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喘證有八][천증유팔]
喘急者 氣因火鬱而成 稠痰在肺胃也(丹心).
천급(喘急)이라는 것은 기에 화가 몰려 걸쭉한 담(稠痰)이 폐와 위에 생겨서 된 것이다[단심].
喘者 火氣甚則氣盛而息粗也(河間).
천(喘)이라는 것은 화기(火氣)가 심하고 기가 성하여 숨이 가쁜 것이다[하간].
呼吸急促者 謂之喘 喉中有聲響者 謂之哮,
虛者 氣乏身冷 痰如氷,
實者 氣壯胸滿 身熱便硬(入門).
숨결이 가쁜 것을 천이라고 하고 목구멍에서 소리가 나는 것을 효(哮)라고 한다.
허하면 기운이 약하고 몸이 차며 얼음 같은 가래가 나온다.
실(實)하면 기운이 세고 가슴이 그득하며 몸이 달고[熱] 대변이 굳다[입문].
喘者 肺主氣 形寒飮冷 則傷肺 故其氣逆而衝
衝而氣急 喝喝而息 數張口 擡肩搖 身滾肚者 是爲喘也(明理).
천이라는 것은 어떤 것인가. 폐는 기를 주관하는데
몸이 찰 때 찬 것을 마시면 폐가 상하게 되어 폐기가 거슬러 오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이때에는 숨쉬기 가빠하면서 헐떡거리고 숨결이 잦으며 입을 벌리고 어깨를 들먹거리며
몸을 흔들고 배가 불룩불룩해진다[명리].
有起居如故 而息有音者 乃肺之絡脈逆 而不得隨經 上下故也(入門).
자고 일어나는 것은 여전한데 숨쉴 때에 소리가 나는 것은 폐의 낙맥(絡脈)이 순조롭지 못하여
경맥(經脈)을 따라 폐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기 때문이다[입문].
火氣甚 爲夏熱 衰爲冬寒 故病寒則氣衰而息微,
病熱 則氣盛而息粗 又 寒水 爲陰主乎 遲緩,
熱火 爲陽主乎 急數, 是以寒則息微 氣微,
熱則息數 氣盛而爲喘也(河間).
화기가 심한 것은 여름의 더위와 같고 약한 것은 겨울의 추위와 같다.
그러므로 추워하는 병(病寒) 때에는 기운이 약하고 숨결이 약하며
열이 있는 병(病熱) 때에는 기운이 왕성하고 숨결이 거칠다.
그리고 한수(寒嗽)는 음기인데 더딘 것을 주관하고 열화(熱火)는 양기인데 빠른 것을 주관한다.
때문에 추우면 숨결이 떠지고 기운이 약하며
열이 있으면 숨결이 잦고 기운이 왕성해져 천식이 생긴다[하간].
喘非風寒 傷肺 則痰火脹 肺風寒 則袪散痰火 則踈導
但火急者 亦不可 純用苦寒 宜溫而劫之 劫藥見下(入門).
천식은 풍한이 폐를 상한 것이 아니면 담화(痰火)가 폐를 불어나게 하여 생기는 것이다.
풍한이면 발산하는 약을 쓰고 담화면 통하게 하여 내보내는 약을 써야 한다.
그러나 화가 심한 데는 순전히 맛이 쓰고 성질이 찬 것만 쓰지 말고
반드시 성질이 더운 약으로 세게 쳐야 한다.
세게 치는 약은 아래에 있다[입문].
凡喘 未發 以扶正氣爲主, 已發 以散邪爲主(丹心).
대체로 천식이 발작하기 전에는 원기를 도와주는 약을 주로 써야 하고
이미 발작하였으면 발산시키는 약을 주로 써야 한다[단심].
喘 有①風寒喘 ②痰喘 ③氣喘 ④火喘 ⑤水喘 ⑥久喘 ⑦胃虛喘 ⑧陰虛喘,
諸傷發喘嗽 通治喘嗽藥(諸方).
천식에는 풍한천(風寒喘), 담천(痰喘), 기천(氣喘), 화천(火喘), 수천(水喘),
오랜 천식[久喘], 위가 허하여 나는 천식[胃虛喘], 음허로 나는 천식[陰虛喘]이 있다.
여러 가지 병으로 나는 천식과 기침은 천식과 기침에 두루 쓰는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저방].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喘][담천] (0) | 2020.09.12 |
---|---|
[風寒喘][풍한천] (0) | 2020.09.10 |
[通治咳嗽藥][통치해수약] (0) | 2020.09.10 |
[天行嗽][천행수] (0) | 2020.09.10 |
[夜嗽][야수] (0) | 2020.09.10 |