후의 변비]

産後有三種疾, 鬱冒 則多汗 汗多則大便難,

盖新産血虛 多汗出 致胃燥 亡津液 故大便秘結

蘇麻粥方見大便 滋腸五仁丸(正傳).

해산 후에는 3가지 병이 잘 생기는데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지면

땀이 많이 나고 땀이 많이 나면 대변이 굳어지는 것이다. 

대개 해산하고 나면 혈이 많이 허해지고 땀을 많이 흘려서 위기(胃氣)가 마르게 되어

진액이 적어지기 때문에 대변이 굳어지는 것이다. 

이런 때에는 소마죽(蘇麻粥)과 자장오인환(滋腸五仁丸)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産後大便不通 膨滿氣急 難以坐臥 取麥蘗末酒調下一合 神效(丹心).

해산 후에 대변을 보지 못하여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올라 그득하고 숨결이 밭아서 앉으나

누우나 견디기 어려운 데는 보리길금가루[麥 末] 1홉을 술에 타 먹으면 좋은 효과가 있다[단심].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産後脈法][산후맥법]  (0) 2022.07.16
[産後浮腫][산후부종]  (0) 2022.07.08
[産後淋瀝遺尿][산후임력유뇨]  (0) 2022.06.28
[産後心腹腰脇痛][산후심복요협통]  (0) 2022.06.16
[産後頭痛][산후두통]  (0) 2022.06.15

[産後淋瀝遺尿][산후임력유뇨]

해산 후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유뇨증

婦人産理不純 致傷遺尿無時,宜用參朮膏(丹心).

産後淋 宜用茅根湯(三因).

産後遺尿 宜桑螵帩散 黃芪芍藥湯(三因).

해산을 잘못하여 상해서 오줌을 아무 때나 자기도 모르게 누는 데는

삼출고(蔘朮膏)를 쓰는 것이 좋다[단심].

해산 후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방울방울 떨어지는 데는 모근탕(茅根湯)을 쓴다(삼인].

해산 후에 유뇨증이 있는 데는 상표초산(桑 散), 황기작약탕(黃 芍藥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삼인].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産後浮腫][산후부종]  (0) 2022.07.08
[産後大便秘結][산후대변비결]  (0) 2022.07.05
[産後心腹腰脇痛][산후심복요협통]  (0) 2022.06.16
[産後頭痛][산후두통]  (0) 2022.06.15
[産後風眙][산후풍이]  (0) 2022.06.06

[産後心腹腰脇痛][산후심복요협통]

해산 후에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

 

産後 心腹疼痛 全是瘀血

八味黑神散 四味散方見上 産後血暈失笑散方見上 産後 兒枕痛(入門).

해산 후 명치 밑이 아픈 것은 주로 어혈(瘀血)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때에는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사미산(四味散), 실소산(失笑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産後 惡露斷絶 腰腹重痛 宜桃仁湯 桃桂當歸丸(良方).

해산 후에 오로(惡露)가 멎은 다음 허리와 배가 몹시 아픈 데는

도인탕(桃仁湯), 도계당귀환(桃桂當歸丸) 등을 쓴다[양방].

 

産後 胸腹脇腰痛 此惡血爲患

四物湯方見血門倍芎歸 加鬼箭羽 紅花 玄胡索4g 煎水調 沒藥散服之 卽效(保命).

해산 후에 가슴, 옆구리, 허리, 배가 아픈 것은 궂은 피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데는 사물탕에 궁궁이(천궁)와 당귀를 곱절 넣고

화살나무껍질(귀전우), 잇꽃(홍화), 현호색 각각 4g을 더 넣고 달인 물에

몰약산(沒藥散)을 타 먹으면 곧 낫는다[보명].

 

産後 左脇痛 宜養血佐肝丸, 右脇痛 宜推氣養血丸(醫鑒).

해산 후에 왼쪽 옆구리가 아픈 데는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을 쓰며

오른쪽 옆구리가 아픈 데는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을 쓰는 것이 좋다[의감].

 

冬月解産 臍下痛 宜羊肉湯(仲景).

겨울철에 해산하고 배꼽 아래가 아픈 데는 양육탕(羊肉湯)을 쓰는 것이 좋다[중경].

 

産後 血瘕 痛無定處, 童尿3升 生地黃汁 生藕汁各1升 生薑汁2,

爲先煎三味 約三分減二分 乃下 薑汁慢火煎 如稀餳 每取一合 溫酒調服(良方).

해산 후에 혈가(血 )가 생겨 아픈 곳이 일정치 않은 데는

물 3되, 생지황즙, 연뿌리즙 각각 1되를 함께 넣고 먼저 3분의 2쯤 되게 달인 다음

또 생강즙 2되를 넣어 천천히 묽은 엿처럼 달여 한번에 1홉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産後大便秘結][산후대변비결]  (0) 2022.07.05
[産後淋瀝遺尿][산후임력유뇨]  (0) 2022.06.28
[産後頭痛][산후두통]  (0) 2022.06.15
[産後風眙][산후풍이]  (0) 2022.06.06
[鬱冒][울모]  (0) 2022.06.02

[産後頭痛][산후두통]

凡 産後發熱身痛 頭疼不可便作 感冒治之

此等多是血虛 或敗血作梗,

玉露散方見上 下乳汁 或四物湯方見血門 方見上 産後陰脫 加柴胡煎服(良方).

해산 후에 열이 나고 몸이 아프며 머리가 아픈 증을 감기로 치료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증들은 대개 혈허(血虛)하거나 궂은 피로 생긴다. 

이때에는 옥로산(玉露散) 혹은 사물탕(四物湯)에 시호(柴胡)를 더 넣어 달여 먹는다[양방].

 

産後頭痛 宜用一奇散(卽芎歸湯) 方見上 姙娠通治加荊芥8g 煎服 必效(雲岐).

해산 후에 머리가 아픈 데는 일기산(一奇散, 즉 궁귀탕(芎歸湯)이다)

형개수 8g을 더 넣어 달여 먹으면 효과가 있다[운기].

 

一婦 産後患頭痛 與心痛 互作苦極 欲死

黑龍丹方見上 瘦胎條3丸 下如蝗蟲子 惡物3升許 卽愈(良方).

어떤 부인이 해산 후에 두통과 가슴앓이가 번갈아 나서 죽을 지경이었는데

흑룡단(黑龍丹) 3알을 먹고 황충(蝗蟲)의 알 같은 궂은 것들이 3되쯤 나오고 곧 나았다[양방].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産後淋瀝遺尿][산후임력유뇨]  (0) 2022.06.28
[産後心腹腰脇痛][산후심복요협통]  (0) 2022.06.16
[産後風眙][산후풍이]  (0) 2022.06.06
[鬱冒][울모]  (0) 2022.06.02
[治産後陰脫][치산후음탈]  (0) 2022.06.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