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喘][담천]
痰喘者 凡喘 便有痰聲(入門)
담천이라는 것은 숨찬[喘] 증이 나타나면 곧 목에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는 것이다[입문].
肺實肺熱 必有壅盛胸滿 外鬨上炎之狀(醫鑒).
폐가 실하거나 열이 있으면 반드시 담이 꽉 막혀서
가슴이 그득하고 겉으로 확확 다는 듯한 증상이 나타난다[의감].
痰喘 宜千緡湯 千緡導痰湯 加減參芪湯 貝母散 平肺散 紫蘇半夏湯
定喘化痰湯 潤肺膏 蘇子導痰降氣湯 大蘿皂丸 袪痰丸(諸方)
담천 때에는 천민탕, 천민도담탕, 가감삼기탕, 패모산, 평폐산, 자소반하탕,
정천화담탕, 윤폐고, 소자도담강기탕, 대라조환, 거담환 등을 쓴다[제방].
凡喘 正發時 無痰而將愈時却吐
痰者 乃痰在正發之時 閉塞不通而喘 當其時 開其痰路 則易安
宜桔梗 瓜婁仁 枳殼 杏仁 蘇葉 前胡等 引出其痰
然後 調其虛實 實者用沈香滾痰丸方見痰門.
虛者 補以參芪歸朮(綱目).
여러 가지 천식이 한창 발작할 때는 가래가 나오지 않다가 발작이 멎으려 할 때에 가래를 토하게 된다.
즉 발작할 때에는 담이 막혀 통하지 못하기 때문에 숨이 차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담이 통하는 길을 열어주어야 쉽게 낫는다.
이런 데는 도라지(길경), 하늘타리씨(과루인), 지각, 살구씨(행인), 차조기잎(자소엽), 전호 등
약으로 담이 나오게 해야 한다.
그 다음 허하고 실한 데 따라 조리하여야 하는데 실하면 침향곤담환(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쓰고
허하면 인삼, 단너삼(황기), 당귀, 흰삽주(백출)로 보해 주어야 한다[강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火喘][화천] (0) | 2020.09.12 |
---|---|
[氣喘][기천] (0) | 2020.09.12 |
[風寒喘][풍한천] (0) | 2020.09.10 |
[喘證有八][천증유팔] (0) | 2020.09.10 |
[通治咳嗽藥][통치해수약] (0) | 202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