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斷産][단산]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는 것]
婦人産育艱難 或一歲一産
可以此少間之 四物湯 加雲臺子 一撮煎 於經行後 空心服(得效)
아이를 낳아 기르기 어렵거나 한 해에 한 번씩 해산하는 데는
이 약으로써 조금씩 사이를 뜨게 할 수 있다.
이때는 사물탕에 유채씨 한자밤을 더 넣고 달여 월경이 있은 후 빈속에 먹는다[득효].
母有宿疾 終不可保胎者 牛膝1.5g 瞿麥 桂心 蟹爪各1g
爲末空心溫酒調服 以下之 免害其母(入門).
임신부가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병으로 태아를 더 보존할 수 없는 데는
쇠무릎(우슬) 1.6g, 패랭이꽃(구맥), 계심, 게발톱(蟹爪) 각각 0.8g 등의 약들을
가루내어 데운 술에 타서 빈속에 먹고 유산시키면 산모가 해를 받지 않는다[입문].
姙婦 因疾病 不能安 可下之, 法麴150g 水二大盞
煎取一盞 去滓 分三服 卽下(良方).
임신부가 병으로 태가 편안하지 않을 때에는 유산시켜야 하는데
약누룩(신국, 법제한 것) 160g을 큰 잔으로 물 2잔에 넣고
달여 1잔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세번에 나누어 먹으면 곧 유산한다[양방].
又方 麥芽 神曲各半升 和水煮 服之卽下 神效(良方).
또 한 가지 방법은 보리길금(맥아)과 약누룩(신국) 각각 5홉을
물에 달여 먹으면 곧 유산하는 데 효과가 좋다[양방].
又方 附子2枚 爲末 醋調 塗母右足 去之 大良(良方).
또 한 가지 처방은 부자 2개를 가루내어 식초로 갠 다음
임신부의 오른쪽 발바닥에 바르면 유산되는 데 효과가 좋다[양방].
斷子法 用白麪麴1升 好酒5升 打作糊 煮至2升半 以絹濾去渣 作三服
候月經 將來日晩 下吃一服 次日五更 吃一服 天明吃一服 月經卽行 終身絶子(丹心).
아이를 배지 못하게 하는 방법은 흰밀가루 누룩 1되에 좋은 술 5되를 두고
풀을 쑤는데 2되 반이 되면 비단천으로 밭아서 찌꺼기를 버리고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
월경할 날을 기다렸다가 저녁에 한 번 먹고 이튿날 새벽에 한번 먹으며
날이 다 밝은 다음에 한번 먹으면 월경이 곧 나오고 일생 동안 아이를 배지 않는다[단심].
又方 故蠶紙方圓一尺 燒存性 爲末 酒飮調服 終身 不復懷孕(良方).
또 한 가지 처방은 잠퇴지(簪退紙, 사방 1자씩 되는 것을 약성이 남게 태운 것)를
가루를 내어 술에 타 먹으면 일생 동안 다시 임신하지 않는다[양방].
又方 油煎水銀 空心服 如棗核大一丸 永斷, 不損人(良方).
또 한 가지 처방은 기름에 수은 넣고 달인 것으로 대추씨만한 것 1알을 만들어
빈속에 먹으면 일생 동안 아이를 배지 않게 되고 사람에게는 해를 주지 않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藏燥證][장조증] (0) | 2022.08.05 |
---|---|
[寡婦師尼之病異乎妻妾][과부사니지병이호처첩] (0) | 2022.07.27 |
[産後虛勞][산후허로] (0) | 2022.07.17 |
[産後脈法][산후맥법] (0) | 2022.07.16 |
[産後浮腫][산후부종]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