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風寒喘][풍한천]

 

尋常感冒 風寒內鬱 肺脹逆而爲喘風 宜金沸草散 麻黃散 人參潤肺散 九寶飮方見上

寒 宜加味三拗湯 人參定喘湯 小靑龍湯 參蘇溫肺湯 五味子湯 九味理中湯 五虎湯 止喘元(諸方).

풍한천이라는 것은 보통 감기로 풍한(風寒)이 속에 몰려

폐가 불어나고 기가 거슬러 올라서 된 천식이다.

풍사에 감촉된 데는 금비초산(처방은 위에), 마황산, 인삼윤폐산, 구보음(처방은 위에) 등을 쓴다.

한사(寒邪)에 감촉된 데는 가미삼요탕, 인삼정천탕, 소청룡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삼소온폐탕, 오미자탕, 구미이중탕, 오호탕, 지천원을 쓴다[저방].

 

冷喘 則遇寒而發(醫鑒).

냉으로 생긴 천식은 날씨가 차면 발작한다[의감]. 

 

肺寒 肺虛 必有氣之表怯 冷痰 如氷之證(醫鑒).

폐가 차거나 허약하면 반드시 기운이 약하므로

몹시 추워하고 얼음 같은 가래가 나오는 증상이 있다[의감].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喘][기천]  (0) 2020.09.12
[痰喘][담천]  (0) 2020.09.12
[喘證有八][천증유팔]  (0) 2020.09.10
[通治咳嗽藥][통치해수약]  (0) 2020.09.10
[天行嗽][천행수]  (0) 2020.09.10

[喘證有八][천증유팔]

 

喘急者 氣因火鬱而成 稠痰在肺胃也(丹心).

천급(喘急)이라는 것은 기에 화가 몰려 걸쭉한 담(稠痰)이 폐와 위에 생겨서 된 것이다[단심].

 

喘者 火氣甚則氣盛而息粗也(河間).

천(喘)이라는 것은 화기(火氣)가 심하고 기가 성하여 숨이 가쁜 것이다[하간]. 

 

呼吸急促者 謂之喘 喉中有聲響者 謂之哮,

虛者 氣乏身冷 痰如氷,

實者 氣壯胸滿 身熱便硬(入門).

숨결이 가쁜 것을 천이라고 하고 목구멍에서 소리가 나는 것을 효(哮)라고 한다. 

허하면 기운이 약하고 몸이 차며 얼음 같은 가래가 나온다. 

실(實)하면 기운이 세고 가슴이 그득하며 몸이 달고[熱] 대변이 굳다[입문]. 

 

喘者 肺主氣 形寒飮冷 則傷肺 故其氣逆而衝

衝而氣急 喝喝而息 數張口 擡肩搖 身滾肚者 是爲喘也(明理).

천이라는 것은 어떤 것인가. 폐는 기를 주관하는데 

몸이 찰 때 찬 것을 마시면 폐가 상하게 되어 폐기가 거슬러 오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이때에는 숨쉬기 가빠하면서 헐떡거리고 숨결이 잦으며 입을 벌리고 어깨를 들먹거리며 

몸을 흔들고 배가 불룩불룩해진다[명리]. 

 

有起居如故 而息有音者 乃肺之絡脈逆 而不得隨經 上下故也(入門).

자고 일어나는 것은 여전한데 숨쉴 때에 소리가 나는 것은 폐의 낙맥(絡脈)이 순조롭지 못하여 

경맥(經脈)을 따라 폐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기 때문이다[입문]. 

 

火氣甚 爲夏熱 衰爲冬寒 故病寒則氣衰而息微,

病熱 則氣盛而息粗 又 寒水 爲陰主乎 遲緩,

熱火 爲陽主乎 急數, 是以寒則息微 氣微,

熱則息數 氣盛而爲喘也(河間).

화기가 심한 것은 여름의 더위와 같고 약한 것은 겨울의 추위와 같다. 

그러므로 추워하는 병(病寒) 때에는 기운이 약하고 숨결이 약하며 

열이 있는 병(病熱) 때에는 기운이 왕성하고 숨결이 거칠다. 

그리고 한수(寒嗽)는 음기인데 더딘 것을 주관하고 열화(熱火)는 양기인데 빠른 것을 주관한다. 

때문에 추우면 숨결이 떠지고 기운이 약하며 

열이 있으면 숨결이 잦고 기운이 왕성해져 천식이 생긴다[하간]. 

 

喘非風寒 傷肺 則痰火脹 肺風寒 則袪散痰火 則踈導

但火急者 亦不可 純用苦寒 宜溫而劫之 劫藥見下(入門).

천식은 풍한이 폐를 상한 것이 아니면 담화(痰火)가 폐를 불어나게 하여 생기는 것이다. 

풍한이면 발산하는 약을 쓰고 담화면 통하게 하여 내보내는 약을 써야 한다. 

그러나 화가 심한 데는 순전히 맛이 쓰고 성질이 찬 것만 쓰지 말고 

반드시 성질이 더운 약으로 세게 쳐야 한다. 

세게 치는 약은 아래에 있다[입문]. 

 

凡喘 未發 以扶正氣爲主, 已發 以散邪爲主(丹心).

대체로 천식이 발작하기 전에는 원기를 도와주는 약을 주로 써야 하고

이미 발작하였으면 발산시키는 약을 주로 써야 한다[단심].

 

喘 有①風寒喘 ②痰喘 ③氣喘 ④火喘 ⑤水喘 ⑥久喘 ⑦胃虛喘 ⑧陰虛喘,

諸傷發喘嗽 通治喘嗽藥(諸方).

천식에는 풍한천(風寒喘), 담천(痰喘), 기천(氣喘), 화천(火喘), 수천(水喘),

오랜 천식[久喘], 위가 허하여 나는 천식[胃虛喘], 음허로 나는 천식[陰虛喘]이 있다.

여러 가지 병으로 나는 천식과 기침은 천식과 기침에 두루 쓰는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저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喘][담천]  (0) 2020.09.12
[風寒喘][풍한천]  (0) 2020.09.10
[通治咳嗽藥][통치해수약]  (0) 2020.09.10
[天行嗽][천행수]  (0) 2020.09.10
[夜嗽][야수]  (0) 2020.09.10

[通治咳嗽藥][통치해수약]

 

咳而無痰者 以辛甘潤 其肺 故咳嗽 治痰爲先 治痰者 下氣爲上

是以南星 半夏 勝其痰 而咳嗽自愈, 枳殼 橘紅 利其氣而痰飮自下,

痰而能食者 小承氣湯方見寒門 微利之, 痰而不能食者 厚朴湯方未詳 踈導之,

夏月嗽而發熱者 謂之熱嗽 小柴胡湯150g 入石膏37.5g 知母18.8g,

冬時嗽而發寒者 謂之寒嗽 小靑龍湯 加杏仁 此治法之 大體也(易老).

기침할 때 가래가 나오지 않으면 맛이 맵고 단 약으로 폐를 눅여 주어야 한다.

그리고 기침할 때에는 먼저 담을 치료하고 담을 치료할 때에는 기를 내리는 것이 첫째이다.

그렇기 때문에 천남성과 끼무릇(반하)으로 담을 삭이면 기침이 저절로 멎는다.

그리고 지각이나 귤홍으로 기를 순조롭게 하면 담음은 저절로 없어진다.

담이 있으나 음식을 잘 먹으면 소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약간 설사시키고

담이 있어서 음식을 잘 먹지 못하면 후박탕(처방은 잘 알 수 없다)으로 소화시켜야 한다.

여름에 기침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을 열수(熱嗽)라고 하는데

이런 데는 소시호탕 160g에 석고 40g, 지모 20g을 더 넣어 쓴다.

겨울에 기침이 나면서 오한이 나는 것을 한수(寒嗽)라고 하는데 이런 데는

소청룡탕에 살구씨(행인)를 넣어 쓴다.

이것이 대체적인 치료방법이다[역로].

 

咳之爲病 有二 咳卽出痰者 脾濕勝而痰滑也

有連咳十數 不能出痰者 肺燥勝痰濕也

滑者 宜南星 半夏 皂角灰之屬 燥其脾,

澁者 宜枳殼 紫蘇 杏仁之屬 利其肺(丹心).

기침에는 2가지가 있는데 기침하면 곧 가래가 나오는 것은 비에 습이 성하여 가래가 잘 나오는 것이고 

십여 번 기침하여도 가래가 잘 나오지 않는 것은 폐의 조(燥)한 기운이 담습(痰濕)보다 성한 것이다. 

가래가 잘 나오면 천남성, 끼무릇, 주염열매(조각, 태운 가루) 등으로 비(脾)를 마르게 하고 

가래가 잘 나오지 않으면 지각, 차조기, 살구씨 등으로 폐기를 순조롭게 해야 한다[단심]. 

 

外感久則鬱熱, 內傷久則火炎 俱宜開鬱潤燥(入門).

외감(外感)된 지 오래면 열이 몰리고 내상(內傷)된 지 오래면 화(火)가 성한다. 

이때에는 몰린 것을 헤치고 건조한 것을 눅여 주어야 한다[입문]. 

 

嗽而脇下痛 宜以靑皮 踈肝氣 兼用白芥子之類

後以二陳湯 加南星 香附子 靑皮 靑黛薑汁糊爲丸服(丹心).

기침이 나면서 옆구리 아래가 아프면 선귤껍질(청피)로 

간기를 잘 통하게 하고 흰겨자 등을 겸하여 써야 한다. 

그리고 이진탕에 천남성, 향부자, 선귤껍질(청피), 

청대를 더 넣어서 생강즙에 쑨 풀로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단심]. 

 

二陳湯 治咳嗽去痰 伐病根之藥 除陰虛 血虛火盛 乾咳者 勿用(丹心).

이진탕(二陳湯)은 기침할 때에 담(痰)을 삭게 하고 병의 근원을 치는[伐]약이다.

그러나 음이 허하고 혈이 허해서 화가 성하여 마른기침을 하는 데는 쓰지 않는다.

 

咳嗽 通用 淸金飮 五嗽元(或備急五嗽元)(諸方).

기침에는 청금음, 오수원을 두루 쓴다[제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寒喘][풍한천]  (0) 2020.09.10
[喘證有八][천증유팔]  (0) 2020.09.10
[天行嗽][천행수]  (0) 2020.09.10
[夜嗽][야수]  (0) 2020.09.10
[火嗽][화수]  (0) 2020.09.10

[天行嗽][천행수]

 

時令不正 人多感冒 咳嗽 宜人參飮子 一服散(得效).

절기[時]에 맞지 않는 기후로 사람들이 감기에 걸려서 기침하는 데는 인삼음자나 일복산을 쓴다[득효].

 

四時感冒 咳嗽 宜服參蘇飮方見寒門(回春).

4철 감기로 기침할 때에는 삼소음(蔘蘇飮, 처방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을 쓴다[회춘].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喘證有八][천증유팔]  (0) 2020.09.10
[通治咳嗽藥][통치해수약]  (0) 2020.09.10
[夜嗽][야수]  (0) 2020.09.10
[火嗽][화수]  (0) 2020.09.10
[久嗽][구수]  (0) 2020.09.10

[夜嗽][야수]

 

夜間咳嗽 屬陰虛 宜降陰分化(入門).

밤에 나는 기침은 음이 허한 것에 속하는데

이때에는 음분(陰分)의 화를 내려야 한다[입문].

 

陰分嗽者 多屬陰虛 治之用知母 止嗽 勿用生薑 以其辛散 故也(丹心).

음분에서 생긴 기침은 음이 허한 것에 속하기 때문에 

이것을 치료할 때에는 지모로 기침을 멎게 하고 생강은 쓰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생강의 매운 맛이 기를 흩어지게 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단심].

 

凡夜嗽 久嗽 多屬腎氣虧損 火炎水涸 或津液涌而爲痰

用六味地黃元方見虛勞 加黃栢 知母 天門冬 貝母 橘紅 以滋化源 滋陰降火湯方見火門 亦佳(回春).

대체로 밤에 나는 기침과 오래된 기침 때에는 

신기(腎氣)가 약해지고 화가 성해서 물이 마르거나 진액이 넘쳐나기 때문에 가래가 생긴다. 

이때에는 육미지황원(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에 

황백, 지모, 천문동, 패모, 귤홍을 더 넣어 써서 화원을 보해야 한다. 

그리고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처방은 화문(火門)에 있다)도 쓴다[회춘]. 

 

夜嗽 宜用滋陰淸化膏方見上 麻黃蒼朮湯(諸方).

밤에 나는 기침에는 자음청화고, 마황창출탕을 쓴다[저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治咳嗽藥][통치해수약]  (0) 2020.09.10
[天行嗽][천행수]  (0) 2020.09.10
[火嗽][화수]  (0) 2020.09.10
[久嗽][구수]  (0) 2020.09.10
[久嗽][구수]  (0) 2020.09.10

[火嗽][화수]

 

火嗽 有聲 痰少 面赤者 是 或煩渴引飮 脈洪數(丹心).

화수라는 것은 기침소리만 나고 가래는 적으면서 얼굴이 벌겋게 되는 것이다.

혹은 번갈(煩渴)이 나서 물을 마시기도 한다.

이때에 맥은 홍삭(洪數)하다[단심].

 

火嗽 宜貝母散方見上 久嗽 淸肺飮 柴胡枳桔湯 淸金降火湯方見上

鬱嗽 二母寧嗽湯方見上

食積嗽 抑心淸肺丸 玄霜雪梨膏 人參淸鎭丸 滋陰淸化膏 海靑丸(諸方).

화수에는 패모산, 청폐음, 시호지길탕, 청금강화탕,

이모녕수탕,

억심청폐환, 현상설리고, 인삼청진환, 자음청화고, 해청환을 쓴다[저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行嗽][천행수]  (0) 2020.09.10
[夜嗽][야수]  (0) 2020.09.10
[久嗽][구수]  (0) 2020.09.10
[久嗽][구수]  (0) 2020.09.10
[酒嗽][주수]  (0) 2020.09.10

[久嗽][구수]

 

乃積痰久留肺脘 粘滯如膠 氣不升降 或挾濕與酒而作(丹心).

오랜 기침[久嗽]은 담이 뭉쳐 기관지에 오랫동안 붙어 있는 것이 갖풀(아교) 같아

폐기(肺氣)가 순조롭게 오르내리지 못해서 생기는데 혹 습(濕)과 술[酒]이 겹쳐 생기기도 한다[단심].

 

久嗽 宜蜂薑丸 加味二母丸 人參淸肺湯 貝母湯 九仙散

人參款花散 天鼠散 淸肺湯 馬兜鈴丸 加味百花膏 潤肺除嗽飮(諸方).

오랜 기침 때에는 봉강환, 가미이모환, 인삼청폐탕, 패모탕, 구선산,

인삼관화산, 천서산, 청폐탕, 마두령환, 가미백화고, 윤폐제수음을 쓴다[저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夜嗽][야수]  (0) 2020.09.10
[火嗽][화수]  (0) 2020.09.10
[久嗽][구수]  (0) 2020.09.10
[酒嗽][주수]  (0) 2020.09.10
[血嗽][혈수]  (0) 2020.09.10

[久嗽][구수]

 

乃積痰久留肺脘 粘滯如膠 氣不升降 或挾濕與酒而作(丹心).

오랜 기침[久嗽]은 담이 뭉쳐 기관지에 오랫동안 붙어 있는 것이 갖풀(아교) 같아

폐기(肺氣)가 순조롭게 오르내리지 못해서 생기는데 혹 습(濕)과 술[酒]이 겹쳐 생기기도 한다[단심].

 

久嗽 宜蜂薑丸 加味二母丸 人參淸肺湯 貝母湯 九仙散

人參款花散 天鼠散 淸肺湯 馬兜鈴丸 加味百花膏 潤肺除嗽飮(諸方).

오랜 기침 때에는 봉강환, 가미이모환, 인삼청폐탕, 패모탕, 구선산,

인삼관화산, 천서산, 청폐탕, 마두령환, 가미백화고, 윤폐제수음을 쓴다[저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火嗽][화수]  (0) 2020.09.10
[久嗽][구수]  (0) 2020.09.10
[酒嗽][주수]  (0) 2020.09.10
[血嗽][혈수]  (0) 2020.09.10
[乾嗽][건수]  (0) 2020.09.08

[酒嗽][주수]

 

酒性 大熱 因傷引飮冷 與熱凝於胃中 不散而成濕 故痰作咳嗽(保命).

술의 성질은 몹시 열하므로 술에 상하면 찬물을 마시게 된다.

그러면 찬 것과 더운 기운이 위 속에 몰려서 흩어지지 않고 습(濕)으로 된다.

때문에 담이 생기고 기침이 난다[보명].

 

飮酒多咳嗽 靑黛 瓜婁仁 左爲末 薑汁煉蜜和 丸櫻桃大 常常含化 散肺毒(丹心).

술을 많이 마셔서 기침이 나는 데는

청대와 하늘타리씨(과루인)를 가루내어 생강즙을 섞은 졸인 꿀에 반죽한 다음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쓰는데

늘 머금고 녹여서 먹으면 폐에 있던 술독이 흩어지게 된다[단심].

 

酒傷肺 成痰嗽 以竹瀝煎 紫蘇 入韭汁 就呑 瓜婁杏連丸 又宜蜂薑丸.

폐가 술에 상하여 담이 성하면서 기침이 나는 데는

참대기름(죽력)과 차조기(자소) 달인 것, 부추즙을 섞은 것으로 과루행련환을 먹는다.

또는 봉강환도 쓴다[입문].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久嗽][구수]  (0) 2020.09.10
[久嗽][구수]  (0) 2020.09.10
[血嗽][혈수]  (0) 2020.09.10
[乾嗽][건수]  (0) 2020.09.08
[痰嗽][담수]  (0) 2020.09.08

[血嗽][혈수]

 

瘀血咳嗽者 喉間有腥氣 或吐唾血

瘀因打撲傷損而致 四物湯 加大黃 蘇木 爲末 酒調服 或水煎服(入門).

어혈(瘀血)로 생긴 기침을 말하는데 이때에는

목구멍에서 비린내가 나고 혹 궂은 피를 토한다.

이것은 무엇에 부딪쳐서 생긴 것이다.

이런 데는 사물탕에 대황과 소목을 넣어서 가루내어 술에 타 먹거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生桃仁7粒 以韭汁 送下 最佳(丹心).

복숭아씨(도인, 생것) 7알을 부추즙에 버무려 먹는 것이 제일 좋다[단심].

 

血嗽 宜服人參百合湯 桑皮散 當歸飮(諸方).

혈수에는 인삼백합탕, 상피산, 당귀음을 쓴다[저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久嗽][구수]  (0) 2020.09.10
[酒嗽][주수]  (0) 2020.09.10
[乾嗽][건수]  (0) 2020.09.08
[痰嗽][담수]  (0) 2020.09.08
[痰嗽][담수]  (0) 2020.09.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